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서영주-
dc.creator서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14-
dc.description.abstract가족은 인간이 만나는 최초의 집단으로써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상호간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가족전체를 구성한다. 가족은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서로의 기능과 역할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 중 한 구성원의 변화는 가족 구성원 전체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정신장애인은 정신질환이 만성화되는 특성으로 인해 가족에게 불안, 스트레스, 부담감 등을 유발하게 되어 가족에게 어려움을 안겨주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55년에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정신장애인 탈시설화를 증진시킨 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됐으며, 이로 인하여 가족의 욕구가 다양화하고 그들을 위한 서비스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가족구성원은 이와 같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개인의 신념이나 자신이 처한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의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이 인지하는 가족의 부담감과 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이 정신장애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정신과전문병원과 정신보건센터 7곳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증, 기분장애, 인격장애로 진단을 받은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t-test, ANOVA,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을 살펴본 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교육수준에 있어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응집력과 적응력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족 종교 유무에 따라서는 응집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적응력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정신장애인 가족의 가족부담, 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과 가족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응집력에 있어 가족부담의 하위요인인 가족생활방해, 상호작용방해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제소재 하위요인인 내적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 전체와 그 하위요인인 재활서비스, 사회서비스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적응력에 있어서는 지역사회자원활용 전체와 그 하위요인인 사회서비스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신장애인 가족의 가족부담, 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집력의 경우 가족부담의 하위요인인 가족상호작용방해, 지역사회자원활용의 하위요인으로 사회서비스, 가족(보호자) 연령, 통제소재의 하위요인인 외적통제소재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적응력에 있어서는 영향력 있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사회복지적 실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욕구에 적합한 사회적 서비스 구성을 위하여 가족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의 욕구와 서비스 제공의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서비스의 욕구를 통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제공된 사회적 서비스가 가족기능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서비스의 개발에 있어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성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제소재는 가족기능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으로써 가족 개입에 있어 구성원의 성향에 맞추어 가족의 어려움이나 상황에 있어 가족이 함께 긍정적인 가족기능을 찾아 갈 수 있도록 하는 가족교육이나 개입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넷째, 가족기능에 영향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신장애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의 특성에 따른 비교연구가 필요하다.;Families operate as a system in which each family member's functions and roles affect every other member's functions and roles. Consequently, one family member's health problems affect all family members.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ies cause other family members difficulties such as anxiety, stress, a feeling of burden, and so on. In South Korea, the deinstitutionalization movement in mental health in 1955 has resulted in the increasing burden on family caregivers of mentally ill person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factors such as caregiver burden, locus of control, and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interact with the family function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of the mentally handicapped. The study concerned the families of clients with a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iagnosis in seven mental hospitals and mental health services located in Seoul. Specifically, data for the study was gathered from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one main caregiver looking after person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a mood disorder, or a personality disorder. Statistical test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s, ANOVA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finding concern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family function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differ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two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functions (cohesion and adapt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ducation attainment of the caregiver. Furthermore, cohesion, but not adapt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religion. The second finding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burden, locus of control, and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on the one hand and family functions on the other. Disruptions in the caregiver's life and disruptions in family interactions (subordinate factors of caregiver burde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hesion. On the other h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a subordinate factor of locus of control),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as a whole and its subordinate factors, i.e.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hesion. As for adaptability,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as a whole and its subordinate factor, i.e. social servic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t. The third finding concerns an investigation of how factors such as caregiver burden, locus of control, and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interact with the family function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Factors affecting cohesion are disruptions in family interactions (a subordinate factor of caregiver burden), social services and caregiver's age (subordinate factors of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a subordinate factor of locus of control) in order of priority. No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adaptability.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irs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riorities in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which are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as well as those of their caregiver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 program to provide social services to the familie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and to examine the effects influenced by such services. Third, in developing social services, it is advisable to exploit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would like to use them in the first place. Fourt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family functions. Finally, the present study leads to a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정신장애와 가족기능 = 4 1. 가족기능의 개념 = 4 2. 가족기능 = 5 3. 정신장애와 가족기능 = 8 B. 정신장애인 가족 부담 = 10 1. 가족 부담 = 10 2. 정신장애인 가족부담과 가족기능 = 12 C. 통제소재 = 14 1. 통제소재 = 14 2. 통제소재와 정신장애인 가족기능 = 16 D. 지역사회자원활용 = 18 1. 지역사회자원활용 = 18 2. 지역사회자원활용과 가족기능 = 20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질문 및 연구 모형 = 23 1. 연구질문 = 23 2. 연구모형 = 23 B. 연구 대상 및 조사도구 = 24 1. 연구대상 = 24 2. 조사도구 = 24 C. 조사 분석방법 = 28 D. 연구의 제한점 = 28 Ⅳ. 연구결과 = 29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1. 정신장애인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9 2. 정신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2 3. 가족부담, 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 가족기능 분석 = 35 B.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 38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 = 38 C. 가족부담, 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 가족기능과의 관계분석 = 42 1.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 42 2. 가족부담, 통제소재, 지역사회자원활용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44 Ⅴ. 결론 = 48 1. 연구결과 요약 = 48 2. 함의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설문지 = 63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0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신장애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Family Function of the Mentally Handicapped-
dc.creator.othernameSuh, Young-Jue-
dc.format.pageⅴ, 7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