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구례 줄풍류와 국악원 줄풍류의<군악>선율비교

Title
구례 줄풍류와 국악원 줄풍류의<군악>선율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melodies between Gurye Julpungryu and NCKTPA Julpungryu : Centering on the two musical instruments of Danso and Yanggeum
Authors
이주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줄풍류는 율방에서 율객들이 거문고·가야금·대금·세피리·해금·장구·단소·양금 등의 악기로 연주하는 것으로, 영산회상은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관악영산회상 즉 대풍류와 구별하기 위해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현악영산회상을 ‘줄풍류’라 이른다. 풍류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비들의 놀이·여가문화를 주로 풍류라 일컫게 되었으며, 이때의 선비들을 풍류객 또는 풍류인이라 하였다. 풍류객들은 풍류방에서 시·서화·악 등을 함께하며 산수(山水)와 더불어 풍류를 즐겼는데, 풍류음악은‘영산회상’이었다. 양반에서 시작된 풍류문화가 중인에서 평민으로 점차 확대되어가는 중, 크게 두각을 드러낸 신분은 조선 중인계층으로 이들은 임진란과 병자호란의 양난 후 해체된 사회 재건 과정에서 그들의 존재를 분명히 하며 부각된 계층이다. 이로, 중인층 풍류객으로 형성 된 율회가 생기며, 각 지방에서도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여러 고악보에 전하는 ‘영산회상’을 통하여 풍류가락의 발전과정과 변화과정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류모임이 현재는 그 모습들을 찾기 힘들다. 이에, 1985년 문화재 청(당시 문화재 관리국)에서 그 가락과 모임을 보존하고자 구례 줄풍류와 이리 줄풍류를 무형 문화재로 지정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산 전용선의 제자로 이루어진 구례 향제 줄풍류와 국립국악원이 이어 계승한 경제 줄풍류 영산회상 중 군악을 통하여 장단, 구성음, 음계, 장 구분을 알아보며, 이를 토대로 선율비교를 하고자 한다. 군악은 영산회상 상령산에서 타령까지의 8곡과는 달리, 태주가 중심인 곡이다. 이렇게 변조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구례 줄풍류와 국악원 줄풍류의 두드러진 음악적 차이를 알 수 있으리라 여겼기 때문이다. 단소는 추산 전용선이 즐겨 잡은 악기이며 양금은 골격음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악기이므로 줄풍류간의 선율비교 할 때 그 차이점이 두드러져 나타났다. 선율의 비교에 있어서 선율과 리듬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동일 선율, 선율은 같으나 리듬이 다른 경우는 유사 선율, 선율과 리듬이 모두 다른 경우와 리듬은 같지만 선율이 다른 경우를 다른 선율로 구분하였으며, 삼정일박하여 2각씩 비교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구례 줄풍류와 국악원 줄풍류 단소와 양금을 중심으로 비교한 군악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구례 줄풍류의 장단 연주법에 있어 국악원에 비해, 떵(ⓛ), 쿵(○), 따(l)의 세 가지 주법만 주로 사용하며, 구례의 장단이 대강의 기본 틀에 충실한 장단 형을 구사하여 화려하지 않고 주선율의 흐름의 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둘째, 악곡구성에 있어 구례 줄풍류는 총 5장48각으로 구분되고, 국악원 줄풍류는 총 4장 48각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권마성 가락을 구분의 여부에 따라 줄풍류간의 장구분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권마성 가락은 구례 줄풍류에서 4장에서 총 11각이 권마성으로 보며, 이를 한 장으로 구분 지었다. 셋째, 국악원 줄풍류 음계는 태·고·임·남·황이며, 구례 줄풍류는 태·협·임·남·황의 음계이다. 넷째, 국악원 줄풍류에서 양금은 협종 줄은 쓰이지 않으므로 우괘 왼편에 가괘를 받쳐서 협종 줄에서 고선음을 만들어 조율하며, 구음표기는 협종의 구음(지)을 빌어 표기하고 있다. 구례에서는 가괘를 걸지 않고 협종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양금 구음표기법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구례 줄풍류는 각 음에 해당하는 구음표기법이 있다. 청(僙)·충(伏)·정(俠)·흥(亻仲)·둥(亻林)·등(亻南)·디(亻無)·당(黃)·동(太)·덩(夾)·징(仲)·땅(林)·똥(南)·지(無)·찡(潢)·칭(汰)·쫑(㳞) 이다. 국악원 줄풍류는 주로 쓰이는 음에 해당하는 구음표기법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당(黃, 林)·동(太, 南)·지(夾, 無)·징(仲, 潢)·칭(林, 汰)의 구음은 해당음이 달라도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섯째, 선율비교결과 단소 총 192박 중 동일한 선율 39박으로 20.31%이고, 유사한 선율 34박 17.7% 그리고 다른 선율은 119박으로 61.97%를 차지하여 구례 줄풍류와 국악원 줄풍류의 단소 선율은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양금선율은 총192박 중 다른 선율은 23박으로 11.97% 이며, 동일한 선율은 유사선율까지 합한 공통선율 169박 88.02%로 구례 줄풍류와 국악원 줄풍류의 양금선율은 공통선율진행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양금은 악기 특징상 주요 골격음을 연주하고 주법에 있어 연주자의 기교와 화려한 선율을 필요로 하는 악기가 아니므로 나타난 결과이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vement, sound, scale, and phrase of Gunak of Yeongsanhoesang of Gurye Hyangje Julpungryu, organized with disciples of Chusan Jeon Yong-seon, and the NCKTPA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ucceeding Julpungryu, and then, compare the melodies of the two Julpungryus. Different form the eight songs from Sangryeongsan to Taryeong of Yeongsanhoesang, the key song of Gunak is Taeju. It is because the investigator thinks that the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Gurye Julpungryu and NCKTPA Julpungryu can be demonstrated in the course of changes of tone. Because Danso is an instrument preferred by Chusan Jeon Yong-seon, and Yanggeum is played centering on skeletal sounds, the comparison of melodies between Julpungryus shows its difference distinctively. When all the melodies and rhythms are consistent each other, they are classified as the same melodies. If melodies are the same, but rhythms are different, they are classified as similar melodies. If all the melodies and rhythms are different each other, they are classified as different melodies. Comparison was done with every two Gaks by doing Samjeongilbak.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t from NCKTPA Julpungryu, Gurye Julpungryu uses only three techniques such as Tteong(ⓛ), Kung(○), and Tta(l). The movement of Gurye Julpungryu is faithful to the basic and simple, playing the role of regulating the flow vein of main melodies. Second, as for the composition of musical piece, Gurye Julpungryu is divided into 5 Jangs and 48 Gaks, whereas NCKTPA Julpungryu, 4 Jangs and 48 Gaks. The phrasal difference of Jang seems to be derived from whether the Gwonmaseong melody is divided or not. Third, the musical scale of NCKTPA Julpungryu is Tae, Go, Im, Nam, and Hwang, whereas that of Gurye Julpungryu is Tae, Hyeop, Im, Nam, and Hwang. Fourth, because the Hyeopjongjul of Yamggeum is not used in NCKTPA Julpungryu, tuning is done by making Goseon at Hyeopjongjul by propping up Gagwae at the left of Ugwae, and the signification of Gueum is done by borrowing the Gueum (Ji) of Hyeopjong. However, Gurye Julpungryu uses Hyeopjong without hanging Gagwae.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Gueum signification in Yanggeum is different. Gurye Julpungryu has no technique of Gueum signification, which is corresponding to every sound. Fifth, the comparison of melodies in Danso shows that the same melodies are 39 Baks (20.31%) out of total 192 Baks, the similar melodies are 28 Baks (14.58%), and the different melodies are 125 Baks (64.58%), thus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Danso melodies are different between Gurye and NCKTPA Julpungryus. Among total 192 Baks in Yanggeum melodies, the different melodies are 26 Baks (13.54%), and the same melodies + the similar melodies are 166 Baks (86.45%), thus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Yanggeum melodies are progressing in common between Gurye and NCKTPA Julpungryus For the skeletal sound-playing Yanggeum, Gurye and NCKTPA Julpungryus show common melodies, but for Danso in which players' interpretation of music can be added, melodies are progressing differently between the two Julpungry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