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박영애-
dc.creator박영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47-
dc.description.abstract현재 국내에는 아동전문간호사 제도가 법제화되었으나 임상에서는 신생아전문간호사가 소속 기관에 따라 업무 활동이 규명되지 않고 직무 표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 활동을 규명하고 직무 표준을 개발하여 바람직한 실무수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직무 표준 개발 원칙에 따라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을 확인하여, 실무 적합성 검증 및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조사하여 업무활동을 확정하였다. 규명된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을 기초로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안)을 개발하여 내용 타당도 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이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은 6개 역할에 따른 12개 업무와 46개 세부 업무, 315개 활동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6개 역할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와 ‘교육자’, ‘연구자’, ‘지도자’, ‘자문가’, ‘협동자’이며, 12개 업무는 ‘자료수집’과 ‘진단',‘계획’, ‘수행’, ‘평가’, ‘부모교육’, ‘부모상담’, ‘연구’, ‘변화촉진’,‘관리’, ‘자문, 조정’, ‘협동’으로 각각의 업무 항목 당 세부 업무와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2.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는 표준 12개 및 기준 43개가 확정되었다. 12개 직무 표준은 ‘자료수집’과 ‘진단’, ‘계획’, ‘수행’, ‘평가’, ‘부모교육’, ‘부모상담’, ‘신생아간호연구’, ‘변화촉진’, ‘관리’, ‘자문’, ‘협동’ 항목별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대, 요구되는 직무 목표와 범위의 기준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은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지침, 인력 수급, 평가 등 신생아간호 현장과 신생아전문간호사 교육과정 개발, 자격인정 시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신생아간호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아동전문간호사 제도의 정립과 직무표준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에 대한 평가지표 개발과 직무 내용에 대해 간호수가 산정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Although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System(PNPS) has been legislated, Neonatal Nurse Practitioners(NNPs) perform their indefinite roles with no role standard in many institutions(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desirable standard of actual affairs by surveying the role and operation of NNP and then developing the role standard. This study is examined through the basic rule for standard development. The role operation of NNP was confirmed as basic data then role performance was set through verifying practical compatibility and surveying importance and accomplishment step. It was executed as the content validity test for the role standard of NNP, based on the role performance of NNP, through using CVI (Content Validity Index).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1. 6 roles are 'direct care giver', 'educator', 'researcher', 'leader', 'consultant' and 'collaborator'. 12 duties are 'data collection', 'diagnosis',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arent education', 'parent counseling', 'research', 'change facilitation', 'management', 'consultant' and 'collaboration'. Each duty has own detail tasks and activities. 2. The roles of NNP are 12 job standards and 43 job criterias. 12 job standards are 'data collection', 'diagnosis',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arent education', 'parent counseling', 'neonatal nursing research', 'change facilitation', 'management',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expectation for performing rules, desirable role objective and standard for range. Each job standard has own role criteria. The job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neonatal nursing guideline for the role of NNP, manpower supply, and evaluation etc., developing of NNP curriculum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quality improvement and specialty of neonatal nursing could be secured through the role standard. Moreover it would give the foundation for the setting up of NNPS and role criteria. And continuous studying is needed which would handle development of evaluation table for the following developed role standards of PNP, reflecting the role and its operation of PNP on nursing w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II. 문헌고찰 = 5 A. 신생아전문간호사 = 5 B.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 14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20 A. 연구설계 = 20 B. 연구절차 = 20 1단계 : 신생아전문간호사 직무 표준 개발의 기본 원칙 설정 = 21 2단계 :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 예비항목 작성 = 21 3단계 : 업무 활동에 대한 실무 적합성 검증 = 22 4단계 :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안) 개발 = 24 5단계 : 신생아전문간호사 직무 표준(안)의 내용타당도 검증 = 25 6단계 :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개발 = 26 C. 자료분석 = 26 IV. 연구결과 = 28 A.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 규명 = 28 1.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 분석 = 28 2. 업무 활동의 실무적합성 검증 = 29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2) 신생아전문간호사 업무 활동의 중요도 분석 = 31 3) 신생아전문간호사 업무 활동의 수행정도 분석 = 34 3.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 확정 = 49 B.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개발 = 61 1.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안) 개발 = 61 2. 직무 표준(안)의 내용 타당도 검증 = 63 3.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확정 = 70 V. 논의 = 74 A.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 = 74 B.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 80 VI. 결론 및 제언 = 84 A. 결론 = 84 B. 제언 = 85 참고문헌 = 86 부록 = 98 Abstract =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597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Job Standards for Neonatal Nurse Practitioner in Korea-
dc.creator.othernamePark, Young-Ae-
dc.format.pagevi, 153-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