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3 Download: 0

빅토리안 회화의 인물상을 통해 본 근대 영국 사회의 특성

Title
빅토리안 회화의 인물상을 통해 본 근대 영국 사회의 특성
Other Titles
The Cultural Traits of Modern England Represented in the Victorian Figure Images
Authors
이주은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dissertation analyses the figure images depicted in the British paintings during the Victorian age (1839-1901) from the modernity perspective. Modernity, in this context, means the perception of the ubiquitous existence of changes in the transitional phase from the past to the future. Such social changes exert complex influences on human experience and thought. In this study, art and society during the Victorian Era are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confrontational and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namely: the popular versus the exclusive, the extrovert vs. the introvert, the typical vs. the idiosyncratic, materialism vs. idealism, and idolatry vs. anti-idolatry. The main players in the art world during the Victorian era were the newly self-determined middle class and the Royal Academy of Arts. The expansion of the middle class was a complex consequence from both the collapse of hierarchical order by birth and the modern spirit of the citizenship centered on the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The Royal Academy was playing the pivotal role in art education and distribution, as the professional art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state. It also had a unique role to play as the producer of the cultural norms for the forementioned middle class citizens. From Chapter 3 on, the Victorian paintings are analyzed in depth based on the 19th-century social issues. The earlier narrative expressions were phased out, while the actual sit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tself started to draw attention. Under the Aestheticism, the naturalistic tendency that was the starting point transformed gradually into conceptual and abstract characters. The paintings in the Victorian era pursued, on the one hand, the contemporaneity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earnest depiction of everyday life of that period, and on the other hand, the artistic resistance by offering decorative attempts away from social realism. In the continental Europe, these two trends converged in the works of Manet and other Impressionists and progressed into post-impressionism and symbolism. By contrast, in Victorian England, the two trends didn't cross with each other, and in the late 19th century, developed into naturalism and symbolism respectively. In Chapter 4, the following four criteria are use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figure images in order to know how the modernity in the British society was represented: First, in features of mass society, collective orderliness was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b images in the public places and of the leisure scenes on weekends. Secondly, contrast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deals with discussions about people's fervent wish for a simple life and negative aspects about modernization. The countryside portrayed in the paintings are viewed as the lost past as well as the utopia of anti-civilization, while the city is understood as the capitalized present that is obtained at the expense of rustic simplicity. Thirdly, I studied how the ideal womanliness and manliness in the modern society are concretely set forth. These gender roles were established under the idealistic society based on modern, nuclear family. Furthermore, a sense of patronizing superiority in which the characters of imperialistic citizenry are justified can explain such gender view. Fourth, in the ideal personality section, the bourgeois concept according to the real world value system and the pursuit of pure, anti-materialistic values are discussed respectively. In 19th-century England, the art played the role of supplementing the spiritual void caused by high-speed progress in the industries, on one hand, and it constituted a psychological compensation to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industri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 this regard, the Victorian paintings didn't solely pursue the pure form per se, but functioned as a medium for advocating moral values, or had much greater tendency to remain as the unchanging spirituality in the midst of social mutations. It is often considered that the Victorian paintings can hardly be linked to Modernism. The reason is tha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of painting in the Victorian period show inconsistency and ambiguity, due to what this study has found: the art in Victorian England had a peculiar status in the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dissertation lies in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Victorian paintings was rearr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ty in the British society, thus finding the art in 19th-century England in line with modernism.;이 논문의 시대적 범위는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기인 1837년에서 1901년까지로서, 영국이 본격적으로 근대의 장을 열었던 시기이다. 근대성이란 과거에서 미래로 진행하는 단계에서 변화의 요소가 사방에 편재해 있음에 대한 동시대인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사회 변화가 인간의 경험과 의식에 미친 복합적인 양상을 일컫는다. 이 논문은 근대성의 양상 중에서도 인간에 대한 재현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상에 초점을 맞추며, 빅토리아 시대의 인물상을 통해 드러나는 생활양식과 삶에 대한 태도를 통해 근대 영국의 사회와 미술을 연결 짓고 있다. 본문 II장에서는 영국 회화의 역사에서 인물상과 당대 문화의 연결 구조를 살펴본다. 귀족문화가 지배적이던 무렵에는 타문화로부터 자신을 차별화하는 성격의 그림이 인물상의 중심이 되며, 도덕적이고 검소한 시민 문화가 자리를 잡게 되면서부터는 기성 체제를 풍자하는 성격의 그림이 주도적인 것을 볼 수 있다. 왕립미술원의 등장으로 미술은 다시 귀족주의적으로 돌아선다. 하지만 영국의 아카데미즘은 점차 부르주아적인 근성에 부응하고 영합하면서 부르주아 국가의 이데올로기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18세기 이래 영국에서는 신분사회적인 요소가 남겨진 채 부르주아가 추구하는 도덕적이고 실용적인 가치관이 뿌리내리고 있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미술을 사회에 대한 반응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때는 부르주아적 이상주의, 그 도덕적 이상과 자본주의에 물든 현실의 절충, 그리고 그러한 절충의 저속함과 위선에 대해 반항하는 정신적 귀족주의라고 하는 세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문 III장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염두에 두면서 인물상의 그룹 활동별 특징을 살펴본다. 본문 IV장에서는 인물상의 주제별 분류를 통해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이상과 현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여기에서는 사회변화에 대한 예술적 반응이 대부분 양가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A절, 기회의 평등을 누리는 군중의 모습 속에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새롭게 만들어 놓은 복합적인 층위의 개별 인간 유형이 존재한다. B절, 물질적 번영 역시 자부심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잃어버린 꿈과 인간다움의 상실을 상징하기도 한다. C절, 근대사회의 성역할은 부르주아적인 핵가족 사회의 이상 하에 설정되어 있지만, 이는 ‘젠틀맨’으로 대표되는 엘리트주의의 지배를 받기도 하는 것이다. D절, 이상적인 개인상 역시 자유롭고 외향적이면서도 다른 차원에서는 철저히 내적으로 고립됨을 추구한다. 결국 근대 영국 사회를 틀 지운 것은 한편으로는 부르주아적인 자유와 평등 그리고 진보 개념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부르주아의 가치체계에 반항하는 정신적 귀족주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후자의 반부르주아적인 엘리트주의라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부르주아적인 세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성격의 것이다. 19세기 영국의 근대성은 예술이라는 미적 이상이 대중적 삶과 절충되거나 대중 사회의 현실을 보완하는 복합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빅토리아 시대의 회화, 그 중 특히 인물의 재현은 미술적 독자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전개되었다기보다는, 근대성이 바탕으로 삼는 상극적인 요소들이 공존하는 사회적 현실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면서 형성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