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영어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itle
- 영어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TV Commercials and Print Ads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 Authors
- 김지영
- Issue Date
- 2006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은주
- Abstract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 영어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영어에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것은 구두 의사소통 능력 뿐 아니라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까지 포함한다. 또한 매스컴의 발달과 인터넷의 사용 증가로 문자를 자주 접하게 되는 현실에서 쓰기 입문기인 초등 영어교육에서의 쓰기 지도는 그 입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초등학교 5학년부터 도입되는 문자언어 지도는 음성 언어에 수업 비중도 낮을 뿐 아니라 의사소통보다는 언어자체를 강조하게 되어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다른 언어 기능을 강화해주고 의식적인 언어 발달을 가져오게 한다는 점에서 초등 영어 쓰기는 매우 중시되고 있다. 특히 초등 학습자들이 영어 쓰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의 활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광고를 활용하여 쓰기 수업을 실시했을 때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서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 3개 반(총 108명)을 대상으로 동영상 광고 집단(36명), 지면 광고 집단(36명), 교과서 중심의 통제 집단(36명)으로 나누고, 총 4주간 8차시에 걸쳐 동영상 및 지면 광고를 각 실험 집단에 제공하였고 광고 만들기를 포함한 다양한 쓰기 활동 뿐 아니라 사전․사후 영어 쓰기에 대한 평가, 설문 조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광고를 활용하여 쓰기 수업을 실시한 후 영어 쓰기 능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들의 사전․사후 평가를 분석해 본 결과, 동영상 광고 집단 및 지면 광고 집단 학습자들은 모두 사후 영어 쓰기 능력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분석적 측면에서 보면 동영상 광고 집단과 지면 광고 집단은 모두 통제 작문의 문장 쓰기 영역과 자유 작문의 내용 및 어휘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동영상 광고 집단의 경우는 문법 면에서, 지면 광고 집단의 경우는 알파벳 쓰기 면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두 집단 모두 교과서 중심의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영어 쓰기에 있어 동영상 및 지면 광고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영어 쓰기 능력 향상도의 경우, 동영상 광고 집단과 지면 광고 집단의 상․하위 집단 모두 영어 쓰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상위 집단의 경우 공변량 분석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낱말 쓰기, 내용, 어휘 영역 중에서 낱말 쓰기는 지면 광고 집단과 교과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내용 및 어휘 영역에서는 동영상 광고 집단과 지면 광고 집단 모두 교과서 집단과의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하위 집단의 경우, 공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낱말 쓰기, 문장 쓰기, 내용, 어휘 영역 중에서 통제 작문의 문장 쓰기와 자유 작문의 내용 영역은 동영상 광고 집단과 지면 광고 집단이 모두 교과서 집단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지면 광고 집단은 낱말 쓰기에서, 동영상 광고 집단은 어휘 영역에서 교과서 집단과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동영상 광고 집단과 지면 광고 집단은 흥미도, 자신감, 태도, 참여도, 동기 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광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가 초등 학습자의 영어 쓰기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위 집단에게는 흥미도, 태도, 참여도의 3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인 동영상 광고보다 흥미도, 자신감, 태도, 참여도의 4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인 지면 광고가 더욱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하위 집단의 경우 동영상 광고 집단과 지면 광고 집단 모두 흥미도, 자신감, 태도, 참여도 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모든 영역에서 사후 점수 향상이 있었으며 동기 면에서도 유의한 점수 향상을 보인 동영상 광고 집단이 지면 광고보다 하위 집단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실험 집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심화 설문 및 면담 분석 결과, 광고를 활용한 쓰기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영어 쓰기에 대한 거부감을 덜어주었고 영어 쓰기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높였으며 영어 쓰기 능력을 비롯한 다른 언어 기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외국 문화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학습자의 발달적 특성과 인지적 수준에 맞는 광고를 선정하여 수업에 활용한다면 광고를 통한 쓰기 지도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처럼 광고를 활용한 영어 쓰기 지도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 인지적 및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은 동영상 및 지면 광고가 쓰기에 대한 흥미와 동기 유발시킬 수 있는 적절한 매체 및 학습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광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광고 자료를 학습자 수준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쓰기 활동을 초등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다양화해야한다. 시각적인 이미지와 함께 쓰기 활동을 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어 쓰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낮추어 주고 아이들의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므로 필요한 어휘는 교사가 제시하여 주면서 아이들이 하고 싶은 바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교육에서 광고를 통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광고는 영어 교육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라는 목표달성에 유익한 매개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The aim of English education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is for the students to take interest and confidence to English and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the mass communication and internet written language can be seen everywhere in recent days. Writing activities can help children's development, satisfy their expression need and reinforce other language skills. Especially the use of various media is needed for young learners to take interests in English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TV commercials and print ads on English writing skills and learning attitude.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 weeks with 10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 2 experimental groups and 1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provided with TV commercials and print ad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ment scores among the 3 groups; the use of 2 kinds of ads in English writing learn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skills. And especially the scores of both groups showed a marked improvement on sentence writing, contents and vocabulary area.
Secondly, English writing instruction using 2 kinds of ads improved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English writing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interest, confidence, attitud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o English writing. And in the analysis of the upper and lower level students's scores in each group, the use of TV commercials was more effective for lower level students and the use of print ads was more effective for upper level students.
Thirdly, a survey and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found that students gained interest and motivation, could get help with other language skills and learn indirect experiences of foreign culture through ads. In particular, students indicated that making ads and making mini books were very enjoyable activities.
As shown from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use of ads in English writing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developing English writing skills and attitude for English writing. However, for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ads in the classroom, the material has to be tailored to the linguistic ability and intellectual level of the students. Also, devising diverse and creative activities using ads is needed for young learners to express their needs. Further, if using ads in English education is considered in many ways, the ads can be a useful medium for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