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장벽, 학업 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Title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장벽, 학업 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Authors
이아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의 능력뿐 아니라 사회배경적인 맥락 변인 또한 진로선택과 관련된다는 사회인지 이론과 성역할이 진로대안을 타협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타협이론에 근거하여, 남녀 우수 청소년들의 진로포부 결정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학업 우수 청소년들의 효능감과 진로장벽, 진로포부 수준에서 성차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영향을 주는데 학업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세 변인의 관계성이 성(性)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여성의 사회참여와 능력 발휘가 고양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의 결과는 우수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진로발달의 차별적 양상을 볼 수 있고, 성에 따라 우수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주는 개인내적, 사회맥락적 변인들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표본은 중, 고등학교 학업 우수 청소년 총 8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청소년용 진로장벽검사, 학업 효능감 검사, 진로포부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둘째, 이 중 879명의 표본을 기초로 하여 학업 우수 남학생과 학업 우수 여학생의 진로장벽, 학업 효능감의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하여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장벽과 학업 효능감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에 따른 진로포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우수한 남학생이 우수한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진로포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학업 우수 청소년들에게 있어 진로장벽, 학업 효능감, 진로포부간의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세 변인 각각에 미치는 영향들을 검증한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업 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학업 효능감을 통해 진로 포부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업 효능감의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앞에서 검증된 연구 모형이 학업 우수 남학생과 학업 우수 여학생들에게 똑같은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의 모형을 검증하고 적합도와 회귀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 우수 남학생들의 경우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학업 우수 여학생들의 경우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즉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학업 우수 여학생들은 진로장벽이 효능감을 통해 진로 포부를 낮춤으로써 진로장벽의 역할이 성에 따라 다르게 기능한다는 선행연구의 제언들을 뒷받침하였다.;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hich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for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gender differ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 investigated for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Besides, the relationships of these thre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proces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ly, Career Barrier Scale for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Career Aspiration form were administered to 890 academically talented middle, high school students. Secondly, latent means analysis (LMA)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 on career barrier and academic self-efficacy across the gender groups. According to LM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career barrier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Besides, independent group t-test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 on career aspiration across gender group.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on career aspiration across gender and academically talented male students have higher career aspiration than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Thirdly, the proposed model examined academic self-efficacy as a mediator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aspiration.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dicated the 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was in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Lastly, the proposed model examined each of gender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e 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and in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were insignificant on male group. But, in the case of female group,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while the 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was insignificant. Implications of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