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새만금지역의 여성 삶과 갯벌의 관계에 대한 생태여성주의적 접근

Title
새만금지역의 여성 삶과 갯벌의 관계에 대한 생태여성주의적 접근
Other Titles
(An) Ecofeminist Approach on the Relationship of Women's Lives and the Tidal Flats : Focusing on the 'getsalim' of Women in the 'Geu-rae' village, Pu-an
Authors
박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새만금지역여성갯벌생태여성주의부안갯살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life experiences of women in tidal flat regions who have lived in correla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By giving meaning to such lives, this research aims to consider the relations between women and the environment based on this relation, a case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reveal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women in regard to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Due to the existing gender differences and subsequent discrimination, it is inevitabl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 between men and women o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However, the debate over development versus environmental preservation until today, have assumed the experiences of men as the universal sphere and so there were limitations in highlighting the unequal and gender-discriminatory aspect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This type of gender-neutral approach o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bscured women's experiences and perspective and could not explain the diverse meanings behind gender, classes and regions based on the human-nature dichotomy In the present patriarchal and capitalist society,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remains the driving force in the lives and work of men and women Furthermore, the lives and work experiences of men and women differ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ocial positions (gender, class, region, age and other variables that determine social position), and such differences are the man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dissimilar relations by men and women in lieu with natural environment Thus, the relationship of women and nature and men with nature must be approached and understood from a specific point in life experiences structured by gender, production according to class, re-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system, and to examine what such life experiences have in rel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Accordingly, t h s research approaches the relationship of men, and wome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ecological conditions of tidal flat regions and the theory of gender-based &vision of labor Also, th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this gender-specific relation with nature is linked to the problems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 detenoration.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embedded and embodied 'get sal lim' of women in the Saemangum region where a reclamation process is underway The major participants in t h s research were selected from the women in the Saemangum region whose subsistence depended on the marine resources of the sea and tidal flat and a field survey was taken on a coastal village to collect materials on the 'get sul lim' experience The field survey recorded the lives of women in the Saemangum region and concentrated on how women became involved with the tidal flats, their workplace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ecology and the lives of the villagers, the ecological conditions of the village, method of subsistence, formation of villagers,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nd their inhabitants, formal and informal meetings of the village community, customs and culture, and history of the village,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of the anti-Saemangum movement and the women, the writer participated in numerous rallies, cultural and academic events in connection with the anti-Saemangum movement. The contents follow the life history of the women in the Saemangum region and are divided into five parts. Chapter one refers to the research matter and methodology, the process in field study and the theories connecting women and the environment, The process in field study centers on the interac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Chapter two shows the selection of the region based on field study materials and the verbal evidence given by the local women The reclamation history of the field research area, and the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region and in the lives of the residents, are mentioned. Chapter 3 deals with the daily lives and labor of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place of field study, and the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the method and contents which constitute the formation of the workplace, and the 'get sam lim' of women and their relation with the tidal flats prior to reclamation. analysis is carried out into the working stages of women in the tidal flats and their knowledge of the tidal flat ecology begot from experienc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tidal flats as well a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idal flats in the lives of these women from the viewpoint of the 'get sal lim' experience. Chapter 4 is a critical analysis into the theory and progress of the Saemangum reclamation project from the gender-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influence of reclamation on marine ecology and the 'get sal lim' and the process of taking up actions, highlights the problems concern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the marginalization of women arising from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Chapter 5 explains how women maintained their 'get sal lim'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 anti-Saemangum movement, and the process and conditions leading to concrete measures of protest The connection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 problems to the women's protest experience; changes in self-identity and redefinition of subsistence; are clarifi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ves of the women in the Saemangum rgion depended on the marine resources of the sea and tidal flat; producing resources necessary for the livelihood of their family, and the 'get sal lim', a life of reproduction, of pregnancies, childbirth and third-raising based on the ebb and flow the tides 'Get sal lim' meant living the everyday life based on the Saemangum eco-cultural system 'Get sal lim' is a lifestyle that arose from the ecological conditions and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leading to different lives and work, and natural environment (workplace) for men and women In order to maintain the 'get sal lim', women's work including caring work at home, evolved around the tidal flats The women have defined the tidal flats as vital for the formation their self-identity, and as materialistic and cultural living quarters connecting to their subsistence/existence Due to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women's lives to the tidal flats, the Saemangum reclamation project has become a life-threatening issue. The project has made 'a place of life and self-independence' into a 'useless land', making women's lives and work, valueless and invisible The reclamation project destroyed the re-production ability and diversity of manne ecology and added burdens on the 'get sal lim' of women. Unlike men, women have the responsibility for subsistence and sensitivity for life, and as the protectors of the tidal flats, had to start resisting the reclamation project and environmental detenoration What started out as a movement to protec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ecame part of a social movement The women became aware of themselves as 'people against the Saemangum project' or as 'protectors of life', undergoing a change in self-identity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rethinking their reasons for living in the Saemangum region Women became aware that it is only with the preservabon of the tidal flats and the sea, that their lives and regional development, be possible Women also realized the Saemangum reclamation project as a life-threatening project, destroying not only human but also other forms of life They understood that to preserve family and community, the tidal flats and the sea must be preserved as well, and henceforth, demanded that other residents take up the call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aemangum tidal flats. The 'get sal lim' and the resistance of women in the Saemangum region destroyed the male-oriented perspective in the environmental movement and development -- preservation debate and became a valuable resource in revealing women' s experiences and perspective o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is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issue of wome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w i t h the country, and for the &verse approaches that could be taken up by the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 In future, there is a necessity that any discussion o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tenoration must be defined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onditions of the region to be developed, and the concrete life experiences of groups based on gender and social clas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ho would be directly affected by development - perspectives of those who work and maintain a living in the areas targeted for development.;본 연구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며 살아온 개발지역 여성들의 삶의 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화를 통해 여성과 환경의 관계성을 탐색해보는 한편, 이러한 관계성에 기반하여 개발과 환경악화에 대한 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현 사회는 성별의 차이와 차별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발과 환경악화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경험과 입장은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개발-환경보전의 논쟁과 운동은 남성의 경험을 보편적 범주로 상정하여 개발과 환경악화가 갖는 성별불평등한 효과를 드러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성중립적인 접근방식은 여성들의 경험과 입장을 비가시화할 뿐만 아니라, 성·계급·지역에 따른 인간의 자연과의 관계가 갖는 다중적인 의미를 설명할 수 없다. 현 가부장적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별노동분업은 여성과 남성의 삶과 노동을 구성하는 주요한 원리이다.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삶과 노동의 경험은 각자가 서 있는 사회적 위치(성, 계급, 지역, 연령 등과 같은 변수에 의해 결정된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경험의 다름은 자연환경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관계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여성과 자연의 관계, 남성과 자연의 관계는 특정 장소 속에서 주어진 성별, 계급별 생산, 재생산 그리고 분배체계에 의해 구조화된 삶의 경험에서 접근되어야 하며, 이러한 삶의 경험이 자연환경과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개발지역의 생태적 조건과 성별노동분업 원리에 근거하여 여성과 남성의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접근해보고, 이러한 성별화된 자연과의 관계는 개발과 환경 악화의 문제 해결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간척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새만금 지역 여성들의 착근되고(embedded) 육화된(embodied) '갯살림' 경험에 주목하였다. 바다와 갯벌의 수산자원에 의존하여 생계를 유지해 온 새만금 지역 여성들을 주된 연구 참여자로 하여 그들의 '갯살림'의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새만금 지역에 위치한 한 해안마을에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 동안 연구자는 새만금 지역 여성들이 자신들의 삶터인 갯벌과 관계를 맺어 온 과정을 중심으로 여성의 생애사를 기록하였다. 아울러 지역의 생태계와 마을 주민들의 삶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위해 마을의 생태적 조건, 생계양식, 주민구성, 마을별 특성 및 주민들의 기질, 마을 공동체의 공식·비공식적 모임, 의례와 문화 그리고 마을 역사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새만금반대운동과 여성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새만금과 관련된 집회, 문화행사 그리고 학술행사에 참여하였다. 내용은 새만금지역 여성들의 생애사적 흐름에 따라 5부분으로 구성된다. 1장은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현지조사과정 그리고 여성과 환경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관한 것이다. 현지조사과정은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간은 상호작용과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2장은 현지조사 자료와 여성들의 구술진술을 기초로 하여 지역을 맥락화하였다. 여기서는 현지조사지의 간척사를 중심으로 지역의 자연환경과 주민들의 삶이 변화되어 온 과정을 서술한다. 3장은 현지조사지의 생태적 조건과 성별분업체계에 따른 여성과 남성의 일상적 삶과 노동을 비교해보고, 이러한 성별화된 경험은 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맺어오게 했는지를 탐색한다. 여성들의 노동 자연에 대한 지식과 자원관리체계, 그리고 자연에 대한 여성적 의미와 가치 등에 초점을 맞춰 접근한다. 4장은 젠더-환경(자연)의 관점에서 새만금간척사업의 논리와 전개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간척개발이 해양생태계와 여성의 갯살림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여성들의 대응이 형성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개발과 환경악화가 갖는 자연파괴와 여성의 주변화의 문제를 드러낸다. 5장을 '갯살림'을 유지해 온 여성들의 이해와 지역새만금반대운동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여성들의 저항이 구체화되는 과정과 조건을 설명한다. 또한 여성들의 저항경험에 대한 의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체성 변화와 새만금 지역에서의 삶(생존)에 대한 재인식이 개발과 환경문제 해결에 주는 함의를 밝힌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새만금 지역 여성들의 삶은 바다와 갯벌의 수산자원에 의존하여 가족의 생계에 필요한 자원을 생산하는 생계유지적 생산활동과 가정에서의 임신·출산 및 양육 그리고 가사노동과 같은 생명재생산활동이 바다의 생태적 주기인 물때(조석)에 따라 이루어지는 '갯살림'이었다. 갯살림은 "새만금 지역의 생태-문화적 체계에 기반하여 여성들이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살림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갯살림'은 새만금 지역의 생태적 조건과 성별분업의 원리에 따라 여성과 남성의 일상적 삶과 노동, 그리고 자연환경(노동공간)이 다르게 구성되어왔던 것에서 나온 삶의 방식이다. '갯살림'을 유지하기 위한 여성들의 갯일과 가정에서의 보살핌 노동은 갯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노동의 경험을 통해 여성들은 갯벌을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생계/생존을 이어주는 물질적·문화적 삶터로서 의미화하며 동반자적 관계를 맺어왔다. 이렇게 갯발과 살아있는 관계를 맺어온 여성들의 삶에 새만금간척사업은 여성들의 '갯살림'을 위협하는 사건이었다. 새만금간척사업이 시행되면서, 여성들에게 '생명과 자립의 삶터'인 갯벌은 '쓸모없는 땅'으로 전락하게 되고, 그 결과 여성들의 삶과 노동은 가치절하되고 비가시화되었다. 간척개발로 해양생태계의 재생가능성과 다양성이 파괴됨에 따라 여성들의 갯살림 부담은 더해갔다. 남성과는 다른 삶에 대한 책임성과 생명에의 감수성을 가진 갯살림 유지자로서 여성들은 자신들의 삶터인 갯벌과 가족의 생존을 지키기 위해 새만금간척사업과 환경악화에 저항한다. 자신과 가족의 생계를 위해 시작되었던 여성들의 저항은 지역 새만금반대운동과 결합되면서 사회적 운동으로 변하게 된다. 여성들은 저항의 경험과 이에 대한 의미화를 통해 '새만금반대운동을 하는 사람' 혹은 '생명을 살리는 사람'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변화시켜가는 한편, 자신들이 새만금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여성들은 삶터인 새만금 갯 벌과 바다를 온전히 지키고 보전할 때 자신들의 생존과 지역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자각한다. 또한 여성들은 새만금 간척사업을 인간을 포함한 뭇생명들을 죽이는 일로 바라보는 한편, 가족과 마을 공동체를 살리기 위해서는 삶터인 갯벌과 바다를 있어야 할 자리에 있게 해야하며, 주민들 모두가 새만금 갯벌을 살리는 일에 나서야 함을 요구하게 된다. 새만금 지역 여성들의 '갯살림'과 저항경험은 기존의 환경운동과 개발-보전의 논쟁이 갖는 남성중심적 시각을 해체하고 개발과 환경문제에 대한 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을 드러낼 수 있는 자원이 된다. 또한, 여성과 환경의 연관성에 관한 국내의 논의와 여성환경운동의 다양한 접근을 모색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