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韓末·日帝 强占期 日本人 會社地主의 農業經營 硏究

Title
韓末·日帝 强占期 日本人 會社地主의 農業經營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RM MANAGEMENT OF AGRICULTURE OF LARGE JAPANESE LANDOWNERS UNDER THE JAPANESE RULE : FOCUSING ON THE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OF THE SAB-TAEK FINANCIAL COMBINE
Authors
하지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배용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朝鮮興業株式會社) of the Sab-Taek(澁澤) financial combine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case of Farm Management of Agriculture of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under the Japanese Rule in Korea.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朝鮮興業) which was one of the first rank company in Sab-Taek Yong Il (澁澤榮一) belong to Japanese bank circles contributed greatly to development of Japanese capitalistic. Also, it was the typical case that showed it had an interest in Japan to realize its own interest. So,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was consistently supported by public power of Japan since it was founded, and it could make an excess of colonial profits because it ha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Japan, carrying out faithfully Korean agriculture policy of Japan and providing monetary aid in return.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established the huge farms that had more than seventeen thousand Jung Bo(町步) - a kind of land measure unit - across Korea, and had about sixteen thousands and five hundred tenants that belonged to it since 1904. Also, it made high-rate profits because it supported the policy and the monetary policy of colonial power, and cooperated with Japan in the agriculture policy by exploiting Korean labor until 1945. It means that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was the largest landowner company as a individual landowner except Dong Yang Chuck Sik Co., Ltd.(東洋拓植株式會社) which was a national policy corporation in agriculture and occupied over 80% of economic production power in Korea.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occupied almost 8% arable land of the large Japanese landowner who took possession of over 30 Jung Bo in Korea, and was the greatest company which held 3% of the total land including Korean landowners' land in Korea. So,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on into colonial exploitation of agriculture management of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because the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show agricultural distortion in Korean of Japan and the ruin of Kore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well as distorted modern economical development and frustrated possibility of the future growth. Previous studies on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under the Japanese Rule in Colonial Chosun (including agriculture company) were mainly done by Japanese researchers. The basic aims of these studies focused on the region, the amount of money, and the feature of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money in Korea, and the position of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in the landowners system. These studies, however, conducted on the point of view of not the colonial features of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but the part of the Japanese history. The feature and the scale of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money were reflected in the scale and method of dealing in land and the price of land, and irrigation association concerned, and so on. There were, however, no differences to Korea, because they were, in fact, in collusive relation with authoritarian structure, and participated actively in all sorts of exploitative colonial agriculture policy. This study ver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holding company and Japan's public power, exploitative colonial agriculture management, the distribution of an excess of colonial profits, semi-feudalistic structure toward Korean tenant farmers, and miserable economic states of Korean tenant farmers, through the case study of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during the colonial period. On the basis of the study, semi-feudalistic and colonial features on Korean agriculture management of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are the following. First of all,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wrest agriculture from Korea earlier than any other the Large Japanese Landowners. It was a front-runner in a large scale of capital, a period of agriculture company, a process of Japan advanced into Korea, so it paved the way for the basis of plundering agriculture and lands of Korea. Especially, it continued and strengthened illegality and violence on the process of plundering lands with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ese public power, maki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colonial agriculture policy of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o., Ltd. made it legalize to Japanese landowner's possession of land in Korea through executing all sort of land laws during the colonial period, expanded exploitation and management of lands in Korea through land investigation business after Japan's colonial rule, and maximized an excess of colonial profits through production and export of high-volume rice riding on Rice Products Increase Plan(産米增殖計劃), and carried out cotton increasing policy and cotton cultivating industry. Secondly, Sab-Taek(澁澤) Capital pillaged first Korea for Japan's interests, and dispossessed all over the fields such as mine, a railway, electricity, finance, and agriculture, and so 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the opening of a port. Among this,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in agriculture was the important core, which was in charge of colonial agriculture policy, in order to supply food and raw material for Japan. Unlike a mine, a railway, and electricity, in the agricultural fields, Sab-Taek did business which directly controlled the farmer classes, who were the basis of Korean social structure, on behalf of Japan, to the part which Japan's national power could not have the effect on. In other words,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was another power that ruled colonial Korea according to it's social and economical influence on districts in Korea. So, the form of existence and management type in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a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power organization of Japan were the representative case of the colonial landowner system. Thirdly, the violent and forcible structure of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on Korean farmers was controlled by 'Tenant Five People Union(小作五人組合)' and ‘Promotion of Agriculture Association(興農會)’. The former followed the system for feudal lords to control tenants during the Japan's feudal government period, and were realized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the latter was the special company structure without precedent in Japanese agriculture company that advanced into Korea. It had effects on Korean economically and existentially, and even personal control was possible in this structure. Fourthly, Japanese landowner's company were propagandized as what is called ‘improved agricultural method(改良農法)’ and 'agricultural modernization'. Especially, enforcement of using Japanese seeds and overdosing fertilizers of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caused distorted modification. Plundering structure remade plundering mechanism rational and efficient, and the structure changed the frame consisted of landowner-tenant relation into the capital structure under the pretense of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Improved agricultural methods, and improved seeds were evidence to show that Korea became a place of supplying food to Japan. Profits from colonial Korean increased and improved went into Japan. In this process, Korean were throughly excluded. After all, the reality of Korean tenants' economy became bankrupt up to the miserable situation which was not enough to keep body and soul together. Fifthly, Korean were throughly exclu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anagement and heavy stockholders, and profits from colonial Korean went into Japan's heavy stockholders and companies' holding funds. So Korean became exploitative target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improving profits. In conclusion,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was supported by Japan's public power over 50 yea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and was the agricultural stock holding company that did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nd had the feature such as the government office. Also, it was one of the largest size as the individual stock holding company, and managed agricultural company in the tenant system all over Korea. In fact, Chosun Promotion of Industry became another power organization to colonial Korean. So, it is unreasonable to explain Korean control of the large capital that was supported by Japan's public power, and the reorganization of agricultural structure, under the pretense of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It was the improvement, not development, as the requirement for maximizing plunge and the enforcement of colonial semi-feudalistic exploitation system, even the expense was supplemented by the profit from the colony. Therefore, the feature of Chosun Promotion of Industry's agricultural management was colonial semi-feudalism.;본 고에서는 한말·일제하 일본인 회사지주의 한국 농업침탈에 관한 대표적 사례로서 澁澤자본의 조선흥업주식회사를 살펴보았다. 조선흥업은 일본 자본주의를 육성, 발전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澁澤榮一의 제일은행계 회사로서 일제의 한국 침략과 식민지 농업정책의 수행, 아울러 기업의 사익실현이란 양자의 이해관계가 일치된 전형적인 사례였다. 따라서 조선흥업은 설립 당시부터 일관되게 일제 공권력의 지원을 받았고 또한 그 반대급부로 일제의 대한농업정책에 대한 충실한 대행이라는 상호관계 속에 운영되면서 식민지 초과이윤을 창출해냈다. 조선흥업은 일제의 한국 강점 이전인 1904년부터 한국 전역에 걸쳐 1만 7천 여 町步, 소속 소작인 1만 6천 5백 명에 달하는 거대 농장을 개설하고, 식민지 공권력의 정책적, 금융적 지원과 일제의 농업정책에 대한 적극적 협력사업을 통하여 1945년까지 한국민에 대한 가혹한 수탈과 착취로 고율의 수익을 창출하였다. 그 규모는 식민지기 한국 경제 생산력의 80% 이상을 점하고 있던 농업부분에서 국책회사인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제외한 개별지주로서는 최대 규모의 지주회사였다. 그리고 한국 내 30정보 이상의 일본인 대지주의 경작면적 중 거의 8%를 차지하고 있었고, 한국인 지주까지 합한 통계에서도 3%를 점하는 거대회사였다. 따라서 조선흥업의 수탈적이고 폭압적인 식민지 농업경영의 실태와 그 성격을 규명하는 과정은 ‘식민지 시기 한국 농업의 왜곡와 한국민의 몰락’, ‘왜곡된 근대 경제로의 발전과 좌절된 발전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종래의 한말ㆍ일제하 일본인 대지주(농업회사 포함)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들 연구의 기본 목적은 한국에 진출한 일본인 대지주들의 출신지역과 그들의 자본성격 및 규모, 그리고 그들이 일본 지주제에서 차지하는 위상 규명에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사실상 이러한 연구의 개념과 방향은 어디까지나 일본 경제사의 한 부분으로서의 연구이지 한국 역사 속에서 일본인 대지주의 식민지 지주적 성격을 규명한 것은 아니었다. 한말ㆍ일제하 일본인 대지주들의 본국에 있어서의 자본성격이나 규모는 그들의 한국진출 초기 토지매매 규모와 방법, 토지가격, 수리조합 관여 정도 등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이 한국에서 행한 농업경영방식이나 농민수탈 및 농민운동 탄압, 그리고 권력기관과의 결탁관계 및 각종 수탈적 식민지 농업정책에의 적극적인 참여라는 점에서는 차별성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선흥업이라는 한말·일제하의 대표적인 일본인 회사지주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 시기 일본인 회사지주와 일제 공권력과의 상호 지원관계, 수탈적 식민지 농업경영의 방식, 창출된 식민지 초과이윤의 분배문제, 한국인 소작민에 대한 반봉건적 억압구조와 한국 소작민의 경제적 참상 등을 실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조선흥업의 한국농업 경영에서 나타나는 식민지반봉건 지주적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흥업의 한국농업 침탈은 그 시기면에서도 다른 일본인 지주에 비하여 매우 일렀으며, 그 자본규모의 거대성이나, 회사 존속기간의 장기 지속성, 일본인들의 한국진출과 지주화 과정에서의 선도적 역할 등에서 볼 때 이후 일본인들의 한국농업 및 토지침탈의 기초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특히 토지침탈과 확대 과정에서의 폭력성, 그리고 일제 공권력과의 긴밀한 유착관계는 한말과 일제 강점기를 통하여 일제의 식민지 농업정책과의 상호관계를 맺으며 일관되게 지속·강화되었다. 즉, 한말의 각종의 토지권법 시행을 통한 토지소유 합법화, 강점 이후 토지조사사업을 통한 토지수탈과 경영확대, 산미증식계획에 편승한 미곡의 대량생산과 수출을 통한 식민지 초과이윤의 극대화, 일제의 육지면 재배 증산책과 면화재배업 등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澁澤자본은 가장 먼저 일본의 국익팽창을 위한 한국침탈에 나서 개항 이후부터 일제 강점기 전반을 통하여 광산, 철도, 전기, 금융, 농업 등 경제 전반에 걸쳐 침탈을 하지 않은 분야가 없었다. 이 가운데 농업부분에서의 조선흥업 경영은 일본의 식량 및 원료공급을 위한 식민지 농업정책을 담당한 중요 주체였다. 이권 사업과 달리 농업부분은 한국 사회구조에서 근간을 형성하는 농민계급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지배권을 행사함으로써 일제의 국가권력이 미처 미치지 못하는 미세한 부분에까지 그 통치를 대행할 수 있었다. 즉 그들은 한국 내 관할 지역에서의 사회․경제적 영향력 등에서 볼 때 식민지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또 하나의 권력체였다. 따라서 조선흥업의 존재형태 및 경영방식, 일제 권력기관과의 상호 밀착관계는 식민지 지주제의 전형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라고 본다. 셋째, 조선흥업의 한국 농민에 대한 폭압적이고 치밀한 지배구조는 ‘소작인오인조합’과 ‘흥농회’를 통하여 조직적으로 통제되었는데, 전자의 경우 일본의 막부시대 봉건 지주들의 소작민에 대한 통제체제를 식민지에서 실현한 것이었고, 특히 ‘흥농회’는 한국에 진출한 일본인 농업회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조선흥업만의 특이한 회사조직으로서 한국민에 대한 경제적이고 생존권적인 지배구조에서 더 나아가 인신적 지배까지 가능케 한 특수한 통제조직이었다. 넷째, 소위 ‘개량농법’, ‘농업의 근대화’로 선전되고 있는 일본인 회사지주들, 특히 조선흥업의 일본종자 강요와 과다한 비료시용 강제, 그로 인한 한국농업구조의 왜곡된 변형과 ‘근대와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국권적으로 추진된 수탈의 구조는 봉건적 지주-소작관계의 기본 틀에 자본제적 허울을 덮어 씌워서 오히려 수탈의 메카니즘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재창출한 것이었다. 그리고 일본의 한국농법개량과 종자개량은 궁극적으로 일본의 충실한 식량공급지로써의 변형이고 그에 의해 증산되고 창출된 이윤은 고스란히 일본으로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민은 철저하게 배제되었으며, 결국 한국 소작농의 경제실태는 생계유지가 어려울 정도의 참담한 몰락의 상황으로 치닫게 되었다. 다섯째, 회사의 경영진과 대주주의 구성에서 철저하게 한국인을 배제하였고, 식민지로부터 창출된 이윤은 일본인 대주주와 회사 보유금으로 흡수됨으로써 생산 및 수익증대 과정에 있어서 한국인은 그에 따른 수탈의 대상이었을 뿐이었다. 결론적으로 조선흥업은 한말 이래 50년 이상 지속적으로 일제 공권력의 지원을 받았고, 또한 식민지 농정을 대행하는 관청적 성격의 회사지주였다. 또한 한국 전역에 걸쳐 개별 일본인 회사지주로써는 최대 규모로 소작제 농업회사를 경영했다. 식민지 한국민에게 있어서 조선흥업은 단순한 지주라는 점을 넘어서 또 하나의 지배 권력 기관이었던 셈이다. 따라서 공권력의 후원을 받는 거대 자본의 한국민 지배와 식민지 농업구조의 재편은 결코 근대화와 개발이라는 논리로 설명될 수 없다. 그것은 식민지 반봉건적 수탈체제의 강화 및 그 수탈의 극대화를 위한 필요조건으로써의 최소한의 개발이 아닌 개량이었고, 그나마 그 비용도 식민지에서 고율의 소작료로 충원되었다. 여기에서 조선흥업의 농업경영 성격은 식민지 반봉건적 지주제의 전형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