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낯선 상황에서(Strange Situation) 영아들의 애착 행동 특성

Title
낯선 상황에서(Strange Situation) 영아들의 애착 행동 특성
Other Titles
(The) attachment behavior characteristic of infant in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ce
Authors
김은하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낯선상황영아애착 행동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 research the attachment characteristics Korean infants show to their mother, this study analyzed infants 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 and interaction behavior in SSP and examined characteristics of each attachment types which classified as type ABC/D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35 infants of middle class housewives residing Seoul and Kyungki Area(Shinchon, Eunpyung, Yeo-u-do, Ilsan) whose age is 12-18 months an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SSP(Ainsworth et al, 1978) was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the frequency of 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visual exploration, exploratory manipulation, exploratory locomotion, crying) was analyzed m SSP, and the degree of interaction behavior(proximity and contact seeking, contact maintainance, resistant and avoidant) is assessed by 7 scale in reunion episode Based on this analysis, attachment types are classified as type ABC/D, and the differences of each attachment type in terms of 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 and interaction behavior were research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search on differences between episodes on exploratory behavior and attachment behavior in SSP,visual exploration, exploratory manipulation and expl+oratory locomotion were shown most actively before separation with mother and declined the most together with the second separation And crying was shown the least before separation with mother and the most in second separation which represent meaningful differences of exploratory and attachment behavior between episodes. Secondly, as a result of research on interactive behavior in reunion episodes, proximity and contact seeking, contact maintanance and resistanc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pisodes by increasing in second reunion(episode 8). Thirdly, as a result of attachment type classification, type B holds 62.9% of the sample, type A holds 14.3%, and type C & D hold 11 4% separately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sis on individual attachment of each attachment type, exploratory manipulation(episode 7, 8), visual exploration (episode 7, 8) and crying (episode 2, 7, 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types and in terms of interaction behavior, proximity and contact seeking, contact maintainance, resistance and avoidanc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episode 5 & 8 between attachment typ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imilar to the findings of Ainsworths et al (1978), we could find out that Korean infants exploratory and attachment behavior systems are changed depending on separation with their mother and could discover the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infants. First, Korean infa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individual attachment and interaction behavior from second separation (episode 6) and the difference between attachment types were also definite from second separation Also, the recovery of exploratory behavior from episode 7 with the advent of stranger was a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 compared to American infants. These findings suggest empirical base that episode 6 which represents Korean infants attachment behavior most clearly should not be omitted for conducting future studies.;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아들이 어머니에게 보이는 애착 특성을 살펴보고자, 낮선 상황 절차에서 나타난 영아들의 개별 애착 행동과 상호 작용 행동을 살펴보고, 애착 유형을 안정 애착, 불안-회피 애착, 불안-저항 애착, 비조직/비일관적 애착으로 분류하였으며, 애착유형에 따른 개별 애착 행동과 상호작용 행동을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신촌, 은평, 여의도, 일산)에 거주하는 중류 층 비취업모의 영아 35명으로, 이들의 연령은 12-18개월 사이였다. 측정 도구로는 낮선 상황 절차(Ainsworth et al, 1978)를 사용하였다. 낮선 상황 절차는 어머니와의 두 번의 격리와 재결합, 낮선이의 출현을 포함한 8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련의 상황에서 영아가 애착 행동을 얼마나 효율적인 방식으로 조직화하느냐를 통해 애착 유형을 분류하게 된다. 자료 분석은 먼저 낯선 상황 절차에서 개별 애착 행동인 탐색 행동과 애착 행동을 빈도 분석하고, 재결합 에피소드에서 상호 작용 행동의 강도를 평정한 것을 일원 변량 분석하였다. 그리고 안정 애착, 불안-회피 애착, 불안-저항 애착, 비 조직/비일관적 애착으로 애착 유형을 분류하고, 애착 유형에 따라 개별 애착 행동과 상호 작용 행동의 차이가 있는지 일원 변량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선 상황에서 개별 애착 행동인 탐색 행동과 애착 행동이 에피소드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탐색 행동(시각적 탐색, 탐색적 조작, 탐색적 이동)은 엄마와 분리 전(에피소드 2)에 가장 활발하다가 엄마와 두 번째 분리(에피소드 6)되면서 가장 적어졌고, 애착 행동(울기)은 엄마와 분리 전에 가장 적게 나타나다가 두 번째 분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 탐색 행동과 애착 행동 모두 에피소드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재결합 에피소드에서 상호 작용 행동이 에피소드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상호 작용 행동 중 근접성과 접촉추구, 접촉유지, 저항이 두 번째 재결합(에피소드 8)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애착 유형 분류 결과 안정 애착이 62.9%, 불안-회피 애착이 14.3%, 불안-저항 애착과 비조직/비일관적 애착이 11.4%로 나왔다. 넷째, 애착 유형에 따라 개별애착행동과 상호작용행동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개별 애착 행동에서 탐색적 조작(에피소드 7, 8), 시각적 탐색(에피소드 7, 8), 울기(에피소드 2, 7, 8)가 애착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호 작용 행동에서는 근접성과 접촉추구, 접촉유지, 저항, 회피가 에피소드 5, 8에서 애착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아들도 Ainsworth 등(1978)의 연구 결과와 같이 엄마와의 분리 전후로 탐색 행동 체계와 애착 행동 체계의 활성화 양상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 영아들의 애착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우리나라 영아들은 두 번째 분리(에피소드 6)로 인해 개별 애착 행동과 상호 작용 행동에서 에피소드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애착 유형간 차이도 두 번째 분리 이후부터 확연히 나타났다. 또한 낮선 이가 들어오는 에피소드 7부터 탐색 행동이 회복되는 것도 미국 영아들과는 다른 특성이었다. 이러한 우리나라 영아의 애착 특성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에피소드 6을 생략해서는 안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