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청계 정종여의 작품세계 연구

Title
청계 정종여의 작품세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eonggye Jeong Jong Yeo's Painting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본 논문은 정종여는 분단조국의 남한과 북한에서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해 간 월북 화가 靑谿 鄭鍾汝(1914~1984)의 작품세계를 시기별, 장르별로 분석하여 고찰한 것이다. 정종여는 1988년 월북 작가들에 대한 정부의 해금조치가 이루어지면서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고 이듬해 ‘靑谿 鄭鍾汝展’도 개최되었으나 이후 그에 대한 이렇다 할 미술사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작가적 역량에 비해 정종여에 대한 연구 성과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이다. 수묵산수화가 본령이었던 정종여는 산수뿐만 아니라 사의적 인물화, 공필적 인물화, 문인풍 화조화, 장식적 화조화, 불화 등 장르를 뛰어넘어 다양한 기법과 화풍을 구사하여 매우 뛰어난 예술가로서의 면모를 지닌 화가였다. 그러나 그가 월북 이전에 남긴 작품들은 현존하는 것이 30여점 정도뿐이며 그나마도 출처가 불명확한 것이 더러 있다. 아울러 월북 이후의 작품들과 그의 활동 사항 역시 현실적인 상황에서 볼 때 연구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한국근대미술사에 있어 뚜렷한 족적을 남긴 정종여에 대한 작가상의 정립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고 이를 계기로 유족의 증언과 기타 자료와 기록 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임하였다. 정종여가 그림공부를 시작했던 1930년대의 국내화단은 이미 사생풍의 근대 남화가 수용된 시기였다. 오사카미술학교 동양화과를 다닌 그는 일본 유학을 통해 서양화법과 일본화법을 배우고 국내 산천을 다니며 익힌 사생 습관을 바탕으로 농촌과 고향산천의 현실적 소재를 근대 남화적 필치로 담아 현실적 향토경이 주는 정서를 ‘청계풍’의 산수로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모색하였다. 또한 유학 중에서도 청전화숙을 통하여 국내화단과의 끈을 놓지 않았고 조선미전을 통하여 관변작가를 지향하며 화가의 길을 본격적으로 걷게 되었다. 일본유학을 마치고 국내에 들어와서는 본격적인 화단 활동을 하며 이전보다 더 전통화법 연마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정형화된 산수양식에 사생풍을 가미하고 구성에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남종화의 전통적 필묵미를 근현대적 풍경의 표현물로서 융합시켰다. 그는 고전적 제재와 주제를 주로 사용하면서도 현대적인 기법과 운치를 가지고 표현하였는데, 즉 문인화적일 수 있는 요소들의 표현처리를 호방한 발묵과 파묵, 갈필 등으로 서양화의 표현주의 유파적인 성격과도 통하는 면이 많은, 당시로서는 매우 독특한 화풍을 구사하였다. 9·28 수복 이후 북한으로 간 그는 교육가와 미술가로 활동하면서 ‘조선화’의 기법체계를 세우는데 많은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한에 알려진 자료만으로 월북 이후 그의 작품세계에 대해 논하는 것은 많은 한계가 있겠으나, 평양미술대학의 교원으로 재직한 그는 조선화과 설립과 발전에 기여하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뒷받침하는 ‘조선화’의 대표작가로서 북한의 미술계에 영향을 끼치면서 혁명적 낭만주의 작품의 근간이 되는 작품을 남겼다. 또한 동물과 식물 등의 자연적 소재를 농촌 생활의 향토미와 결합시켜 새로운 조선화의 장르를 탄생시켰다. 특히 조선화에 있어 채색화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전통적 표현기법을 현대 조선화로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thesis is about the life and work style of an artist, Cheonggye Jeong Jong Yeo (1914~1984) who went to North Korea. He was the 2nd generation of Oriental paint in Korea modern paint to establish his own art world in colonial period, liberation period and divided North and South Korea. Because he went to North Korea, however, his name was omitted in the history of Korea modern art and he was not evaluated as he was. As government lifted the ban on artists who went to North Korea in 1988, Jeong Jong Yeo got a spotlight and next year he opened 'Cheonggye Jeong Jong Yeo'. However, there was no particular study in history of art about him and the fruit of study about him was wholly lacking as compared with his artistic capacity. His speciality was landscape painting in india ink and he was skillful throughout landscape, figure, flowers and birds, and fire and used freely various techniqu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scribe him only with certain style of drawing. The artists' world in 1930's in Korea when Jeong Jong Yeo started to study painting already accepted modern painting in a style of sketching. He completed a regular education in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in Osaka art school learning modern drawing of Japan and thinking over a certain process that expressed the emotion from real scene in natural scenery with 'Cheonggye style' putting real material of farm and mountain stream on landscape painting with the style of modern painting. During his study abroad, he connected with domestic artists' world through 'Art Exhibition of Joseon' and went along the way of artist in earnest intending official artist. As he completed study in Japan and backed to Korea, he did real activity as an artist and interested in practice of traditional drawing technique more than previous. And he added drawing style on typical landscape painting and tried to change in composition so he made an harmony of traditional beauty of brush and Chinese ink and modern landscape painting. In addition, he sublimed his personality to expression of a stroke of the brush and ink, then, he artistically expressed rhythm of brush mark. He mainly used classic material and theme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d with modern technique and artistic effect. Therefore, in that time, he made very particular painting style that was connected with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West painting with balmuk, pamuk and galpil. After he went to North Korea after 9·28 recovery, he had a role to establish technical system of 'Joseon painting' as a teacher and artist At present, his works that was known in South Korea are only few and it is difficult whether the work come in South Korea through North Korea or China is real or not. In this situation, there is a limit to discuss about his work after his life in North Korea. However, he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Joseon painting worked as a teacher in Pyungyang art university and affected the artist's world of North Korea as a representative of 'Joseon painting' supporting socialistic realism. In addition, he left products that were the basis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He also created new kind of Joseon painting combin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animals and plants with native beauty of farm life. Especially, in Joseon painting, h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lor painting and was a bridge connecting traditional technique to modern Joseon painting.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