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영-
dc.creator김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3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교육사회학에서 성적 불평등이 부차적인 문제로 취급되어 왔다고 판단되어 교육사회학자들이 여성을 어떻게 취급했고, 여성의 경험을 어떻게 설명하였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페미니스트적 관심에서 출발한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할 주제는 1970년 이후부터 1987년 까지의 한국 일반대학원 교육사회학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에서 나타나는 학문적 성차별주의이다. 교육사회학 학위논문 분석을 통해 다음의 네가지 문제의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교육사회학에서 여성의 일반적 불가시성(invisibility)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둘째, 여성의 부분적 가시성(visibility)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셋째, 여성에 대한 설명과 남녀의 성차에 대한 설명이 어떻게 왜곡되어 설명되어지고 있는가? 넷째, 교육사회학에서의 페미니스트적 관심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네가지 연구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서 선정된 연구대상은 관찰·실험· 설문지·면접 등의 조사 연구로 연구방법을 택하고 있는 103편의 학위논문이며, 분석방법으로는 이들 논문의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한국 교육사회학이 일반적으로 여성의 경험과 여성을 연구주제와 대상으로 취급하지 않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주요 연구주제로 간주되고 있는 교육과 사회·경제적 보상과 관계에서 여성은 연구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또한 교육과 관련된 일련의 결과들을 종속변인으로 볼 때,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서 성변인을 취급한 논문은 적은 수에 불과하며, 성변인이 독립변인으로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연구의 분석 및 논의에서 대부분 매개변인으로 고려되어 통제되고 있다. 계층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는 경우 계층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경제적 지위(SES)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SES에서도 여성은 자신의 계층을 갖지 못한 채 남편의 SES에 의해 측정되고 있다. 결국 교육사회학은 연구주제와 대상에서 여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둘째, 여성이 주요 대상이 되는 연구주제는 여성의 표현적 역할에 관한 연구일 때이다. 가사노동, 자녀의 사회화와 관련된 연구주제에서 주요 연구대상은 여성이지만, 대부분 연구자들은 '어머니'로서의 여성과 그들의 자녀에 대해 관심을 가질 뿐 어머니 자신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셋째, 남녀의 성차에 대한 해석이 생물학적 결정론으로 환원되어 나타나고 있다. 여성과 남성이 본질적으로 다르게 태어났기 때문에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은 생물학적 차이에 따라 합리적으로 규정되고 사회적으로 여성의 위치가 낮은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되어지고 있다. 넷째, 교육사회학에서 성적 불평등에 관한 관심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성적 불평등의 연구들은 학교에서의 성역할 사회화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평등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이들 연구들은 질문지 등 주로 양적 방법에 의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사회학에서 여성의 경험과 여성은 연구주제와 대상으로 취급되고 있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한국 교육 사회학에서는 성적 불평등을 교육사회학의 주요 연구주제로 간주하지 않고 성적 불평등을 개인적 문제로 사소화시키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There has appeared in recent years of feminist critiques of social science. A feminist. is regarded as someone who believes that women suffer from systematic social injustice because of their sex. Feminism is the movement opposed to such injustice. Feminist social scientists have begun to analyse and to oppose such systematic social injustice by pointing to taken-for-granted biases deeply embedded within their own discipline. Men's-models' have influenced social science. This paper considers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from feminist perspective, an approach rather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accounts of the field. This study of reviewing the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sociology of education has two purposes : one is t. examine the patriarchal paradigm in Korea sociology of education, and the other is to academically invite the educationist to non-sexist, studies .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themes are explored in the study. First, how is the invisibility of women appeared in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Second, how is the visibility of women appeared in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Third, how is women or sex differences explained? Most of the evidence for my argument in this paper comes from a that systematic review of dissertations on the sociology of education that used some kind of empirical work since 1970.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 certain favourite themes nearly always exclude women : the studies about the effect of education o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 Most writers on these subjects give no reason for confining their attention to males. The choice OF male samples in studies of this sort reflects both the over-representation of men among the elites in society and the assumption that the work of men is of more interest and important than that of women. In another set of studies, the sex variable is controlled by extraneous variables, usually in order to focus on class differences in some educational outcome or linguistic practice. In other studies, data for both sexes are collected, but most of the discussion centres on the boys. Second, only a handful of the articles are centrally concerned kith women. In these articles, women have significance only as 'mothers', not as women. Researchers focus on women's roles of 'mother' and 'wife'. Third, most of the studies which report sex differences do not conceptualize sex as a major independent variable and education-related outcome as a dependent variable. Researchers present of at least some of the data cross-tabulated by sex, with little or no attempt to interpret the sex differences that emerge. Of them, the researchers which attempt to interpret the sex differences resort to biological explanation.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concludes that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has a patriarchal paradigm and is men's model. 1 expect that the feminist perspective of socilogy of education challenges men-made boundaries, rules, definitions and methodologies and posits female experience as a viable alternative for organiz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지식의 사회적 의미 = 6 B. 사회과학에서의 성차별주의(sexism) = 10 1. 성에 따른 사회적 역할 분절(segmentation) = 13 2. 남성중심 인간관 = 15 3. 여성의 사회적 열등성의 정당화 = 16 4. 성차별에 대한 생물학적 환원주의의 적용 = 19 C. 성적 불평등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설명등 = 23 1. 성적 불평등의 이해 : 관점별 차이 = 23 가. 평등주의적 접근 = 24 나. 여성중심적 접근[anti-sexist approach or girl-centred approach] = 28 2. 성적 불평등의 심층적 설명 : 주제별 이해 = 32 가. 이데올로기로서의 가부장제 = 32 나. 학교교육에서의 성차별 = 35 Ⅲ. 가정의 설정 = 39 Ⅳ. 연구방법 = 44 A. 연구자료의 선정 = 44 B. 분석방법 = 45 C. 연구의 제한점 = 46 Ⅴ. 연구결과의 분석 = 48 A. 여성의 일반적 불가시성(invisibility) = 48 1. 표집대상에서의 불가시성 = 48 2. 교육이 사회적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남성중심으로 수행 = 49 3. 독립변인으로 간주되지 않는 성변인 = 50 4. 통제되는 성변인 = 51 5. 남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측정되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배경 = 52 B. 여성의 부분적 가시성(visibility) = 54 1. 표현적 역할 수행자로서 여성 = 54 2. 자녀를 위한 '어머니' 연구 = 55 3. 성차 분석 = 56 C. 성차에 대한 생물학적 환원주의의 적용 = 56 D. 교육사회학에서의 페미니스트적 연구 = 58 Ⅳ.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4 부록 : 연구대상 논문 = 72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90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교육사회학-
dc.subject학위논문-
dc.subject성차별주의-
dc.title한국 교육사회학 학위논문에 나타난 학문적 성차별주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ademic Sexism in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 A Content Analysis of Essays and Dissertation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