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여성의 영성을 위한 영성교육 모델연구

Title
여성의 영성을 위한 영성교육 모델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irituality Education Model For Women's Spirituality
Authors
尹鉉晶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여성영성교육모델연구기독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여성의 영적 성장을 위한 영성교육을 함에 있어서 여성신학적 관점으로 기독교 전통과 심리학의 전통을 비판함으로 여성의 영성발달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찾고 여성의 경험을 기반으로 영성교육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제 1장은 본 논문의 서론부분으로 기독교 전통 속에 묻혀 있던 '영성'의 개념이 최근 대두하게 된 원인과 상황적 배경을 설명하고 논문의 연구목적과 의의를 밝혔다. 제 2장에서는 여성의 영성발달을 위한 영성교육 모델 구성작업을 위한 이론적 작업으로서 이 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첫번째 부분은 '영성'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영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그 이해를 살펴보고, 역사적으로 영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여 왔는가를 검토해봄으로써 영성이 기독교 전통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두번째 부분은 앞에서의 영성이해를 기반으로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성을 세 가지의 특성으로 나뉘었는데, 첫째 영성이 관계맺음을 통해 성장하여 간다는 점을 통해 영성교육이 관계의 장을 만들어줌으로써 그것이 가능하며, 둘째 영성이 한 순간의 일회적인 신비체험이나 지식에 의해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긴 인생의 삶을 통해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영성교육이 가능하며, 마지막으로 영성은 이러한 삶의 과업이기에 인간의 여러 측면에서의 발달단계와도 관련이 되어 영성교육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제 3장은 2장에서 밝힌 영성교육이 가능함을 전제로 '여성의 영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이 정의를 바탕으로 이제까지 여성들의 영성발달에 지장을 초래해 온 요인이 기독교 전통과 심리학의 학문적 풍토에 있음을 여성의 경험을 근거로 살펴 보았다. 기독교 전통이 남성의 경험, 남성의 가치관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여성을 소외시켰는데 그 대표적인 원인인 하나님의 남성적 이미지가 어떻게 여성의 영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였고, 심리학의 전통에서는 성차별적이고 여성을 제외시키는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보고 이에 대한 여성학자들의 비판을 제시함으로 영성교육의 모델을 할 때 교육의 목적과 목표들을 세울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제 4장은 2장과 3장에서의 이론적 토대를 기반으로 여성의 영성을 성숙하게 하는 영성교육 모델을 제안 하였다. 먼저 널리 알려진 영성교육 모델인 포스터의 훈련 중심 모델과 컬리의 양육 중심 모델을 살피고 이 모델들의 한계를 검토함으로써 이것들을 여성에게 그대로 수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여성의 영적 성숙이라는 목적 하에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의 자아 정체성 확립, 지.정.행의 통합된 인격 그리고 이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여성 공동체 형성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 목표들은 여성의 영성교육에서 가장 기초를 형성하는 자아의식에 강조점을 두고 세우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목표들을 가지고 실제적인 교육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Maria Hariss의 통찰에서 도움을 받았다. 그녀는 직관 혹은 감각에 대한 중요성을 말하고 여성의 직관을 수용하는 상상력을 통한 교육을 제안하였는데 침묵-깨달음-비애-결속-탄생의 5 단계로 구성된 재창조의 모델을 영성교육 모델로 구성하였다. 그것은 상상력이 여성의 몸, 인지, 정서 이 모든 것을 통합하여 새로운 창조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힘이라 보고 이를 영성교육에 적용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논자는 이것을 근거로 여성의 영성교육을 위한 교육모델을 구성하였다. 제 5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논문의 내용 요약과 의의 및 한계를 밝힘으로 앞으로의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함으로 본 논문을 마친다.;This thesis is an attempt to find the factor that check the development of Women's spirituality and to organize a spirituality education model that seek the women's maturity on the basis of women's experience, by criticizing the tradition of Christian and psychology in the feminist persfective in spirituality education for women's spiritual growth. In the first chapter, I explain the cause that the 'spirituality' berri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became powerful, and the contextual background and describe the motive and significance of this thesis. The second chapter is divided into two parts as a theoretical study of spiritulity educatio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women;s spirituality. The first part is described that the spirituality is related to Christian tradition closely through examining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some scholors for the 'spirituality', and how they have understood and practical the 'spirituality' in history. Second part is described the possibility of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basis of the former understand of spirituality. I divide the spirituality into three characters. First, for spirituality become grow through relationship, spirituality education become possible as designing the context of relation. Second, for spirituality has the character that grow gradually through long human life, spirituality education become possible. In conclusion, for spirituality is related to many ways of human development stage, spirituality education become possible. In the third chapter, I give a definition about 'What is the Women's Spirituality?' presupposing possibility of spirituality in the second chapter and on the foundation of this definition, I explain the cause that had checked the development of women's spirituality all this while was i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academic tradition of psychology. In the Christian tradition women are alinated. And the representative cause of this is men's image of God. So I attempt to study how men's image of God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women's spirituality. In the psychological tradition, I examine the developmental theory that criminated and alinated women and show the critique of feminist theologian on this theory. By that means, I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ould build the goal of spiritu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hapter 2 and 3, in the fourth chapter I propose spirituality education node1 for maturing women's spirituality. First I examine the descipline model of Foster and the nurture modrl of Cully, and I make clear limits of this models. And with the object of maturity of women's spirituality, I take aim at women's Self-Identity establishment, unified personality as cognition, affect and action, arid building up women's community that can support them. In making practical education model with these goal and objects, Maria Hariss'es provides an important insight. She explained importance of intuition or sensibility and proposed the education through imagination received women's intuition. She considered that imagination was the power could be raised new creativity and change by unifying women's body, cognition and emotion. And she want to apply the imagination to the spirituality education. In addition to, I construct to spirituality education model for women's maturity. In conclusion, in the fifth chapter, the whole study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And I conclude clarify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thesis and mentioning some tas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