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8 Download: 0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

Title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
Other Titles
University students' moral moral development in Korea with sex : Relational self and attachment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al self and attachment effected by gender and sex in moral develop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53 males and 47 females between 19~29 years of age. Instruments were Relational self Inventory,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and the Korean Defining Issues Test(DIT). Relational considera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male students and experience of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female students. In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female students.;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에 관계적 자아 성향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관계적 자아 검사를 통해서 자아 검사지의 하부 내용들 가운데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살피고, 이러한 과제 내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애착과 도덕성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살폈다. 즉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 애착, 그리고 도덕성 발달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도덕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1~4학년 남녀를 대상으로 했고, 남녀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의 관계적 자아 검사를 측정하기 위해서 방희정 외(2006)을 사용하였으며, 부모 및 또래 애착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PPA)를 수정한 IPPA-R(옥정, 1997)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덕성 발달 정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는 Kohlberg가 제시한 도덕적 관점을 반영하여, 각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나뉘어져 모두 6단계로 구분한 Kohlberg의 도덕판단 검사에 관해 Rest(1979)가 검사 시행과 채점상의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객관식 표준화 검사로 전환시킨 DIT(Defining Issues Test) 문용린(1986)이 제작한 한국형 DIT를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 및 애착과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서도 역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 부모 및 친구와의 애착, 그리고 도덕성 발달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서는 Pearson 상분 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 부모 및 친구와의 애착이 도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 해석에 있어서 관계적 자아 검사의 하부 요인 중 관계적 긍정 경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이를 통해서 여자가 남자보다 인간관계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음으로써, 여자가 남자보다 도덕성 발달이 더 높다는 선행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성별에 따른 여러 선행 연구들의 경우, 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남자가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 더 높은 점수를 얻거나 여자가 더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경우들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남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연구도 있었음을 고려해 볼 때, Rest 등(1986)은 DIT에서 성차는 미약하며, 단지 DIT 변량의 0.5% 이하를 설명한다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여성은 남성보다 정의 개념에 덜 익숙하다는 Gilligan의 견해는 본 연구에서는 지지되지 않으며, 오히려 성차가 개재해 있다는 DIT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기 때문에, 오히려 DIT에서 성차는 없다고 결론지어도 될 것으로 보인다(문용린, 문미희, 1993). 셋째, 성별에 따른 부모 및 친구 애착의 경우 아버지와 친구 애착이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어머니 애착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애착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 부모 및 친구와의 애착이 도덕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학생의 경우는 관계 중시에 있어서 도덕성 발달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관계적 자아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관계적 긍정 경험, 관계 중시, 타인 의식, 그리고 어머니 애착에 있어서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관계적 자아, 부모 및 친구와의 애착이 도덕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의 경우는, 남학생의 경우는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 관계적인 요소들 중에서 부모 애착을 넘어서 관계중시와 연관을 맺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부모 애착과 타인의식, 관계중시를 넘어서 관계적 긍정경험이 여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