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영-
dc.creator조윤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6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452-
dc.description.abstract1990년대 중반, 북한이 김일성 주석 사망, 경제난 등 대ㆍ내외 모두 위기에 처하게 되자, 북한의 붕괴가 곧 멀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의 전망과는 달리 북한은 고난의 행군 시기로부터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북한이 국가 붕괴의 위기 앞에서도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북한 사회가 정보의 유통이 철저히 차단된 채 주민들에 대한 통제가 잘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만약 북한 주민들이 사실에 근거한 북한 내의 소식과 남한 및 외국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면, 지금과 같은 엄격한 사회 통제는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북한 사회 통제의 핵심기제는 정보 통제라고 볼 수 있다. 최근 북한에서 외부 라디오 방송을 청취했다는 탈북자의 증언이 많아지고 있다. 외부 라디오 청취는 북한 주민이 외부로부터 직접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 정보 통제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는 북한 사회에서는 통제에 대한 주요한 일탈행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경제난 이후 외부 라디오 청취라는 일탈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바로 북한 당국의 정보 통제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가 약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외부 라디오 방송 청취가 단순히 정보 통제에 대한 주민들의 일탈 행위로서 그치지 않고, 의미 있는 현상이라고 판단되는 것은, 바로 북한 주민들의 의식변화와도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북한 주민들은 외부 라디오 방송 청취를 통해 통제되지 않은 정보를 습득하며, 이는 주민들의 의식 변화, 더 나아가 북한 사회 변화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북한주민의 외부 라디오 방송 청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에 입국한 탈북자 2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북한에서 외부 라디오 청취 경험이 있는 탈북자 10명의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북한에서 외부 라디오 방송 청취라는 일탈 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조사 결과를 근거로 경제난 이후 정보 통제에 대한 북한 주민의 지지가 어느 정도 약화되었는지, 그리고 이것이 북한 사회 변화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 대상자 208명중 64명이 북한에서 외부 라디오를 청취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전체 조사 대상자의 30.7%에 해당하는 것으로, 남한에 입국한 탈북자의 3명중 1명은 북한에서 외부 라디오를 청취한 경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외부 라디오 청취 경험자는 고정되어 있는 채널에 대한 호기심에서 라디오 청취를 시작하였으며(53.1%), 주로 KBS 사회교육방송, 미국의 소리 방송, 자유아시아 방송을, 밤 11시부터 1시 사이에 많이 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부 라디오 청취를 하다가 걸리면 중형에 처해지는 줄 알면서도 탈북자의 30.7%가 외부 라디오를 청취했다는 것은 사상적 당위성, 명분보다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욕구가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곧 집단적 정치생활보다는 개인의 경제를 위한 실리 위주의 생활이 더 중요하다는 북한 주민의 의식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북한의 정보 통제에 대한 명분도, 통제에 대한 주미들의 충성도도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외부 라디오 청취자 중 93.7%가 외부 라디오 청취를 통해 정보를 습득했다고 응답한 것이나, 90.6%가 외부 라디오에서 습득한 정보가 탈북에 영향을 끼쳤다고 응답한 것은, 외부 라디오 방송의 내용이 탈북자들에게 ‘정보’로서 작용하였으며, 이는 북한 주민의 의식 변화에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탈북자들이 북한에서 자신의 의지에 따라 외부 라디오 청취가 이루어졌지만 청취사실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없으며, 또한 언제 닥칠지 모를 검열로 두려웠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현재 북한 주민은 통제에 대한 명분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지만 여전히 북한 당국의 정보 통제에ㅐ 대해서는 암묵적인 합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경제난 이후 북한 주민들은 공적 원칙의 준수보다는 개인적 이익의 추구를 더 선호하며 이념적 가치보다는 물질적 가치를 더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기존의 체제에 대한 거부나 변화의 시도는 매우 무모하며 또한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외부 라디오 청취라는 일탈 행위를 통해서 현재 북한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외부 라디오 청취에 대한 통제 규제를 더욱 강화하는 한편 대북방송을 대폭 확대하고 있는 미국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는 북한 당국이 주민들의 외부 라디오 청취가 정보 통제뿐만 아니라 북한 체제 자체에 큰 타격을 미치는 행위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외부 라디오 청취는 북한 주민의 변화를 이끌어낼 뿐만 아니라 북한 체제의 변화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북한 주민의 외부 라디오 방송 청취는 경제난 이후에 발생한 일탈 행위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탈북자의 외부 라디오 청취 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해 경제난 이후의 북한 정보 통제 체제를 분석하고 있는 본 연구가 북한 사회 변화의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흐름을 읽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In the mid 1990s as North Korea was threaten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ith Kim Il Sung's death and the economic crisis, North Korea's collapse was predicted as not too distant. However, contrary to the outside prospect, North Korea is maintaining the structure even now ten years after the "Painful March under Trials." The reason that North Korea was able to endure the threat of the structural destruction was because information to the citizens is strictly restricted in the North Korean society. If North Korean people can access the domestic news inside North Korea and information about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facts, such strict restraint on the society as now would be impossible. Therefore, the central mechanism in constraining the North Korean society is censorship on information. Recently, the defectors' testimonies to have listened to the outside radio broadcasts in North Korea are increasing.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is a way for North Korean people to receive information directly, and it can be seen as a significant deviating action against the restraint in the North Korean society under the strict censorship. Then, the increasing deviating acts to listen to the outside radio after the economic crisis means that people's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censorship has weakened.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is evaluated not only as the people's deviating acts against censorship but also a meaningful phenomenon in its relations to the North Korean people's change in consciousness. North Korean people acquire uncensored information by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broadcasts, and it can function as the driving force to change not only in the people's consciousness but also in the North Korean society. However, despite such significance, the study on the North Korean people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is almost nonexistent. Thus, this study, based on a survey of 208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nd depth interviews of ten defectors with experience in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while residing in North Korea, examines how the deviating acts of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broadcast in North Korea is occurring. Als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t analyzes how much the North Korean people's support on the censorship weakened after the economic crisis as well as its impact to change the North Korean society. The result is as the following. Of the 208 surveyors, 64 answered to have had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while residing in North Korea. It is about 30.7% of the total surveyors, so one in three defectors arriving in South Korea can be seen as having listened to the outside radio in North Korea. Those having listened to the outside radio started out of curiosity about the set channel (53.1%) and mostly listened to KBS, Voice of America, and Radio Free Asia between 11 p.m. and 1 a.m. The fact that 30.7% of defectors, fully aware of the severe penalties from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have listened to them means that they have had stronger desire for the new world rather than the ideological justification. In other words, it reflects the change in the North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valuing the practical life for individual economy rather than collective political life, and in the midst of such change, the North Korean justification for censorship and the people's loyalty for the restraint have both weakened. The fact that 93.7% of the listeners acquired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radio or that 90.6% have responded that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utside radio had influenced their defection shows that the outside radio broadcasts have worked on the defectors as "information" and that it has worked as the driving force to change the North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However, the defectors testified although they had listened to the outside radio according to their will, they could not have shared the experience with others and that they have feared the unexpected inspection. This can be seen as that currently North Korean people do not agree with the justification on the censorship but still share the silent consensus on the government's censorship. Thus, after the economic crisis, North Korean people are changing to prefer pursuing personal profits rather than the compliance of official rules and considering the material value more important than the ideological value but still recognizing the rejec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or the attempt to change as extremely reckless and also impossible. Thus, the deviating act of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has brought much change in North Korea. Recently, the North Korean regime has strengthened the restraint on the people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and sensitively responding to the US move of expanding the broadcast to North Korea. It means that North Korean regime considers the people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as not only the issue of censorship but also the threat to maintaining the North Korean structure. Thus,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not only encourages the change in the North Korean people but also influences the change in the North Korean structure. As examined above, North Korean people's outside radio listening connotes much more than deviating acts since the economic crisis. Therefore, I expect that this study analyzing the North Korean censorship structure since the economic crisi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efectors' experiences of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would help read the specific and realistic trend in the changing North Korean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5 3. 연구 설계 10 3.1. 분석틀 10 3.2. 연구방법 및 대상 16 3.2.1. 연구방법 16 3.2.2. 연구 대상자의 특성 18 3.2.2.1. 심층면접 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18 3.2.2.2. 설문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0 Ⅱ. 북한 주민에 대한 정보 통제 체제 22 1. 북한의 사회 통제 메커니즘 22 1.1. 당의 사상적·조직적 통제 23 1.2. 물리적 통제 27 1.3. 물질적 통제 30 2. 북한 주민에 대한 정보 통제 33 2.1. 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35 2.1.1. 대중 매체 접근의 제한 35 2.1.2. 타 지역으로의 이동 및 다른 주민과의 접촉 제한 39 2.1.3. 통신 수단 이용의 제한 41 2.2. 언론 기사의 제한 42 2.2.1. 북한 기사의 작성 과정 44 2.2.2. 기사의 내용 45 2.2.3. 기사의 사전 검열 46 2.3. 주민의 정보활동 감시 47 3. 경제난 이후 사회 통제의 변화 48 Ⅲ. 탈북자의 북한에서의 외부 라디오 청취 실제 57 1. 북한의 외부 라디오 청취 환경 57 1.1. 라디오 소유 57 1.2. 북한에서 청취 가능한 외부 라디오 방송 61 2. 탈북자의 북한에서의 외부 라디오 청취 실제 64 2.1. 외부 라디오 청취율 64 2.2. 외부 라디오 청취 계기 71 2.3. 주요 청취 채널 및 내용 73 2.4. 청취 빈도 및 시간 78 Ⅳ. 외부 라디오 청취를 통해서 본 북한의 정보 통제 81 Ⅴ. 결론 99 참고문헌 109 Abstract 115 부록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49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경제난 이후 북한 주민의 정보 통제에 대한 변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orth Korean People's Transformation on Information Control Since the Economic Crisis: Focused on Listening to the Outside Radio-
dc.creator.othernameCho, Yun Young-
dc.format.pagevii,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