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치매노인의 배회 유형에 관한 연구

Title
치매노인의 배회 유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mented elder's Wandering Pattern
Authors
염은이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배회 유형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치매노인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은 구조적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위치한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배회 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Algase Wanderig Scale-V2의 배회정도 23문항, 배회자의 분류에 관한 1문항, 자료 수집에 참여한 간호사에 관련한 3문항으로 총 27문항이었다. 연구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90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231명 중 여자 70.1%(162명), 남자 29.9%(69명)를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78.18세였다. 2. 연구 대상자 231명은 알츠하이머 병 63.6%(147명), 혈관성 치매 24.2%(56명)였고 평균 치매 유병기간은 45.89개월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배회 유형은 계속적 보행 유형(M=2.43, SD=0.88)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틀에 박힌 보행 유형(M=2.29, SD=1.04), 공간적 방향감각 장애 유형(M=2.07, SD=0.77), 도망 행위 유형(M=1.75, SD=0.75), 그림자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M=1.61, SD=0.66).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배회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있어서는 계속적 보행 유형(p<.05), 틀에 박힌 보행 유형(p<.01), 총 배회 점수(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배회 점수가 높았다. 연령에 있어서는 도망 행위 유형(F=4.778, p=.009)과 총 배회 점수(F=3.548,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정 결과 60대가 70세 이상의 대상자보다 배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5.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배회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면, 입원기간에 따라서는 계속적 보행 유형(F=4.677, p=.003), 도망 행위 유형(F=4.540, p=.004), 총 배회 점수(F=5.73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 검정 결과 입원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와 5년 이상인 대상자에서 배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치매종류에 따라서는 계속적 보행 유형(F=4.423, p=.013), 공간적 방향감각 장애 유형(F=4.180, p=.016), 총 배회 점수(F=4.725, p=.0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 검정 결과 계속적 보행 유형과 총 배회 점수에서는 알츠하이머 병과 기타 치매 대상자가 혈관성 치매 대상자보다 배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공간적 방향감각 장애 유형에서는 알츠하이머 병으로 입원한 대상자가 혈관성 치매나 기타 치매 대상자보다 배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유병기간에 따라서는 계속적 보행 유형(F=3.058, p=.018), 도망 행위 유형(F=3.011, p=.019), 총 배회 점수(F=3.474, p=.00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검정 결과 계속적 보행 유형과 총 배회 점수에서는 유병기간 7년 이상인 대상자가 다른 대상자들보다 배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도망 행위 유형에서는 유병기간 5년 이상인 대상자에서 배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향정신성 약물 복용 여부에 따라서는 약물을 복용하는 대상자가 공간적 방향감각 장애 유형(p<.01), 도망 행위 유형(p<.05), 총 배회 점수(p<.05)에서 배회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치매노인의 배회 행동을 면밀히 관찰하여 관련요인을 정확히 분석하고 배회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유형에 따른 간호중재를 실시하여 좀 더 질적인 치매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치매노인의 배회 유형에 관한 개념 정립과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in demented elders by surveying demented elders' wandering patter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descriptiv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31 demented elders staying at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The period of the survey was from the 1st of May to the 2nd of June 2006. The tool used in the survey was Algase Wanderig Scale‐V2, which contains 23 questions on the patterns of wandering, 1 question on the type of wanderer, and 3 questions on the nurse. The reliability of the tool (Cronbach's α) was .9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s, t‐test and ANOVA using SPSS 10.0, and Duncan's test was used as a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8.18 and, of the 231 elders, 63.6% (147) had Alzheimer's disease and 24.2% (56) had vascular dementia. The average duration of dementia was 45.89 months. 2. By wandering pattern, persistent walking type (M=2.43, SD=0.88) was most frequent, and next in order of routinized walking type (M=2.29, SD=1.04), spatial disorientation type (M=2.07, SD=0.77) and eloping behavior type (M=1.75, SD=0.75), and shadowing type was least frequent (M=1.61, SD=0.66). 3. As for differences in wandering patter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rsistent walking type, total wandering (p<.05) and routinized walking type(p<.01)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male elders. The frequencies of eloping behavior type (F=4.778, p=.009) and total wandering (F=3.548, p=.03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That 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in their 60s than in those in their 70s. 4. In relation to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the frequencies of persistent walking type (F=4.677, p=.003), eloping behavior type (F=4540, p=.004) and total wandering (F=5.734, p=.001)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That is, in the results of post‐hoc test,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ho stayed in hospital for less than 1 year or more than 5 years. The frequencies of persistent walking type (F=4.423, p=.013) and total wandering (F=4.725, p=.010)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dementia. That is, in the results of post‐hoc test,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ose with other types of dementia than in those with vascular dementia. The frequency of spatial disorientation typ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F=4.180, p=.016). That is, in the results of post‐hoc test,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Alzheimer's disease than in those with vascular dementia or other types of dementia. The frequency of persistent walking typ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ease (F=3.058, p= .018). In the results of post‐hoc test,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had had the disease for more than 7 years. As for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loping behavior type (F=3.011, p= .019),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had had the disease for more than 5 years, and as for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otal wandering (F=3.474, p= .009),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had had the disease for more than 7 years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who had had the disease for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5 years. With regard to the frequencies of spatial disorientation type (p<.01), eloping behavior type and total wandering (p<.05), wandering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administered with psychotropic dru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