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5 Download: 0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Title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Trauma Recovery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Authors
김현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 회복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혀 일반이주자가 아닌 난민이주자로서의 그들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통해서 사회복지적 이론과 함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 경험이란 어떠한 것인가?’, 그리고 ‘그들의 외상 회복경험이란 어떠한 것인가?’ 라는 연구질문으로 시작된다. 본 연구 방법론은 과거 난민으로서의 경험자가 입국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을 넘어서 그들의 외상 경험을 어떻게 회복하는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이 합당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중에서도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그들이 경험했던 사회문화적 맥락안에서 난민으로서의 개인 외상경험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반영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참여자가 진술한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이를 연구자의 학문적 용어로 전환시켜 시공간상의 전체 맥락에 따른 의미구조를 도출해 내는 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주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한국에 입국한 새터민들로서 남녀 20-30대 일반 성인으로 난민으로서의 공통된 경험을 하였으며, 현재 대학생, 주부, 전직의료인이다. 표집방법은 의도적인 눈덩이 표집으로써 본 연구의 주제를 잘 반영하는 대상자들 중에서 난민으로서의 경험을 진솔하게 드러낼 수 있는 대상자를 선택하였다. 상대적으로 남한사람들과 대인간 상호관계가 원활한 대상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수집은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이다. 하지만, 본 연구자가 2004년부터 시작한 자원봉사나 사적 모임을 통해 만나게 된 일부 대상자의 경우에는 주제에 관련된 부분은 메모를 통해 정리해 두었다. 참여대상자는 총 5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심층면접과 비구조화된 대화를 번갈아 적용하였다. 또한 참여자가 저술한 책이나 일기장, 이메일 교환, 가족소개 및 연구자가 대상자들을 만날 때 마다 기록한 노트 등을 활용하였으며, 사실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대상자들과 수시로 전화 교류를 하여 결과반영을 수정, 검토하였다. 면담횟수는 더 이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아 포화가 될 때까지 최소 5회에서 10회 정도였으며, 1회기에 최소 약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회복경험에서 기술된 내용을 연구자의 자유로운 상상적 변형을 통한 해석으로 총 462개의 중심의미를 도출시켜, 41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은 후 다시 6개의 구성요소로 정리하였다. 구성요소과 함께 하위구성요소를 함께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생존의 사투를 견디며 자의적ㆍ비자의적으로 신세계에 들어옴: 식량난으로 대파란이 일어남, 전시와 같은 사회분위기, 가족생활이 붕괴됨, 인접국에 관심을 갖게 됨, 가족해체를 딛고 중국으로 건너감, 불법체류자가 되어 정체성을 상실함, 보호받을 수 없는 무국적자 삶의 불안과 위험, 고통스런 수용소 생활, 선택의 여지가 없는 한국행, 제3국 통과의 시련을 거쳐 자의적ㆍ한국입국을 모른채 비자의적으로 입국함> < 예상하지 않았던 충격과 혼란: 입국 직후부터 하나원 교육시기까지 보호된 세계에서 직면한 충격과 희망의 엇갈림, 사회로 나오니 감당하기 버거운 현실을 인식함, 하나원 교육과 현실간의 괴리,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함, 남한사람의 차별적 태도는 새터민의 정체성을 숨기게 함, 언어차이로 이방인이되어 새터민의 정체성을 부정하게 됨, 정신적 속박을 주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경쟁의식, 본질적인 내면 교류의 한계로 남한사람과 공감대 형성이 안됨> <탈북의 의미상실: 단절된 애착대상에 대한 그리움과 죄책감을 느끼며 탈북을 후회함> <회복요인을 통한 고통의 극복: 고통의 세계 사람들인 새터민과의 단절시도, 도움이 될 만한 남한사람을 찾아나섬, 삶의 의미구축과 홀로삭힘, 종교적 대처, 자기 성찰, 강인성과 정신적 강화, 고통경험을 심리적 에너지로 전환시킴, 하향비교, 북한가족에 대한 도리를 다하고자 함, 가족기능을 고려함, 남한사람들로부터 실질적인 도구적 ㆍ 정서적 지지를 받음, 고통의 본질이 유사한 새터민들로부터 ‘우리’라는 동질성 회복, 술과 약물로 고틍을 해결하려 함, 정신건강에 대한 새터민의 이해부족과 그들의 경험 세계에 대한 남한사람의 이해부족> <새로운 삶에 대한 의미 회복과 통합적 태도 형성: 한국생활에 대한 긍정적 관점 형성, 남북한 통합적 태도를 형성> <외상의 고통을 통한 성장: 관계를 통한 혜택 인식, 외상 후 심리적 성장, 생존자의 역할을 하고자 함, 영성을 통한 새로운 관점 형성, 부모형제는 잊을 수 있으나 자녀는 자신의 삶을 확장시킴, 희망으로 내면의 고통을 넘어 현실을 지탱해 감>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함의로서는 우선 새터민들은 서구세계로 들어간 난민과는 달리 자신의 심리적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같은 새터민을 만나기를 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자신들을 받아들인 이주사회에 적극적인 동화를 추구하게 기여하게 한다. 하지만 후에 한국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서 남한사람과의 본질적인 심리적 교류의 한계를 느끼게 하여 자연스럽게 새터민과의 교류를 형성하게 되면서 새터민의 정체성을 회복하게 된다는 점이다. 동시에, 새터민은 회복요인들을 통해 외상 후 회복 및 성장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천적 함의로는 새로운 문화권에 들어온 새터민이 취약하고 상처받기 쉬운 현실 속에서도 도움을 구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들을 병리적이고 결핍된 모델(Papadopoulos & Hildebrand, 1997; Papadopoulos, 2001에서 재인용)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동시에, 새터민들에게 의료셋팅에서 이루어 지는 상담보다는 생태체계적 관점이 고려된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들 중 한국 입국과정에서 비자의적으로 들어오게 된 대상자나, 자녀를 잃은 부모의 경우에는 심리적 상실에 대한 애도 과정을 깊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본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새터민의 긍정적 회복 요인들을 적용하여 대상자에게 잠재되어 있는 긍정적인 대처 자원과 강점을 충분히 끌어 내도록 임파워시킬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들의 외상 회복을 도모하기 위하여 는 이타적 활동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 역시 중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새터민이 고용안정센터를 찾아가 직장을 구하게 되는 경우, 동시에 국가보조금 단절에 따르는 문제에 대한 검토, 그리고 새터민이 일정한 소득이 있는 남한배우자와 법적 결혼을 하게 되는 경우 국가보조금 중단과 영구임대아파트을 반납해야 한다는 점, 새터민 간에 법적 결혼을 하게 되어도 두 사람 중 한 명은 영구임대아파트를 국가에 반납해야 하는 점으로 인해 대다수의 새터민들은 가정을 이루게 되는 시발점부터 사실혼을 유지하게 되는 문제로 새로운 문화권에서의 결혼 적응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들의 사회생활 정착 초기에 발생하게 되는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예상하여 브로커비용만을 지급할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한두달 정도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출될 비용정도는 선지급해 주는 것이 이들의 정신적 안정을 도모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full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trauma recovery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South Korea, so as to develop a practice theory and to find social work implications. Two research questions are based: one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trauma?' and the other is 'what are their experiences of trauma recovery?' These questions are examin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troduced by Giorgi. A thorough investigation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trauma recovery is a new field because only a few researchers have been done on this topic in Korea. Thus, this researcher choos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approach. This researcher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trauma among this group by explor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er used this method to describe the North Korean refugees'words straightforward, transform them into disciplinary expression, and analyze the expression in depth. Because it using snowball sampling methods, 5 North Korean refugees were recruited, who were able to lively communㅑcate with this researcher. The participants ages range from 20 to 30. The data were collected for 6 months from June 2006 to November 2006. In-Depth Interview and on various personal records like subject's diary were used. Before the interviews, the interview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is participants and obtained the written informed consents from the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sufficient data, each interview was proceeding from 5 times to over 10 times and it took one to one and a half per interview on the average. Depending on participants, based on Giorgi's suggestion for analysis of scientific phenomenology, the researcher tried to grasp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statements by reading transcription several times. This researcher then transformed the given meaning units into the best disciplinary expressions of social work study. Using free imaginative variation, This researcher then derived 41 sub-constituents and 6 constituents from those meaning units which were described by a disciplinary expressions. The constituents and the sub-constituents as a result of analysis are: This researcher found out a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n trauma recover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with chronological descriptions of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he constituents.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refugees experienced the posttraumatic growth, all of their memory and emotion with relevant to trauma in the past could not disappear. Their vulnerability exis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discussed social work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In the theoretical aspect, this study provides it is possible for The North Korean refugees to experience the posttraumatic growth with recovery factors. this kind of study has been rarely in Korea. And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the pattern of recover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in a western country's refugees. In the practical aspect, this study suggests it be more effective to use not deficit model but ecosystemic and empowering model for the North Korean refugees. And when their growth is expanded, their adjustment in this new world can be more facilitated. In the political aspect, this study offers more flexible and alternative way of social policy, which would be reasonable for the contex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Finally, further researchers are expected to find more effective and positive recovering factors for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