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수준에 대한 부적응적 완벽주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수준에 대한 부적응적 완벽주의 매개효과 검증
Authors
장애경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은정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정 애착의 하위 요인으로서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이 부적응적 완벽주의, 우울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불안 애착, 회피 애착과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을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을 것이다. 넷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불안 애착과 우울 관계를 부분 매개할 것이다. 다섯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회피 애착과 우울 관계를 부분 매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4년제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두 번에 걸쳐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학생식당과 교내에 있는 학생들에게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설문지’ 라고 안내하고 동의를 구한 후 실시하였다. 310명의 설문지 중 불성실 하게 답한 15부를 제외한 295명을 분석대상에 포함시켰다. 불안정 성인애착 측정을 위해서는 Brennan 등(1998)이 개발하고 정태연 등(2001)이 번안한 성인기 낭만적 애착 척도(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를 사용하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측정하기 위해서 Slaney(1995)가 개발한 완벽성향 척도(Almost Perfect Scale-Revised)와 Forst, Marten, Lahart와 Rosenblate(1990)가 개발하고 현진원(1992)이 번안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척도(Multidimentional Perfectionism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ck, Ward, Mock와 Enbaugh 등(1967)이 개발하고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와 Beck, Weissman, Lester와 Trexler(1974)이 개발하고 정필환(1984)이 번안한 Beck 좌절 척도(Beck Hopeless Scale)를 사용하였다. 각 척도는 SPSS12.0을 통해 신뢰도를 구하였다. 불안정 애착, 부적응적 완벽주의, 우울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기 위해 SPSS12.0을 사용하였고, AMOS 4.0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변수를 대변하는 측정변수의 요인부하량을 측정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불안정 애착의 하위 요인인 불안 애착, 회피 애착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우울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세우고 AMOS 4.0 프로그램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우울 수준이 높아지지 않았다. 둘째,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졌다. 셋째,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졌다. 넷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불안 애착과 우울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다섯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회피 애착과 우울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사실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이 밝혀졌고,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불안 애착, 회피 애착과 우울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우울수준에 불안정 애착 수준보다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우울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치료하는 것이 불안정 애착을 치료하는 것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앞으로 우울 치료를 위해 부적응적 완벽주의 치료가 강조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This study examined maladaptive perfectionism (concern over mistakes, doubts about one's ability to accomplish tasks, and failure to meet high standards) as a mediator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and depression (depression and hopelessness). Research participants were 295 college students form som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Brennan et al, 1998), Almost Perfect Scale-Revised (Slaney, 1995), Multidimentional Perfectionism Scale (Frost, Marten, Lahart & Rosenblate, 1990),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et al, 1961), Beck Hopeless Scale (Beck, Weissman, Lester & Trexler, 197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e non signig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I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lso, I observ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Finally,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maladaptive perfection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depression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depression.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