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22 Download: 0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대한 연구

Title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Authors
김연수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정신장애인만족도사회적 지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들어 정신장애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도 장기입원이나 요양치료 보다는 조기퇴원시켜 지역사회 생활에 재적응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접근이 널리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퇴원후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 인들을 하나의 전인적인 인격체로 존중하며, 이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하고 성공적인 사회적 재활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사회사업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인들이 그들의 삶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 가운데서 가족, 친척, 친구 및 이웃사람들 등의 주위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는 정도인 사회적 지지도를 각각 살펴보고, 이들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정신장애인들이 가정 및 지역사회 생활 속에 보다 잘 적응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보다 만족스러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도움을 주는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경인지역의 종합병원, 전문정신병원 및 정신과 의원의 외래치료환자와 낮병원 이용자, 그리고 샘솟는 집,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포도나무 등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재활기관의 회원들 가운데 본 조사에 기꺼이 응해주는 자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1995년 3월 30일 부터 4월 20일 까지 였으며, 총 160여부의 설문지를 배포 하였고 회수되어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122부 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1994년에 양옥경이 개발한 삶의 만족척도와 1985년에 박지원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사회적 지지척도는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척도식 구성내용에 관해 살펴보면 삶의 만족 척도는 총 33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영역으로는 ① 가족 및 친척관계, ③ 자아감 및 일반적 삶, ③ 친구 및 대인관계, ④주거환경, ⑤신체 및 정신건강, ⑤ 의·식·경제정도, ⑦ 여가활동, ③ 직업 및 일반적 삶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적 지지척도는 총 25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① 정서적 지지, ② 정보적 지지, ③ 물질적 지지, ④ 평가적 지지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는데, 기술통계방법과 t-test, one way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2.815(sd = 0.879)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 영역별 만족도는 ① 주거환경 영역(3.142) - ② 가족 및 친척 관계 영역(3.049) -③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3.021) - ④ 의·식·경제정도 영역(2.924) - ⑤ 자아감 및 일반적 삶 영역 (2.893) - ⑥ 친구 및 대인관계 영역 (2.714) - ⑦ 여가활동 영역 (2.647) - ⑧ 직업 및 하루일과 영역(2.53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일상생활 가운데서 가족, 친척, 친구 및 이웃사람들로부터 받고 있다고 스스로 인식한 사회적 지지도는 5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3.334(sd=0.973)로 나타났고, 하위 영역별 지지도는 ① 정서적 지지(3.387) - ② 정보적 지지(3.364) - ③ 평가적 지지(3.341) - ④ 물질적 지지 (3.23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 간의 상관관계는 r=.7249 (p=.000) 으로 P<.001 수준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 각각의 하위영역들에서의 상관관계도 r=.3487∼.6879(P=.000)으로 p<.001수준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 인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삶의 만족도는 그들이 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표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4. 대상자들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유무, 직업유무, 가족의 월평균 수입 등의 일반적인 특성들과 전체 삶의 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도 간에는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상자들에게 일상생활 가운데서 도움을 주는 지지제공자의 수와 전체 삶의 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도 간에는 r<.001수준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있어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가 점을 입증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은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 인들이 일상생활 가운데 주위 사람들로부터 보다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여러가지 다양한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atus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from informal support system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hoods, etc.) among adults who have had mental disorders and live in a community after their discharge and to clarify whether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mong them or not. This study i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delivered to the people who have been a member of several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agencies or a patient of several day hospitals in Seoul and Kyung-ki area.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March 30th and April 20th, 1995. Sample size was all 122 at 9 agencies.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was life satisfaction scale by created Yang, Ok Kyung in 1994 and social support scale which was created by Park, Gi Won in 1985 and corrected and reorganized by this researcher. The life : is consist of 8 subscales. These 8 subscales are ① a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 ② a self-image and a general life, ③ a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other persons, ④ a situation of a house, ⑤ a physical and mental health, ⑥ clothes, foods, and economic status, ⑦ recreational activities, ⑧ an occupation and a daily schedule. The social support scale is consist of 4 subscales. These 4 subscales are ① emotional support, ② informational support, ③ material support, ④ assessmental support.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mean score to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as 2.855(sd=Q.879) in a possible range of 1 to 5 and the mean scores to each subscale were ① a situation of a house(m=3.142), ② a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m=3.049), ③ a physical and mental health(m=3.021), ④ clothes, foods, and economic status(m=2.924), ⑤ a self-image and a general life(m=2.893), ⑥ a relation- ship with friends and other persons(m=2.714), ⑦ recreational activities(m=2.647), ⑧ an occupation and a daily schedule(m=2.530). 2. Total mean score to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was 3.334(sd=0.973) in a possible range of 1 to 5 and the mean scores to each subscale were ① emotional support(m = 3.3 87)) ② informational support(m = 3.3 64), ③ assessmental support(m =3.34 l), ④ material support(m=3.236). 3.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highly (r=.7240, p=.00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 subscale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highly too, in a range of r=.3487 - .6879(p=.000). 4. The difference of mean score to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preliminary identification of responsors - for example, sex, age,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etc. - was not significa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supportors within daily living and the mean score to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Above results proved social support is very important factor in quality of life among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nd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help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o receive more support from their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hoods, etc. within daily living and to provide basic sources to develop various social work intervention plan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help their readjustment in a community liv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