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재가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itle
재가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Authors
성지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인은 많은 고통과 건강문제를 가지고 오래 사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여 노인의 인지기능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자료는 2006년 10월 1일부터 2006년 11월 31일까지 본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로 경기도 A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04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총 64문항의 질문지로 그 세부사항은 일반적 특성 7문항, 생활습관 2문항, 인지기능 19문항, 삶의 질 36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ANOVA, Duncan tes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연령(χ2=29.36, p=.000), 성별(χ2=7.00, p=.030), 결혼상태(χ2=10.67, p=.033), 교육정도(χ2=19.87, p=.000), 한달수입(χ2=10.08, p=.040), 음주(χ2=15.25, p=.000)여부에 따라 인지기능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따라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의 8개 하부영역 중 신체적 기능 상태에서는 연령(F=6.04, p=.000), 음주(F=12.49, p=.000) 신체통증에서는 한달수입(F=3.56, p=.030), 음주(F=4.78, p=.010) 사회적 기능상태에서는 음주(F=3.27, p=.040)와 흡연(F=3.23, p=.040) 정신적 건강상태에서는 한달수입(F=3.47, p=.030) 총 삶의 질에서는 한달수입(F=3.23, p=.040)과 음주(F=4.01, p=.020)여부에 따라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인지기능에 따라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삶의 질 8개 하부영역 중 신체적 기능상태(F=10.34, p=.000), 육체적 역할(F=3.90, p=.021), 신체통증(F=3.02, p=.050), 활력도(F=4.84, p=.010), 사회적 기능상태(F=4.68, p=.010), 정신적 건강(F=3.87, p=.020)와 총 삶의 질(F=7.62, p=.001)이 인지기능의 세 집단(26점 미만, 26점 이상~30점 미만, 30점 이상)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질의 8개 하부영역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신체적 기능 상태에서 인지기능(p=.001), 성별(p=.002), 직업(p=.045), 음주(p< .000)가 신체통증에서는 인지기능(p=.001), 연령(p=.018), 결혼상태(p=.081), 직업(p=.002), 교육정도(p=.028), 음주(p=.000)가 사회적 기능 상태에서는 인지기능(p=.003), 연령(p=.038), 결혼상태 (p=.013), 직업(p=.018), 교육정도(p=.015), 음주(p=.002)가 정신적 건강상태에서는 한달 수입(p=.005)이 총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인지기능(p=.001), 성별 (p=.002), 음주(p=.001)가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인지기능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상 노화에 의해 나타나는 인지기능의 변화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As society was rapidly aging with rising life expectancy, more and more senior citizens are forced to face enormous challenges and health problems and suffer longer than b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senior citizens and confirm the impact cognitive function has on their quality of life.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one-to-one interview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1, 2006 and November 31, 2006. Interviewees were 60 years old and more and A City residents in Kyeonggi Province. They voluntarily took part in the one-to-one oral interviews and all of them understood the aim of the study and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64 questions: 7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2 on life habit, 19 on cognitive function, and 36 on quality of lif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ANOVA, 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program.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tudy analyzed a cognitive function gap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 habit, and i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gnitive function gap in age (χ2=29.36, p=.000), gender (χ2=7.00, p=.030), marital status (χ2=10.67, p=.033), education level(χ2=19.87, p=.000), monthly income (χ2=10.08, p=.040) and drinking(χ2=15.25, p=.000). 2. The analysis of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ife habit indicates that in eight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there are notable statistical gaps: a gap in physical functioning in terms of age (F=6.04, p=.000) and drinking(F=12.49, p=.000), a gap in bodily pain in terms of monthly income(F=3.56, p=.030), drinking(F=4.78, p=.010), a gap in social functioning in terms of drinking(F=3.27, p=.040) and smoking(F=3.23, p=.040), a gap in mental health in terms of monthly income(F=3.47, p=.030) and a gap in total quality of life in terms of monthly income(F=3.23, p=.040) and drinking(F=4.01, p=.020). 3. The analysis of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cognitive function suggests that in eight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bodily functioning (F=10.34, p=.000), role physical(F=3.90, p=.021), bodily pain(F=3.02, p=.050), vitality(F=4.84, p=.010), social functioning(F=4.68, p=.010), mental health(F=3.87, p=.020) and total quality of life show important statistical gaps in three cognitive function groups(below 26 points, 26~30 and above 30). 4. The study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eight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cognitive function (p=.001), gender(p=.002), occupation(p=.045) and drinking(p< .000), In terms of pain, cognitive function (p=.001), age(p=.018), marital status(p=.081), occupation(p=.002), education level(p=.028) and drinking(p=.000), In social functioning, cognitive function(p=.003), age(p=.038), marital status(p=.013), occupation(p=.018), education level(p=.015), drinking(p=.002), In terms of mental health, monthly income (p=.005), As a significant statistical variable, cognitive function(p=.001), gender(p=.002) and drinking(p=.001) appeared to be the factors to impact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cognitive function affects senior citizens’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senior citizen needs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and we should seek the method for raising their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