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순-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reator김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73-
dc.description.abstractSocial workers are concentrated more on society works tha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ecause of the insufficient employment.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know certain point of social worker's satisfaction to their work as having a tight interaction service with their clients. This study is a research on social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who participate on social job creation project. After all, this is to discuss and bring out th political proposal to improve the social job creation project.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what is general characteristic that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in the social job? Second, how is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social workers work itself, personal policy, and work environment on social job. Third,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in the social job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job characteristic and social job? Fourth, what is the factor tha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in social jo? In this research documentary studies and corroborative evidence studies were carri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 performed a questionnaires on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in social job creation projects. Regarding the documentary study, it explored the definition of job satisfaction and decid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roughout preceding studies, so tried to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for survey. In total number of 105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 in social job creation projec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re sampled.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on October 20, 2005 and February 24, 2006. Total 137 copies of materials were distributed to 57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110 copies were collected and 105 copie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 made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JDI(Job Descriptive Index: 1969) and it consists of mainly three parts, totally 31 questions about job satisfaction. For data analysis of this study, SPSS 12.0 were used. The job satisfaction is classified as the content of job, personal policy and work environme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was given 3.12 point. when we look at each subordinate concept's job satisfaction, it's average is 3.29, average of the personal policy is 2.40, and the average of satisfaction in work environment was 3.54. however, the average of the satisfaction on personal policy showed the bottom. Second, each special characteristic showed u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such as sex, age, marriage, motives and wages. Third, the influence variable to the job satisfaction was marrage, motives, and a period of work.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influence variable to the job satisfaction was that unmarried person felt less job satisfaction than a married person. We have found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job characteristic. In the social job's characteristic we have found out that a period of work has a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From this result, we can know that as the period of work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decrease. Th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irst, the people participate short period of work and fall by the wayside because of the less wages. Therefor to have a suitable social job, wages have to be increased to compensate their work. Second, there should be a opportunity to study and train for the work to improve the capabilities. This is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the work study of specificity and diversity. Third, countermeasure is required to protect the workers from unemployment after their period of contract is over.;IMF 이후, 노동 유연화로 인한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노동시장의 변화로 인한 실업 문제는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할 중대한 사항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실업을 해결하기 위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사회적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조직도 고용형태와 고용환경이 변화하고 있어서 사회복지조직에서 다양한 형태로 고용되어 있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도 관심을 갖을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조직의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클라이언트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해 서비스가 전달되어야 하는 사회복지의 특성상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가 직무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조사함으로 사회적 일자리 사업이 개선해야 할 점을 논의하고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내용, 인사정책, 직무환경에 대한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과 사회적 일자리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실증적 조사연구의 기초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만족 실태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서울·인천시 및 경기도 지역에서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5년 10월 20일부터 2006년 2월 24일까지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서울·인천시 및 경기도에 있는 57개 기관에 총 137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110부였다. 회수된 설문지 110부 중 부적절한 응답의 설문 5부를 제외한 총 105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JDI를 기초로 수정 보완한 설문지이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사회적 일자리의 특성을 묻는 문항과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총 31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이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하위척도군은 직무내용, 인사정책, 직무환경이다. 자료는 단순빈도와 백분율, T-test, One-way ANOVA, 다중 회귀분석의 방법으로 통계분석 처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 평균점수는 3.12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변인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직무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29, 인사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40, 직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54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인사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연령, 결혼관계, 경력, 임금, 참여계기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변인으로는 근무기간, 결혼관계, 참여계기이다. 결혼관계로(β = - .360, p<.05)는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직무만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경력을 위한 참여계기(β = - .536, p<.05)와 돈을 벌기 위한 참여계기(β = - .415), 그리고 근무기간(β= - .226, p<.05)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일자리의 급여가 낮기 때문에 참여자의 근무기간이 짧고 중도 포기가 많다. 따라서 사회적 일자리가 적당한 일자리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임금을 상승시켜서 업무에 대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 둘째, 업무에 따른 교육 훈련의 기회를 통해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것은 업무 수행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전문성과 다양성이 갖추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셋째, 사회적 일자리의 계약기간이 끝난 후, 참여자는 다시 실업 상태로 돌아가게 되므로 이에 대한 사후 대책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직무만족 = 6 1. 직무만족의 개념 = 6 2. 직무만족의 선행연구 = 11 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 12 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만족 = 13 B.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 16 1. 사회적 일자리의 특성 = 16 2.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 21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모형 및 연구 질문 = 25 1. 연구 모형 = 25 2. 연구 질문 = 27 B.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28 1. 연구 대상 = 28 2. 자료수집 방법 = 28 C. 변수의 정의 및 척도 구성 = 29 1. 변수의 정의 = 29 2. 척도 및 설문지의 구성 = 31 D. 자료 분석방법 = 34 IV. 연구결과 = 35 A.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 = 35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5 2. 연구대상의 직무관련 특성 = 36 3. 연구대상의 사회적 일자리 특성 = 39 B. 사회적 일자리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 42 1. 연구대상의 전체 직무만족도 = 42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 43 3.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 47 4. 사회적 일자리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 52 C.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8 V. 결론 및 제언 = 62 A. 연구결과 = 62 B. 정책적 함의 = 71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74 설문지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57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일자리 참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Job Participa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Focusing on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dc.format.pageⅶ, 8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