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Determinants of Nursing Home Quality Indicators : A Multilevel Analysis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문실
Abstract
As the rapid rise of aging pop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eed for long term care will increase. as the rise of dependent elderly, change of family type, and weakening of family ability to take care of elderly, the more elderly would be taken care by the nursing home than ever. Because the quality of care in nursing home have deep impact on elderly's the quality of life living in the nursing home, the Western nations tried to improve it. However, the bad outcomes like pressure sores, bladder 126 incontinence, urinary infection and the diverse causes of them still reported. At present, the assessment on quality of the nursing home is limited to the free and actual expense facilities. However, as the launching of public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public concerns on quality of nursing home will be increased. This study tried to form the othesis on the model on cause affecting on quality of nursing home, and examine it. The dependent valuables were the sum of scores. which range from 0 - 6. the items included in the score calculating were decrease of ADL & cognitive function, bladder incontinence, urinary infection, pain, pressure sores. To the each six items when the decrease happen the score 1 is given, and when not happen, 0 given. The independent valuables included 8 institution level valuables and 5 person level valuables. the institution level valuables includes goal and size of institution, quality management, service program, number of nurses and nursing assisstants, turover rate of nurses and nursing assisstants. For the research. Quality Index of long term care facility and measurement scale for ADL, cognitive function in MDS 2.0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resident living in the nursing home more than 30 bed. The sample's minimum length of residence is 3 months and age of the sample is year of 65 over. the number of sample is 377,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th april to third, jun, 2006.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were in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multi-level analysis, the quality gab among nursing homes resulted from both institutional and person level factors. the 75% of deviance was explained by the person level factors and 23.7% of it was explained by the institutional level factors. Second, the person leve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nursing home included age, ALD, cognitive function, illness. The age, ADL & cognitive function have effect on the bladder incontinence, However institution level factors had no direct effect on dependent valuable.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stitution and person level factors were found. The effect of ADL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quality management. The ADL have less effect on the quality of long term care facility in institutions doing more quality management than in institution doing less. Forth, The effect of ADL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care planing and satisfaction survey. The ADL have less effect on the quality of nursing home in institutions doing more care plan and satisfaction survey than in institution doing less.;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장기요양보호 노인 역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없는 노인인구의 증가, 가족형태의 변화로 인한 노인부양체제의 약화 등은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노인들이 노인요양시설에서 케어를 받게 될 것이다. 노인요양시설에서 제공되는 케어의 질은 거주노인의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Gina, 1999), 주요 선진국의 경우 질 향상을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욕창발생, 요실금, 요로계 감염 발생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노인요양시설 서비스의 질 평가는 사회복지시설평가에 포함되어 무료와 실비시설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앞으로는 공적노인수발보장제도의 실시 등으로 인해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노인요양시설의 질 평가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질을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관련변수들 간의 실증적인 인과적 관계 및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노인요양시설의 질을 거주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감소, 인지기능 감소, 요실금, 요로감염, 통증, 욕창의 6개 지표의 유무에 따라 0-6점으로 측정하고 영향요인으로 5개의 거주노인수준 변수와 8개의 요양시설수준 변수를 설정하였다. 5개의 거주노인수준 변수에는 거주노인의 연령, 성별,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질병이 포함되었고, 8개의 요양시설수준 변수에는 설립목적, 시설규모, 질 관리 활동, 프로그램, 간호사 수, 생활지도원 수, 간호사 이직율, 생활지도원 이직율이 포함되었다. 연구도구는 미국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센터(CMS)에서 개발한 노인요양시설 질 지표와 MDS 2.0(너싱홈용)중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상태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30명 이상 규모의 노인요양시설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동의한 19개의 시설에서 정원의 30%를 표집하여 총 377명을 조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4월 15일부터 6월 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9.0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요양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주요 연구 변수들 간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다수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거주노인수준과 시설수준이라는 2개의 수준으로 변수를 나누었으며 로지스틱 다수준분석 및 선형회귀 다수준분석법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수준 분석 결과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의 차이는 주로 거주노인간의 차이로 인한 것이지만 요양시설간의 차이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속변수인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의 전체 분산변량 중 약 76.3%가 거주노인 수준에서 설명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약 23.7%의 분산이 시설수준에서 설명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거주노인수준 변수는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연령, 질병이었다.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감소, 인지기능손상이 증가할수록 거주노인의 요실금 비율이 증가하였고, 질병수가 증가할수록 요로감염비율, 통증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와는 달리 요양시설수준 변수 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요양시설수준의 변수가 거주노인수준의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거주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요양시설수준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질 관리 활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질 관리 활동을 많이 하는 시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시설에 비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저하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거주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질 관리 활동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케어계획과 만족도 조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케어계획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시설이 그렇지 않은 시설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저하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다수준 분석을 통해 제시한 연구로 거주노인의 심리정서적인 변화보다는 신체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를 위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지표를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시설의 질 관리 활동을 측정하는데 있어 시설의 질 관리 정책과 전략, 인력관리, 케어영역별 구체적인 케어과정관리, 거주노인참여 등 질 관리활동의 보다 다양한 측면을 연구변수로 포함시키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요양시설의 정책과 케어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변수를 포함한 추후연구가 반복 수행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