View : 726 Download: 0

군대에서의 일탈에 관한 일 연구

Title
군대에서의 일탈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iation Behaviors on the Military
Authors
노현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군대일탈MilitaryDevi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ur society had been under the military culture until the present civil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1993. The military was recognized as a hidden organization because of these backgrounds of our society. Most of men in korea was obliged to join the military. Civilian access to the military was strictly controlled. Therefore, these study on the military behaviors were not made and avoided because of controlling civilian access to the military. Of course, Although same studies with itself in the military have been made, results and data of these studies were revealed to the civilians. Problems were occured even in this closed society, and often were known to the civilians via the press media. As problems in the military known to the civilians were increased more and more, we frequently read articles covering soldiers with military weapons deserting or soldiers being hurt by violence. We happen to know that deviations even in the strongly controlled military are continueously occurring. This study, therefore, is aimed at knowing the actual conditions within the military society slowly studied, and especially the deviation occurred in the military. The deviation happened in the military is compiled formally by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but the reliability of the formal statistics is far considered because it is based on the sources from the strongly control led and closed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s to be made based on the informal deviation cases in the military.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mad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deviation'. Specifically, soldiers in the military units arou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frontline, and along the DMZ were asked to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The 373 questionnares were adapted to result's analysi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by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deviation potentialities were disobedience, alcoholic drinking, seceding from quarters in the order. The actual deviation behavior is not high. The deviation justification are higher than the potentiality and actual deviation behaviors. Secondly, this study is investigating into the differences of the devi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units as each unit has its culture. Deviation along the DMZ is the highest, and the units located arou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is the lowest. The soldiers along the DMZ were required to be trained under a true situation and for more restricted. These conditions cause deviation linked complaints on the life. Most of the foremost front corps were away from city and social life, and only strongly influenced by a military culture. When Soldiers have going out or stopping out, it seem they are hard to contact common society. Therefore, one of the counting complaints is a highly deviation, especially drinking potentiality high. Thirdly, the study on the difference o f the deviation according to class. Class in the military is given according the serving period. It presents the degree of resocialization to adapt the military. The highest deviation is from private first class. The period of private first class is between 1 year and 1 and half year. During the time, they have experienced and known overall military life in some degree. Therefore, they have a good knowledge of controlled, uniform, class organization and still complaints on the daily life as the lower classes. So, the deviation in private first class than private second class are appeared. Fourth, as a result of researching many factors influencing to the deviation, reliability to a higher officer, the satisfaction to a higher officer'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among coworker, resting mood, quarters' mood, adaptance and satisfaction to military life had strong correlation with the deviation. Especially, when soldiers have high reliability to a higher officer and satisfaction to controlling method, the potentiality of disobedience and taking drinking is low. Besides those, influencing factors to the deviation are communication among coworker, resting mood, quarters' mood, adaptance and satisfaction to military life. As above, the deviation of foremost front corps among corps location and private first class among classes in the military was the highest. There, the concerns to the private first class in foremost front corps are in order.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corps' location and class problem, the deviation in the military will be decreased by concerning other military life factors. Officers in the military must have good control method and interests of soldiers. If smooth communication, freely resting time, familish quarters mood are made in the military, the deviation will be decreased.;지난 1993년 문민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우리 사회는 군사문화 아래 놓여있었다. 우리 사회의 이러한 배경때문에 우리나라의 군대는 그동안 사회에 드러나지 않은채 별개의 조직으로 인식되어왔다. 대한민국의 남자라면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군대사회이지만 일반인의 접근은 강력하게 통계되어 온 것이 오늘날까지의 군대사회의 현실이다. 그렇게 일반인들의 접근을 통제하다보니 자연히 군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고 금기시되기도 했다. 물론 군대 자체 내에서는 어느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겠지만, 연구된 결과나 자료가 일반에게 공개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렇게 폐쇄된 사회에서도 문제는 발생하기 마련이며, 가끔은 군대에서 발생된 문제들이 언론들을 통해 일반엔 알려지곤 했다. 일반에 알려지던 군대사회에서의 문제들이 점점 더 많아지기 시작하면서 이제 우리는 신문 지상을 통해서 군인들이 무장을 한 채 탈영을 하거나 부대 내에서 폭력으로 사병이 부상을 당했다는 등의 기사들을 심심찮게 접하게 되었다. 결국 강력하게 통제되고 있는 군대 사회에서도 일탈은 계속 일어나고 있었다는 것은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폐쇄된 군대사회에서도 일탈이 계속 일어나고 있음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폐쇄된 군대사회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특히 군대에서 발생하는 일탈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군대에서 발생하는 일탈은 대검찰청에서 공식적으로 집계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폐쇄적인 군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일탈이므로 보고된 일탈만을 집계한 공식적인 통계는 군대에서 발생하는 전체 일탈을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공식적인 일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일탈성'이라는 개념에 근거하여 군대사회에서의 일탈가능성을 조사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에 위치한 부대와 전방에 위치한 부대, 그리고 최전방에 위치한 부대의 사병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한 질문지는 총 373부였다. 표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해 통계처리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부대의 전체 일탈의 잠재성은 항명에 대한 잠재성, 술 반입에 대한 잠재성, 수소이탈에 대한 잠재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실제 행한 일탈행위에 대한 것도 그다지 높은 평균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었다. 일탈의 정당화는 잠재성이나 실제 일탈행위보다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대의 위치에 따라 부대의 문화가 다를 것이므로 부대의 위치에 따른 일탈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최전방에 위치한 부대에서 대체로 일탈 잠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부대에서 낮게 나타났다. 최전방에 위치한 부대의 경우 북한과 대치된 상황에서 실전과 같은 훈련과 생활이 요구되며, 통제 또한 강하게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상황들이 생활상의 불만으로 이어져 일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전방에 위치한 부대의 경우 대부분이 도시나 일반 사회의 생활과는 동떨어져 위치하며, 주위의 문화들 역시 군사문화의 영향에 있게되므로 외출이나 외박등으로 부대 밖으로 잠깐 나갈 경 우에도 일반사회와 접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조사 대상 부대 중 수도권에 위치한 부대의 경우 통신부대로서 대부분 행정을 담당하는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부대였다. 그러므로 수도권에 위치한 부대는 최전방에 위치한 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장도가 낮은 점등의 이유로 비교적 일탈의 가능성이 낮게 나타 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군대에서의 계급은 복무기간에 따라 주어진다. 복무기간은 군대 사회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재사회화의 시기를 의미하므로 계급에 따른 일탈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등병의 경우 일탈정도가 비교격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복무기간이 1년에서 1년 6개월정도 되는 일등병의 경우, 그동안의 군대생활 전반에 대해 어느정도 파악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군대 사회의 통제적이고 획일적이며 위계적인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하급자인 입장에서의 생활상의 불만 역시 함께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사병의 계급을 병장, 상병, 일등병, 이등병으로 나누었을 때, 가장 하층인 이등병의 경우보다 중하층인 일등병의 경우에 오히려 높은 일탈 잠재성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그 외의 군대생활의 여러 요소들이 일탈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관에 대한 신뢰도, 상관의 통솔방법에 대한 만족도, 동료들간의 의사소통정도, 휴식분위기, 내무반 전체분위기, 군생활의 적응정도와 군생활의 만족도가 일탈성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관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통솔방법에 만족한다면 항명에 대한 잠재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군생활의 만족도가 높다면 항명과 술반입에 대한 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동료들간의 의사소통, 휴식분위기, 내무반 전체분위기, 군생활 적응정도는 일탈의 가능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군대에서의 일탈가능성은 부대의 위치가 최전방에 있을 때와 일등병의 경우에 가장 높은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최전방의 부대에서 그리고 특히 일등병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그리고 부대의 위치와 계급상의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하더라도 군생활의 다른 요소들에 관심을 가지므로써 군대에서의 잠재적인 일탈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장교들이 통솔방법상으로나 생활상에 있어서 사병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또한 부대내에서의 생활을 원활한 의사소통과 자유로운 휴식시간, 가족적인 내무반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한다면 군대에서의 일탈가능성은 낮아질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