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나림-
dc.creator차나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9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bout various aspects of peer conflict among children and its meanings By ethnographic approach based on age 3-4 children-onen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the cause of peer conflict, the method of solution toward peer conflict, and the result of peer conflict were thoroughly discussed in this thesi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following 1 What is the cause of peer conflict in Maehwa Class at Samto˘ Day-care? 2 What is the method of solution toward peer conflict in Maehwa Class at Samto˘ Day-care? 3 What is the result of peer conflict in Maehwa Class at Samto˘ Day-car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class of age 3-4 in Samto˘ Day-care located at K district in Seoul, and the subjects were 21 children and 1 teacher from an ordinary class, Maehwa Class and 6 children and 2 teachers from a special class, Daenamu Class Preliminary observation conducted from January 16th to 20th, 2003 by one interview with a teacher and two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23 times of data collection conducted from January 21st to February 28th, 2003 Until April 11th, 7 times of formal and many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s held Following observation conducted 4 times from April 8th to 12th, 2003 two times from Sonamu Class and other two times from Maehwa Class Although following observation does not include most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t helps to interpret the data from the observation and to enhance the range and depth of research with a new approach While observing and interviewing, a researcher framed transcription by using field jotting and record, and interpreted the data basedon the transcription Document and data collection related to preschool and class management continu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s Bodgan and Biklen(1982) indicated, those collected cases were analyzed by encoding and categor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like this First, as the result of observing peer conflict in Maehwa Class, it shows that assertion of possession and priority, refusal of participating in play, interference, different opinions, assertion of leadership on play, quarrel and interruption caused conflict These causes of conflict deter children from desiring to lead independent life This conflict has double-sided characteristics control of peer and making relationship And regardless of intention, conflict was induced by one's action provoking the other to feel displeasure and sore Second, 19 strategies of solution toward peer conflict in Maehwa Class were observed in total, and they can be categorized by four kinds of strategies including control strategy, alleviation of conflict level strategy, crisis escape strategy, and the third person arbitration strategy according to intention and purpose that strategies are used In addition, linguistic strategy was more often used than non-linguistic strategy Control strategy was expressed as an aggressive opposition, threatening, ordering, lecturing, teasing, and rejecting, alleviation of conflict level strategy was shown as the form of soothing/comforting, apologizing, compromising, conceding, and persuading in order to reduce the conflict and to attempt to reconciliation Moreover, crisis escape strategy included pretending ignorance, defending oneself, and avoiding, the third person arbitration strategy was applied by informing to teachers, obtaining consent, crying, whispering to the others, gathering people on one's side Since children imitated teachers words and behavior and they often used informing to teachers strategy, it proves that a teacher has a high authority and a very strong modeling figure for children Also, according to children's mimicry mentality in Maehwa Class, it caused excessive use of sorry, thus, this phenomenon coexisted with To say sorry once by teachers retardation in the middle of observation perio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ffirmative view towards the helper system and the intervention of the third person at Samto˘ Day-care, children, as the third person, frequently intervened in conflict As well, children's favorite way of approaching to the problem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person and a subject of conflict When a subject was a classmate, a child chose to lecture as a neutral position, when a child intervened in conflict of a close or favorite friend, he/she stood by his/her friends or fell in with friends view Third, the result of peer conflict in Maehwa Class showed solved and unsolved aspects The aspects of solved conflict can be classified to self-control of negative feelings, an apology and reconciliation, whereas, the unsolved aspects were revealed as the form of recurrence, retaliation, a counterattack, confrontation, and coming to nothing When children controlled negative mentality and feelings by themselves, it showed that children regain self-respect and reliance, the conflict was solved by an apology and reconciliation from one or both side The case of unsolved conflict was caused by refusal of reconciliation and compromise or persistence of own opinion from both sides Moreover, when the solution of conflict satisfied with only one side, or when conflict was interrupted by the third person, it showed the aspects of unsolved conflict In particular, when the solution of conflict satisfied with only one side, recurrence, retaliation, and counterattack was frequently induced As well, when conflict was not serious, conflict became come to nothing;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또래간 갈등의 다양한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3, 4세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해 또래간에 나타나는 갈등의 원인 및 갈등 해결 방법, 갈등의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샘터 어린이집 매화반의 또래 갈등 원인은 무엇인가? 2 샘터 어린이집 매화반의 또래 갈등 해결 방법은 어떠한가? 3 샘터 어린이집 매화반의 또래 갈등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K구에 위치하고 있는 샘터 어린이집의 만 3 4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유아 21명과 교사 1명, 특수학급인 대나무반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 3명과 교사 2명이었다 예비관찰은 2003년 1월 16일부터 1월 20일까지 한번의 교사 면담과 두 번의 참여관찰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3년 1월 21일부터 2월 28일까지 총 23회 이루어졌다 교사 면담은 4월 11일까지 총 7회의 형식적 면담과 비 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후속관찰은 2003년 4월 8일부터 4월 12일까지 총 4회 이루어졌으며, 이 중 2회는 소나무반에서, 나머지 2회는 매화반에서 실시하였다. 후속관찰은 자료 분석 및 해석에 대부분 포함되지 않았으나, 연구자가 본 관찰에서 얻은 자료들을 해석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연구자는 참여 관찰과 면담 시 현장 약기(field Jotting)와 녹음을 하여 전사본을 작성하였고, 전사본을 기초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및 학급 운영과 관련된 문서 수집과 관련 자료 수집은 관찰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수집된 사례들은 Bodgan과 Biklen(198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화반의 또래 갈등의 원인을 살펴본 결과, 자신의 의견, 권리의 정당함을 주장하며 주체적인 삶을 살고자하는 유아들의 욕구를 저지하는 소유권 및 우선권 주장, 놀이참여 거부, 참견, 견해 차이, 놀이 주도권 주장, 시비, 방해로 인해 갈등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간에 일어나는 갈등은 그 이면에 관계 맺기와 또래 통제를 위한 시도가 내재되어 있으며, 의도와는 상관없이 불쾌하고 속상한 기분을 유발함으로써 갈등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둘째, 매화반의 또래 갈등 해결 전략은 총 19가지 유형이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사용되는 의도에 따라 상대 통제 전략, 갈등 수위 경감 전략, 위기모면 전략, 제 3자 중재 요청 전략의 4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략들은 표면적으로는 각기 다른 의도에서 사용되었지만, 갈등을 속전속결로 해결하고, 좀더 자신에게 유리하고 만족스러운 방향으로 이끌려는 의도가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었다. 또한 언어적인 전략이 비언어적인 전략에 비해 많이 사용되었으며, 갈등의 원인에 따라 사용되는 해결 전략에 차이가 있었다. 상대 통제 전략은 공격적 대응하기, 협박하기, 명령하기, 훈계하기, 놀리기, 거부하기 등의 방법이 있었고, 갈등 수위 경감 전략으로는 또래 갈등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화해를 시도하기 위해 달래주기 및 위로하기, 사과하기, 타협하기, 양보하기, 설득하기 등의 형태가 있었다. 또한 위기모면 전략으로 딴청하기, 변명하기, 피하기 등의 방법이 있었으며, 제 3자 중재 요청 전략에는 이르기, 동의 구하기, 울기, 귓속말하기, 편 모으기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중에서 위기모면 전략이나 제 3자 중재 요청 전략은 주로 만 3세 유아들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매화반에서 연령에 따라 사용되는 갈등 해결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알았다. 이것은 매화반의 연령 구성이 만 4세 유아는 3 명에 불과하고. 만 3세 유아들이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매화반 유아들은 권위가 높고, 강력한 모델링의 대상인 교사에 의지하여 그 언행을 모방하거나 교사에게 이르기 전략을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따라하기' 심리와 집단에 소속하려는 욕구로 인하여 '미안해'의 남발 현상을 보였으며, 샘터 어린이집만의 독특한 '도우미' 제도와 제 3자 개입을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는 교사의 영향으로 제 3자 유아가 갈등에 매우 빈번하게 개입하고 있었다. 제 3자 유아가 선호하는 중재 방법은 개입하는 갈등당사자와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달랐다. 즉 갈등 당사자 유아들이 단순한 학급 친구일 경우에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훈계하기를 하였으며, 절친한 친구 또는 좋아하는 친구의 갈등에 개입할 경우에는 그 친구의 편을 들거나 맞장구를 쳐주었다. 매화반 교사들은 유아들의 제 3자 중재 요청 전략에 의해 갈등에 개입하여 다양한 해결 전략으로 갈등을 해결하였다. 그중 명령하기, 훈계하기, 달래주기, 타협하기, 설득하기 방법을 주로 사용하면서 갈등에 적절하게 개입하였지만, 교사의 개입이 갈등을 항상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것은 아니었다. 때로 교사들은 화해중심의 또는 사태수습의 목적으로 무조건적으로 '미안해'를 시키거나 놀이를 중단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사의 언행은 새로운 갈등을 유발하기도 하고, 갈등을 연장시키기도 하는 등 갈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이처럼 매화반에서 제 3자의 갈등 개입은 갈등을 보다 역동적이고 다면적 양상을 띠도록 하며, 갈등 당사자뿐만 아니 라 제 3자들이 함께 갈등을 이끌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매화반의 또래 갈등의 결과는 해결과 미해결 양상으로 나타났다. 갈등 해결 양상은 부정적 감정의 자기 조절, 사과 및 화해로 구분하여 볼 수 있었고, 미해결 양상은 재발, 보복, 반격, 대립, 흐지부지됨의 형태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부정적 정서와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여 자아 존중감과 신뢰감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갈등 당사자 모두의 사과와 화해 또는 한쪽의 사과와 화해로 갈등을 해결하였다. 갈등 당사자 양쪽이 사과 및 화해를 한 경우는 대개 갈등 수위 경감 전략을 사용하였을 때였고, 한쪽의 사과와 화해로 해결되는 경우는 상대 통제 전략 또는 제 3자 중재 전략을 사용한 때가 많았다. 갈등이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는 갈등 발생 시 화해의 제스처를 취하고 타협안을 내놓아도 상대방이 거부하거나 또는 자신의 주장만을 양쪽이 고수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갈등 당사자 중 한쪽만 만족하는 형태로 해결된 경우, 제 3자에 의해 갈등이 중단된 경우에도 미해결의 양상을 보였다. 특히 재발, 보복, 반격의 양상은 갈등 해결이 한쪽만 만족하는 방향으로 이뤄진 경우에 빈번하게 일어났다. 또한 갈등이 흐지부지되는 경우는 갈등 자체 또는 갈등 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대립이 심각한 상황이 아닐 때 위기모면 전략을 사용하면서 일어났다. 즉 갈등은 어떠한 해결 전략을 사용하든지 미해결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매화반의 갈등은 그 원인 및 해결 방법, 결과간에 상호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ⅴ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또래 관계 = 6 B. 또래간의 갈등 = 8 1. 또래간 갈등 = 9 2. 또래 갈등의 원인 = 11 3. 또래 갈등의 해결 전략 = 12 4. 또래 갈등의 결과 = 16 Ⅲ. 연구 방법 = 19 A. 문화기술적(Ethnographic) 연구방법 = 19 B. 연구대상 = 20 C. 연구절차 = 28 Ⅳ. 매화반의 또래 갈등 원인 = 34 A. 소유권 및 우선권 주장 = 34 B. 놀이참여 거부 = 37 C. 참견 = 39 D. 견해 차이 = 40 E. 놀이의 주도권 주장 = 41 F. 시비 = 43 G. 방해 = 45 Ⅴ. 매화반의 또래 갈등 해결 방법 = 47 A. 상대 통제 전략 = 48 B. 갈등 수위 경감 전략 = 60 C. 위기모면 전략 = 71 D. 제 3자 중재 요청 전략 = 76 Ⅴ. 매화반의 또래 갈등 결과 = 86 A. 해결 양상 = 86 B. 미해결 양상 = 91 Ⅶ. 논의 및 결론 = 101 A. 논의 = 101 B. 결론 및 제언 = 108 참고문헌 = 113 부록 = 125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37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매화반-
dc.subject유아-
dc.subject또래갈등-
dc.subject문화기술-
dc.title매화반 유아들의 또래 갈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