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의 이면

Title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의 이면
Other Titles
The Hidden Sides of The Family of Man: The propaganda of Americanism
Authors
김나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amily of Man, which was planned by Edward Steichen(1879-1973), the director of Department of Photography at the Museum of Modern Art(MoMA), in 1955. After a huge success at the museum, the photography exhibition went on a tour around 38 nations in the worl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USIA) for seven years. There is no doubt that it's one of the monumental blockbuster exhibitions in the 20th century with the total visitors of nine million. Such a popular success and personality, however, rendered the exhibition familiar and not fully understoo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e temporary conditions of the exhibition, the fact that the exhibition didn’t deal with the complete works of consistent artists made it rather difficult for the conventional art critics to cover it. Consisting of 503 works by 273 photographers, the exhibition had a variety of status and origin of the photographers and photos, which didn't allow the critics to regard them as consistent ‘artistic works’ by an ‘artist.’ Thus this study tried to deal with the exhibition as a kind of text telling a story of America and arts in the 1950s covering the entire tour from 1955 to 1962 and assuming the curator Steichen as the text's author. Accordingly it reorganized an artistic exhibition that doesn’t exist any more in the context of the world history and artistic history of the times. The operation was intended not only to interpret the hidden sides of the exhibition, which treated the ‘history’ of mankind of the times as the ‘mythology’ that mankind was one family, but also to reveal that America’s modernist arts and modern museums that argued for only ‘arts’ with the exclusion of ‘politics’ were actually the products and devices of the mainstream ideology that they belonged to.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that took a critic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in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sition and meanings of the exhibition in the history of American’s modernist arts. The impulses of antinomy inherent in modernist arts were detected in that MoMA applied the opposite positions of depoliticized aesthetics and propaganda to its ‘paintings’ and ‘photo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the exhibition. Thus the study considered the history of paintings and photos, which the conventional formalistic criticism tried to separate, as the relational terms tangled up with each other in the cultural policies during the Cold War period. For the discussion purposes, the background of planning the exhibition was reviewed. The United States gradually formed its national identity called Americanism as there came the Cold War period after the Second World War under the social situations in the 1950s.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was also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history through the process of America’s modernist arts being institutionalized in MoMA and photography being integrated into arts there. It was under those contexts that The Family of Man held in MoMA was analyzed in details. The conviction in the objectivity of photographs that made the materials of the exhibition was established by the identity of photographers during the Golden Age of photojournalism after the war, the institutional device such as publications, and social discourse. The installations of the exhibition had popular features added to the abstract forms of Modernism. It’s also pointed out that the exhibition’s narrative based on the objectivity of photography and modernist aesthetics was nothing but the mythology of sentimental humanism that would erase the unique historical situations. In other words, the university of the worldwide ‘Family of Man’ that the exhibition tried to talk about was none other than the American vision for the ‘one world’ or Americanism in the end. That’s how the exhibition ended up with being used as a tool of cultural imperialism on a world tour sponsored by the USI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he investigator tried to discuss The Family of Man as a case of Americanism’s propaganda. The trial derived from the expectation to open a place of criticism by juxtaposing the demographic potential inherent in photos, the medium of mechanical reproduction, and an exhibition at a public museum with the ideology of power that prevented the potential from being implemented. It’s also noted that The Family of Man employed the approach of mixture occupying the middle zone among the opposite terms comprised of antagonistic elements such as fine and propaganda art, high and low culture, and culture and exhibition value. The exhibition seems to take a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America’s modernist arts in that it put modernist arts to perversion and contamination crossing the boundaries of the dichotomous opposite terms of Modernism. Such an evaluation is not an attempt to include The Family of Man in the expanded examples of the success of America’s modernist arts. On the contrary, it’s a trial to shed light to the different sides of the history of America’s modernist arts by regarding the exhibition as a case where the purity of Modernism was contaminated and an example of the ‘culture value’ of a modern arts museum being damaged.;본 논문은 뉴욕 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1955년에 사진분과 디렉터인 에드워드 스타이켄(Edward Steichen, 1879-1973)에 의해 기획된 ‘인간가족(The Family of Man)’전에 대한 연구이다. 이 사진전은 현대미술관에서 대성공을 거둔 이후 7년간 미국 공보처(USIA)의 후원 아래 38개국에 해외 순회되며 총 900만 관람객을 동원한 20세기의 기념비적인 블록버스터 전시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대중적 성공과 대중적 성격은 오히려 이 전시를 친숙하면서도 불충분하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더욱이 전시라는 일시적 상황과, 일관된 작가에 의한 완결된 작품을 다루지 않은 전시의 특성은 기존 미술 비평에서 다루기에는 다소 껄끄러운 것이었다. 왜냐하면 전시는 273명의 사진가들에 의한 503점의 사진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사진가와 사진이라는 것도 그 위상과 출처가 다양하여 ‘예술가’의 ‘예술 작품’으로 일괄하여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연구대상을 1955년부터 1962년까지 순회되어 나간 전시의 행적 전체로, 전시의 저자를 큐레이터인 스타이켄으로 보고, 이 전시를 1950년대 미국과 미술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종의 텍스트로 다루고자 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한 미술전시를 당시의 역사적 그리고 미술사적 맥락 속에서 재구성해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당대 인류의 ‘역사’를 인류는 한 가족이라는 ‘신화’로 다룬 전시의 이면을 해독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정치’를 제거한 ‘예술’만을 주장한 미국 모더니즘 미술과 모던 미술관이 사실은 그것이 속한 주류 이데올로기의 산물이자 장치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특히 본고는 이 전시를 정치, 사회, 경제적 문맥 속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본 이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삼아, 전시가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는 전시를 개최한 이 시기의 현대미술관이 탈정치화된 미학과 정치 선전이라는 상반된 입장을 ‘회화’와 ‘사진’에 각각 적용시켜 동시에 취한 데에서, 모더니즘 미술에 내재된 이율배반적 충동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형식주의 비평에서 분리시키려 했던 회화사와 사진사를 냉전기 문화 정책 안에서 서로 얽힌 하나의 관계항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를 위해, 먼저 전시의 기획 배경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미국의 사회상황 속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기에 이른 미국이 아메리카니즘이라고 불릴만한 국가 정체성을 형성해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뉴욕 현대미술관 내에서 미국 모더니즘 미술의 제도화 과정과 사진이 이곳에 들어와 예술로 합법화된 과정을 통해 전시의 미술사적 배경을 구성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1955년에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인간가족’전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전시의 재료인 사진의 객관성에 대한 신념은 전후 포토저널리즘의 황금기에 사진가의 정체성, 출판물과 같은 제도적 장치, 그리고 사회적 담론들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전시의 설치는 모더니즘의 추상 형식을 기반으로 하여 대중성을 가미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진의 객관성과 모더니즘 미학에 기반을 두고 구축된 전시의 내러티브가 특수한 역사적 상황들을 지우는 감상적 휴머니즘의 신화에 다름 아니었음을 밝혔다. 요컨대 전시가 말하고자 한 전 세계적 ‘인간 가족’의 보편성이란 결국은 ‘하나의 세계’에 대한 미국적 비전, 즉 아메리카니즘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 전시가 미 공보처에 의해 해외로 순회되면서 문화제국주의의 도구로 귀결됨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인간가족’전을 아메리카니즘의 정치적 선전 사례로 논의하고자 했다. 이는 기계복제 매체인 사진과 공공 미술관 전시에 내재된 민주주의적 잠재력과 그 잠재력의 실현을 가로막는 권력의 이데올로기를 병치시킴으로써 비판적 장을 열길 기대한데서 비롯되었다. 또한 ‘인간가족’전이 순수미학/정치선전, 고급문화/대중문화, 제의가치/전시가치라는 서로 적대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대립항들의 중간 지대를 점유하며 혼용의 방식을 사용했음에 주목했다. 이 전시는 모더니즘의 이분법적 대립항들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모더니즘 미술을 오용하면서도 오염시킨 점에서,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 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인간가족’전을 미국 모더니즘 미술의 성공의 확장된 예로서 포함시키려는 시도가 아니라, 역으로 모더니즘의 순수성이 오염된 사례이자 모던 미술관의 ‘제의 가치’가 훼손된 예로 봄으로써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의 또 다른 한 단면을 조망해보고자 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