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 개발

Title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Group Supervi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 Korean (GSEQ-K)
Authors
임영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 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들이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Group Supervi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 Korean, GSEQ-K)를 개발하고 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구인을 정하기 위해, 65명의 석, 박사 과정의 상담전공생들과 상담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문항 개발 및 검토에는 53명의 상담, 목회상담, 발달, 측정전공의 석, 박사생, 측정 교수 및 상담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예비검사는 집단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수련생 225명의 회상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검사는 집단 수퍼비전에 참여한 상담수련생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65명의 상담자에게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개방 질문한 후, 그 내용과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집단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구인을 정하고 문항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문항에 대해, 다섯 번의 문항 점검 과정을 거치면서 문항을 수정, 삭제, 보충하여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문항을 무선적으로 배열하여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로 만들어서 약 4개월 동안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하여 2005년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집단 수퍼비전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요인을 정하고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는 요인별 내적합치도(Cronbach α)를 확인하였다.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공준타당도, 구인타당도로 살펴보았는데,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전문가들의 문항검토를 받았다. 그리고 공준타당도는 외국에서 이미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퍼비전 평가도구와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구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는 집단 수퍼비전의 수퍼바이저가 1명인 경우, ‘수퍼바이저 태도’, ‘수퍼비전 관계’, ‘상담개입’, ‘집단운영’의 총 4요인 20문항과 수퍼바이저가 2명인 경우, ‘수퍼바이저간 협력’ 요인이 첨가되어 총 5요인 24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수퍼바이저 1명인 경우, Cronbach α는 .670~.770, 수퍼바이저가 2명인 경우, .479~.823으로 신뢰롭게 나타났다. 또한, 내용타당도는 문항개발과정에서 상담전문가 및 대학원 석, 박사, 교수들의 검토과정을 통해 확보되었다. 뿐만 아니라, 집단 수퍼비전의 수퍼바이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집단 수퍼비전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집단 수퍼비전 도구(Arcinue, 2002), 수퍼바이저 스타일 질문지(Friedlander & Ward, 1984)와의 상관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인타당도를 보면,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RMSEA가 수퍼바이저 1명인 경우, .107, 수퍼바이저 2명인 경우, .095 ~ 092로 아주 좋지는 않다. 이것은 하위 요인들간의 상호상관이 높은 것과, 표본 수가 매우 작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는 이미 개발된 수퍼비전 평가도구의 문제점을 보완했다는 점과 집단 수퍼비전의 수퍼바이저 수를 고려한 국내, 국외 최초의 집단 수퍼비전 평가도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도구는 집단 수퍼비전 연구와 집단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는 상담 교육 현장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group supervision evaluation questionnaire-Korean. Although group supervision is a very popular supervision form in Korea, no group supervision scale has been developed. There are a few group supervision evaluation scales developed in the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y have some methodological flaws and are not adequate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2 supervis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ponses from 65 professional counselors, I developed a total of 97 items with 4 constructs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nd 6 constructs with 2 supervisors. Through item screening process, finally 27 items were left for the preliminary analysis.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50 counselors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one supervisor and with 106 counselors to evaluate 2 supervisors. The counselors were asked to recall the most recent group supervision they received. Based on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item correlation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teen items were selected with three factors, such as "counseling intervention", "supervision relationship", and "supervisor qualities" for th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lthough the factor "group management" was not found salient from factor analysis, I decided to include the factor for the final analysis with a revision of items to measure the factor. For the group supervision with 2 supervisors another construct of "supervisors' cooperation" was add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cale revised through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50 counselors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nd 65 counselors for the one with 2 supervisors. The counselors were asked to evaluate the group supervisors right after group supervision session was finished. Four factor model with 20 items was confirm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nd 5 factor model with 24 items for the one with 2 supervisors. The Cronbach's alpha's were satisfactorily acceptable with a range from .67 to .77. Limitations of the scale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