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7 Download: 0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학교 적응곤란 중학생의 생명존중 의식과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학교 적응곤란 중학생의 생명존중 의식과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ife-Respect Education Programs on the Respect for Life and Attitudes Toward Suici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iculties Adjusting to School Life
Authors
심민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우리 사회는 외래문화의 무분별한 도입과 고도의 산업화 과정에서 야기된 물질만능주의로 생명경시 풍조가 심화되었고, 청소년 비행과 자살 행위가 증가되어 생명의 가치가 상실될 지경에 처해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자살에 대한 올바른 진실을 알려주기 위한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 ‘내 생명 소중하게 가꾸기’를 시행하여 생명존중 의식과 자살태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성북구에 소재한 5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38명의 학생이다. 학교생활의 적응문제로 교내 사제동행(師弟同行)팀으로 지정된 학생들로 이루어진 실험군 18명에게는 2006년 10월 16일부터 11월 19일까지 총 5회기에 걸쳐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시행 전후 사전ㆍ사후 검사를 시행하였고, 대조군 20명에게는 프로그램 참석 기간과 동일한 4주의 간격을 두고 사전ㆍ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에서 2006년에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생명의 소중함과 생명존중의식 함양, 자살태도 확립, 자살예방교육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도구는 이시형 등(2004)이 제작한 생명존중의식척도(Cronbach α=.578)와 오승근(2005)이 Domino 등(1982)의 척도를 번안한 자살태도척도를 본 연구자가 수정(Cronbach α=.680)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versio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test, t-test, paired t-test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생명존중 의식 수준이 대조군보다 향상되었다. 2.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자살태도 점수가 대조군보다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생명존중 의식을 함양시키고, 자살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청소년들을 위한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이 학교현장에서 널리 보급, 활용되어 청소년 자살 예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Koean society today has been plagued with a tendency to take life lightly, as a result of the materialist mentality created by the imprudent introduction of foreign cultures and rapid industrialization. Adolescent delinquency and suicide rates have risen to such a degree that the value of life itself is on the verge of being lost. From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a respect-for-life education program, 'Loving my Life,' on the respect for life and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adolescents. This education program aims to remind adolescents of the sanctity of life, and inform them of the truths about suici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 students enrolled in 5 different middle schools in the Seongbuk-gu area of Seoul. Of these students, 18 had been assigned accompanying teachers on campus due to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school life. These 18 students were subject to 5 sessions of 'Loving my Life' programs between October 16 and November 19th, 2006. Pre- and post-administration examin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20-person control group, pre- and post- examinations were conducted with the same four week interval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Samsung Life Insurance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2006, and is comprised of content regarding the sanctity of life, the development of a respect for life, establishment of desirable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Respect for Life Awareness Scale (Cronbach α=.578) developed by Lee Si-Yeong et al. (2004), and a readjusted version (Cronbach α=.680) of the Oh Seung-Geun (2005) adaptation of the Domino et al (1982) Suicide Attitude Scal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χ2-test, t-test, and paired t-test, etc., provided in SPSS version 11.0.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Loving My Life program, respect for life awareness r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2.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Loving My Life program, positive changes were effected in suicide attitud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respect-for-life education programs nurtured a respect for life awareness among adolescents, and effected positive changes in suicide attitudes. As is such, it is hoped that adolescent respect-for-life programs may be widely propagated and utilized among schools to contribute to the stemming of adolescent suici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