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연구

Title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Symbolizing North Korea ‘Revolutionary Tradition’
Authors
조은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North Korea (N.K) has reaffirmed the fact they are still persisting in socialist regime for decades, even though there has been the anticipation of the collapse of N.K after the middle of 1990's. N.K had finished the preparation for power succession that had started around 1970's in 1990, and Kim Jong Il naturally seized the power passing by the shock-absorbing period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The power succession has been completed stably through the form that has him as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ttee again and has never seen before in other socialism nations. Of course N.K is experiencing a crisis caused by aggravation of its economy generated by the conflict between N.K and U.S and these problems are being discussed seriously. However it's not connected to the discussion of the collapse of N.K. Moreover, N.K is seeking changes by making many movements one of which is to study China's economic opening model keeping in mind China' reform and opening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rises. The 7.1 economic measures for improving economic administration and the visiting China of Kim Jong Il in January 2006 are seen as efforts to manage these crises and show its will for reform and opening. What are the driving forces that have maintained its regime stably in spite of the economical and political difficulties and the fact that threats to its regime springing from their choice for reform and opening are coexisting with it. This treatise has inquired what roles the symbolization of the revolution tradition of N.K has played as a mechanismof unifying the regime for the passed fifty years by analyzing it. For this, ithas arranged the political history of N.K plac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s the center, and it has drive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dividing the times. Also, it has studied how the intentions of the political power holdersare applied to people's daily life and have the force of unifying society through inquiring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s its symbol in N.K by analyzing symbolization. The summary of the treatise is as follow. 'The period of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the period that the power of Kim Il Sung and the partisan party was superior but there were some critical situations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of that time had to establish the fact that it was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t, therefore, emphasized the history of supporting the legitimacy of Kim Il Sung party through symbols of place and sculpture which directly express it. Although the 'Hyeok-myeong-jeon-jeok-ji-dal-ri-gi' which is an event that people run around places which the revolution was occurred was performed, it was not the type of exploration marching like the present. 'The period of institutionalizing and constructing ideology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a great conversion period that Kim Il Sung monopolized the political power.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deepened the childhood story of Kim Il Sung and the contents of revolutionary songs in order to emphasize that his natural disposition as a leader and ability of revolution had been continuing long before the period of the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Thus,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as symbolized through all symbols such as symbol of place, symbol of sculpture, symbol of language, symbol of art and symbol of deification and so on in order to express the tradition of revolution of the victor at this time. After all symbols started being built, the contents and symbol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as brought into play, then the 'Bae-um-ui-cheon-ri-gil' exploration marching begun to be organized after 1973. 'The period of access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theperiod at which the change generated by appearance of a new figure as a man of political power was emphasized. The contents of the established tradition of revolution transformed into the contents on Kim Jung Il among which the fact of the succession was emphasized at this time.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changes of the contents were reflected on symbols. And the fact of the succession and the changes of contents were explained by symbols of language and art and deification more than by symbols of place and sculpture. The symbol of the period, therefore, was intensively expressed through symbols of them. Also,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that after all symbols of the period of institutionalizing and constructing ideology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ere presented as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institutionalized, it tried to emphasize the disposition and ability of Kim Jung Il as the successorby using synthetically symbols through the process of formalization. So to speak, the form and content of the exploration marching was established as performed now, what we must pay attention here is that the exploration marching was retroactively applied up to the achievement of Kim Jung Il's childhood (June 1956, the Pyongyang first high class middle school years). From that time on, the exploration marching has been institutionalized being actively used as a tool of justifying the political power of Kim Jung Il who is a new political power holder. To cope with the crisis caused by the death of Kim Il Sung, the existing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as emphasized at 'the period of preservation and re-creation'. This was renewedly presented as an achievement of Kim Jung Il later. Reflecting this, the continuity of the regime was emphasized through routinizing each symbol. It had been re-crea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s the military-first policy placing language symbol as the center later. It, however, is propositioning that the new invented military-first policy came from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t always emphasizes that the regime of Kim Jung Il is on the line of continuity of the regime of Kim Il Sung. It could affirm the fact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consolidating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as being built through the process of restoration and re-creation of the tradition by analyzingthe symboliz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the exploration marching which is a concrete case. The exploration marching is a ceremony established with the national plan and apolitical intentions, it is composed of size, time, participants and so on. It motivates people from young age to adult to participate regularly in various ways. This has the symbol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bsorbed in people's daily life through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eople naturally receive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government by making people participate in the exploration marching regularly or periodically. N.K has been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this is emphasized especially when it is experiencing conversion and has threats to its regime. After the nuclear problem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volving relation between N.K and U.S became worse, Kim Jung Il visited 'Baekdusan hyeok-myeong-jeon-jeok-ji' and he pointed out that the exploration marching had not been normalized except for the periodical national exploration and told that the exploration must be normalized. The directreference of the leader on normalizing the exploration marching which is being emphasized as an educ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means that internal or external threats to its regime are existing and he again stresses it as a method to overcome them. This could be conversely an important base data to predicatethe changes of the society and the regime if the changes of symbols which symbolized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formalization which is the process managing institutionally are detected. In the sense, that it emphasizes the established tradition of revolution of Kim Il Sung as the military-first policy while the conversion to the regime of Kim Jung Il has been maintained stably is shown as an effort to have the originality of Kim Jung Il's regime being maintained stability of the regime switchover. On the other hand, to emphasize that the achievement and the military-first policy of Kim Jung Il is the result of succeeding the exis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ithout modifications reflects the facts that it is experiencing economical difficulties and national isolation caused by conflicts one of which involves the N.K nuclear problem between N.K and U.S and international society. It emphasize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by strengtheningthe marching spirit of the partisan, military spirit, that is, the tradition of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t will emphasize concentration through changes when its regime is stabilized, and it will promote unification of society through strategy preserving and stressing the tradition and symbols when it is unstable due to threats to its regime. Also, as long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threats to its regime such as the nuclear problem and conflict between N.K and U.S by which economical difficulties were caused and so on exist, it would keep emphasizing that it maintains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hich begun from Kim Il Sung. The efforts of inventing the tradition and consolidating the legitimacy of its regime through symbolization of it for a long time has become the cultural basis for maintaining unification of society and stability of political authority. Namely, the symboliz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develops a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 and system of humanity of socialism and makes people adaptive to the system and has them assess positivelyon the leader. Thus, N.K society is being maintained even in a worst situation like economical difficulties contrary to expectations.;북한은 1990년대 중반이후 ‘붕괴론’에 대한 예상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년 동안 북한은 사회주의체제 고수를 재확인 하였다. 북한에서는 1970년대를 전후로 해서 준비하기 시작한 권력승계에 대한 준비를 1990년에 마무리 하였고, 김일성의 사망이후 3년간의 완충기를 거쳐, 김정일이 자연스럽게 권력을 장악하였다. 1998년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추대 하는 형식 등을 통해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권력승계가 안정적으로 완성되었다. 물론 최근 북한은 북ㆍ미 갈등과 그것으로 인한 경제의 악화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심각히 논의되고 있지만 그것이 ‘북한 붕괴론’ 논의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또한 최근 북한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중국식 개혁ㆍ개방을 염두해 두고 중국식 경제개방 모델을 연구하는 등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2002년의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2006년 1월 전격적인 김정일의 중국방문은 개혁ㆍ개방에 대한 의지와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여 진다. 이렇듯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또한 개혁ㆍ개방을 선택해 체제의 위협요인이 혼재한 가운데서도 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온 원동력은 무엇인가? 본 논문은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분석을 통해 지난 50년간 이것이 체제통합의 기제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북한 정치사를 혁명전통의 역사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시기구분을 통하여 각 시기마다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그를 바탕으로 북한에서 ‘혁명전통’을 상징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상징화 분석을 통해 정치 권력자들의 의도가 인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사회통합의 힘을 갖게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혁명전통의 확립기’에는 정치적인 상황이 김일성과 빨치산파가 권력이 우세하면서도 위기가 혼재했던 시기로 이때의 혁명전통의 내용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임을 확립해야 했다. 때문에 김일성 권력집단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역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공간 상징과 조형물 상징을 통해 강조하였다. 이 당시 <혁명전적지달리기>라는 행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답사행군의 형식은 아니었다. ‘혁명전통의 이념정립ㆍ제도화기’에는 권력투쟁에서의 승리와 함께 김일성으로 정치권력이 독점되는 대전환의 시기로 이때의 혁명전통의 내용은 김일성의 혁명능력과 지도자로서의 자질은 이미 항일무장투쟁시기 보다 훨씬 전부터 계속되어온 것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김일성의 어린시절과 革命家에 대한 내용으로 심화되었다. 때문에 이 시기에는 승리자의 혁명전통을 심화하여 표현하고 강조하기 위해 공간상징, 조형물상징, 언어상징, 예술상징, 신격화상징 등 모든 상징을 통해 혁명전통이 상징화되었다. 모든 상징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이후 혁명전통의 내용과 상징이 동원되어 1973년 이후 <배움의 천리길>답사행군이 조직되어지기 시작하였다. ‘혁명전통의 계승기’에는 정치권력자로서 새로운 인물의 등장으로 인한 변화가 강조되었던 시기로 혁명전통의 내용에 있어서도 기존 혁명전통의 내용이 김정일의 내용으로 변화하여 강조되었고 그 중에서도 계승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내용의 변화가 상징에서도 반영되었는데 공간과 조형물상징 보다 언어, 예술, 신격화 상징을 통해 계승성과 내용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그래서 이시기 상징은 언어, 예술, 신격화 상징을 통해 집중적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혁명전통의 이념정립ㆍ제도화기’에 모든 상징들이 혁명전통의 내용으로 표현되어 제도화된 이후, 의례화 과정을 통해 상징을 종합적으로 동원하여 새로운 인물인 김정일의 후계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강조하려고 한 것이 특징이다. 즉 답사행군의 형식과 내용이 현재 유지되고 있는 답사행군의 형식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답사행군이 김정일의 어린시절 업적(1956년 6월, 평양제1고등중학교 학생시절)으로 소급되어 적용된 것이다. 이 시기부터 답사행군은 정치권력자로서 새로운 인물인 김정일의 정치권력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되면서 제도화되어 정착되었다. ‘혁명전통의 유지ㆍ신창출기’에는 김일성의 사망으로 인한 체제전환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혁명전통의 내용에 있어서 기존내용의 유지가 강조되었다. 이후 이것은 김정일의 업적으로 새롭게 되어진다. 이를 반영하여 상징에 있어서도 각 상징의 일상화 및 관례화를 통해 체제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이후 언어상징을 중심으로 혁명전통을 ‘선군전통’으로 새롭게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새롭게 창출된 ‘선군전통’이라는 것도 항일의 혁명전통에서 비롯된 것임을 항상 전제하고 있어 김정일 정권이 김일성 정권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항상 강조한다. 이렇게 혁명전통은 전통의 복원과 재창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면서 정치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혁명전통의 상징화 분석과 구체적인 사례인 답사행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답사행군은 정치적 의도와 국가적인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의례로서 그 대상과 시기, 규모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되며 모든 인민들이 어린 학생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정기적으로 또는 다양한 동기부여와 함께 참여하고 동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혁명전통’의 상징들이 인민들의 일상 생활속에서 교육 및 문화 활동들을 통해 인지하게 하고 답사행군이라는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국가의 정치적 의도를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혁명전통교양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이것은 국가 또는 체제의 변화와 위협요소 등 전환의 시기에 더욱 강조된다. 핵문제와 북미관계 등 국제정세가 악화된 이후 김정일은 2000년 3월 <백두산혁명전적지>를 방문하고, 최근 국가정기답사 이외에 정상화되지 못했던 답사행군에 대해 지적하고 답사행군을 정상화할 것에 대해 강조하여 언급하였다. 이렇게 ‘혁명전통’의 교양방법으로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답사행군을 정상화시킬 것에 대해 지도자가 직접 언급한다는 것은 북한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위협요소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시금 강조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것은 반대로 혁명전통을 상징화한 상징과 그것을 제도적으로 운영하는 과정인 의례화에 변화가 감지된다면 북한의 사회와 정치권력에 대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최근 북한에서는 김정일 체제로의 전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기존의 김일성의 혁명전통을 선군전통으로 강조한다는 것은 체제전환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김정일 체제의 독자성을 갖기 위한 노력으로 보여진다. 또 한편 김정일의 선군사상과 위업은 김일성의 혁명전통을 그대로 계승한 결과이며 같은 의미임을 재차 강조하는 것은 현재의 북한 핵 문제 등 미국과 국제사회와의 갈등으로 인한 국가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항일빨치산들의 고난의 행군정신, 군사 정신 즉 항일무장투쟁의 전통을 더 강화하여 극복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체제가 안정되었을 때는 변화를 통합 집중 강조를, 체제위협 등으로 불안정할 때는 전통과 상징의 유지를 고수하며 강조하는 전략을 통해 사회의 통합을 유도할 것이다. 또한 현재 북한 핵과 북미관계의 갈등, 그로인한 경제난 등의 국내외적 체제위협의 요소가 계속 존재하는 한 김일성부터 시작된 혁명전통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음을 계속해서 강조할 것이다. 북한의 오랜 기간에 걸친 전통의 창출과 그것의 상징화를 통한 정치권력의 정당성 강화노력은 이렇게 북한 정치권력의 안정성과 사회통합을 유지할 수 있는 문화적 바탕이 되었다. 즉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는 사회주의의 고유한 또는 독특한 문화적 특성과 인성체계를 발달시켜 일반인민들을 체제 순응적이고, 수령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하게 만든다. 때문에 북한사회가 경제적 위기 등의 최악의 상황에서도 예상과는 다르게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가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