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정-
dc.creator이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2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2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267-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advent of 1920s and 30s, the modern media of publication come to increase in quantity. As the number of literate people grew due to the switchover to the Cultural Ruling of imperialist Japan and the diffusion of modern school education, the act of reading a newspaper and magazine became popularized. The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20s and 30s, unlike the newspapers that called out all the readers as the members of a nation, classified the readers int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class, age, gender, and region. The phenomenon in which distinct reading materials were furnished for dissimilar classes of read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of groups which became differentiated owing to the modern structure of society. Women's reading and writing which, in particular, got spread in earnest in the 1920s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specialized medium of women's magazine. This is because the women's magazine is the space where the texts for female readers are propagat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medium that promotes women's writing. This thesis, in the first place, gives a general overview of women's magazines in 1920s through 30s. In the next, it examines the aspects of women's writing centering around the women's texts appeared in the magazines, and attempts to look into the context where the mixture of readers and writers becomes grad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i.e., women writers and women readers. To begin with, chapter II investigates the public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magazines from 1920s to 30s. Due to the tremendously increasing discussion about the new woman, the women's magazines in the beginning of 1920s develop arguments exclusively within among the new woman readers and writers. Into the mid and later 1920s, however, separated spaces come to be alloted for different classes, viz., outdated women, new women, and gisaengs. Meanwhile, the 1930s converge back into the old trend where women of a distinct class coexist around one single gender, 'women.' Chapter III examines the phases of writing shown in the women's magazines during the period of 1920s - 30s, through which it considers the way the specific writing space of women's magazine was understood by the contemporary women readers. It approaches this issue in three broad respects. First of all, the introduction of the readers' column and questionnaire makes the readers recognize the women's magazines as an abstracted space for discourse. This fact made it possible to form solidarity among the readers in that the readers could use pages of a magazine for a private opinion.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and formats of the reader's column and questionnaire cannot help being delimited in the sense that they were part of planning a magazine. Second, it became possible to express feelings of individuals as the modern subjects being freed from the discussion of illuminism which lasted from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This was represented by the writings of a journal, travel sketch, and essay, which tend to lay stress on individuals' emotion and experience. They were a style of writing that was considered significant within women's magazines in that they were given an independent space. In particular, they are conspicuous quantitatively in the magazines where women were the subjects. Third, the increment of female reporters' articles and symposia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crease of women's entering into public affairs. Female reporters' interviews with the group of new women and round-table talks among the female public figures are a unique form in that it was possible for a minority of women who were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to cultivate friendship through a vis-a-vis meeting. In addition, rural women, factory-working women, and waitresses of coffee shop were absorbed into a new class of readers for a women's magazine, the fact of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influence of socialism promulgated in the 1920s and the increase of the literate. Accordingly, the interviews with the women of various classes got to appear in the magazines, and a discussion among women came to be formed based on the 'professional women' who were economically independent and socially active. Chapter IV looks through the process of women being born as modern readers via a high wind of reading in the 1920s, and the appearance of professional women writers through a creation space of a girls' school magazine. The group of women writers originated from a school magazine, among others, was disparaged by the contemporary male intellectuals and the literary circle as 'school girls' literature.' However, they, unlike the readers, preoccupied a distinct position as confessed writers within the women's magazines. The distinction between reader and writer was made by the fixed assignment of page, which in turn led to the evaluation of a style that is bifurcated into literature and miscellany. The controversy about women's literary circle surfacing in the beginning of 1930s was not only a dispute over the level of women writers' literature but also a procedure of internalizing the literary status to the female readers. Throughout the discussion above, the implications of women's magazines of the 1920s to 30s can be recapitulated as follows: The women's magazines shared their space with the readers while encouraging them to write, whereby they contributed to forming a solid community among women. Moreover, they gave rise to dissemination of the modern writing for the sake of expressing individual sentiments. This is also continuous with the nurture of female writers and journalists. As a matter of fact, they played a role of institutionalized medium in the sense that they provided those women with a scaffold of activity.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xt for the women's magazines during the 1920s through 30s, and defines the aspects of women's writing exhibited in this medium. It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apprehends the environment for women's writing of the 1920s to 30s in a more diverse way. A further contribution of the thesis can be found in that it expands the research category for women's literature by presenting a study of a medium.;1920~30년대에 이르면 근대적 출판 매체의 양적인 증가가 이루어진다. 일제의 문화통치 정책으로의 전환과 학교 교육의 보급으로 인한 문자 해독층의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신문, 잡지를 읽는 행위는 대중적으로 확산된다. 1920~30년대에 간행된 잡지들은 독자를 국민국가의 구성원으로서 함께 호출하는 신문과는 달리 계층, 연령, 성별, 지역에 따라 독자를 구분하여 분화시켰다. 독자층에 따라 다른 읽을거리가 주어지는 현상은 근대적 사회구조에 따라 분화되어 가는 각 계층들의 정체성 형성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특히 192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여성의 독서와 글쓰기는 여성잡지라는 특화된 매체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여성잡지는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텍스트들이 유포되는 공간이자 여성의 글쓰기가 장려되는 매체인 까닭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20~30년대 여성잡지 전체를 조망한 후에 그에 실린 여성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여성의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고, 독자이자 작가로서 혼재되어 있던 여성 필자들이 점차 여성 작가집단과 여성 독자로 구분되게 되는 맥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1920~30년대에 이르는 여성잡지의 발간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신여성 담론으로 인해 1920년대 초반의 여성잡지는 신여성 독자와 필자들만을 중심으로 여성담론을 배타적인 테두리 내에서 형성하지만 1920년대 중후반에 이르게 되면 구여성, 신여성, 기생이라는 사회적 계층에 따라 각각 분화된 공간이 만들어 진다. 이는 1930년대에 이르러 다시 하나로 수렴되게 되는데 ‘여성’이라는 성별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계층의 여성들이 공존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1920~3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여성잡지라는 특수한 글쓰기 공간이 당대 여성 독자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여졌는가를 규명하였다. 이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첫째, 앙케이트와 독자란의 도입은 여성잡지가 하나의 추상화된 담화 공간으로서 독자에게 인식되는 역할을 하였다. 독자가 사적인 담화 공간으로 잡지 지면을 이용할 수 있었다는 점은 독자들 간의 유대 형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애국계몽기부터 지속된 계몽 담론에서 벗어나 근대적 주체로서 개인의 감성을 표출할 수 있었다. 이는 일기, 기행문, 수필 쓰기로 나타나며 개인의 감성과 체험을 중시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독립된 지면을 부여받는다는 점에서 여성잡지 내에서는 위상을 부여받고 있는 글쓰기 양식이었으며, 특히 여성이 주체가 되는 잡지에서 양적으로 두드러진다. 셋째, 여성 기자의 기사문과 좌담회의 증가는 여성의 사회 진출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여성 기자의 인터뷰, 여성 인사들 간의 좌담회는 사회 활동을 하는 소수의 여성 집단에서 맞대면을 통한 친목 도모가 가능했다는 점에서 특수한 양식이다. 또한, 1920년대에 유포되는 사회주의의 영향과 문자 해독층의 증가로 인해 농촌여성, 여공원, 카페 여급 등이 새로운 여성잡지의 독자 계층으로 흡수된다. Ⅳ장에서는 1920년의 독서 열풍을 통해 근대적 독자로서 여성이 형성되는 과정과 여학교 교지라는 창작 공간을 통해 전문 여성 작가집단이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특히 교지를 통해 형성된 여성작가 집단은 당대 남성 지식인들과 문단계에서 ‘여학생 문예’라고 불리며 폄하되었지만, 여성 잡지 내에서는 창작 지면의 고정적인 부여를 통해 독자와는 다른 위치를 선점하게 된다. 또한 여성 작가를 지지하는 여성 독자층의 성장이 여성 작가군이 여성 잡지 내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살펴본 1920~30년대 여성 잡지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여성잡지는 지면을 독자와 공유하고, 여성 글쓰기를 독려함으로 인해 여성이 다른 여성들과 공동체적 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고, 개인적 감성의 표출을 목적으로 하는 근대적 글쓰기의 확산을 가져왔다. 이는 1930년대의 여성 작가와 여성 기자의 배출과도 연관되며 실제로 여성잡지 지면이 그들이 활동하는 발판이 되었다는 점에서 제도화된 매체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1920~30년대 여성 잡지의 맥락을 살펴보고, 매체가 담지하고 있는 여성 글쓰기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는 1920~30년대 여성 글쓰기의 환경을 보다 다양하게 파악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것으로 예상되며, 매체 연구를 통하여 여성 문학 연구의 범주를 확장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닐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ⅲ Ⅰ.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선행 연구 검토 1 B. 연구 대상 설정 3 Ⅱ. 근대 여성 잡지의 전개 양상 8 A. 1920~1926년: 신여성 중심의 잡지 성장 8 B. 1927~1934년: 여성 계층에 따른 잡지의 다양화 14 Ⅲ. 여성 잡지에 나타난 글쓰기 양상 21 A. 추상화된 담화 공간과 편지 쓰기 21 B. 사적 경험의 의미화와 수필적 글쓰기 34 C. 여성의 사회진출과 기사문, 좌담의 증가 44 Ⅳ. 여성 잡지의 전문화와 여성 문학의 발전 55 A. 전문학교 교지의 등장과 여성 작가의 성장 55 B. 문학열의 확산과 여성 독자의 확대 70 Ⅴ. 결론 84 참고문헌 86 부록 - 연구 대상 잡지 세부 목록(가나다순) 91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3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20~30년대 여성 잡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men's Magazines in the 1920s - 30s-
dc.creator.othernameLee, Mi Jeong-
dc.format.pageiv, 89-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