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박혜경-
dc.creator박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2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장학요원들의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실증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른 임상장학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ㆍ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장학요원들의 장학요원 효능감은 어떠한가? 1-1. 전체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인구 통계학적인 변인(교육경력, 학력, 직위, 근무기관 유형, 장학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경향은 어떠한가? 2.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른 임상장학의 특성은 어떠한가? 2-1.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장학요원의 역할은 어떠한가? 2-2.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임상장학의 양상은 어떠한가? 2-3.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장학 구성원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4.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피장학요원들이 인식한 임상장학의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조사연구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육경력 3년 이상의 교사들 중에서 원내에서 동료들을 대상으로 장학요원의 역할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485명이었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조사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학요원 효능감이 높은 상집단과 장학요원 효능감이 낮은 하집단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한 후 상집단에서 5명, 하집단에서 5명을 최종적인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례연구 대상자들과 그들의 피장학요원들은 총 17주 동안 자율적으로 원내 임상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Riggs(1997)가 개발한 장학요원 효능감 척도(The Mentor 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의 경우 유치원 장학요원들이 갖고 있는 장학요원 효능감의 전체적인 경향 및 이들의 교육경력, 학력, 직위, 근무기관 유형, 장학 관련 연수경험 유무 등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의 경우에는 사례연구 대상자들이 장학의 과정에서 사용한 모든 녹음 및 문서기록 자료들을 수집하여 전사본을 만들고 이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장학요원들이 갖고 있는 전체 장학요원 효능감은 5점 척도에서 3.55점으로 중상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결과기대가 효능기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학요원의 개인적인 배경 변인인 교육경력, 학력, 직위, 근무기관 유형, 장학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육경력, 학력, 직위, 장학 관련 연수경험 유무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경력이 많고, 학력 수준이 높고, 직위가 높고, 장학 관련 연수경험을 받아 본 장학요원들이 장학요원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른 임상장학의 특성을 장학요원의 역할, 장학의 양상, 장학 구성원들 간의 관계, 피장학요원들이 인식한 임상장학의 경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학요원의 역할에서 장학요원들은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와 관계없이 장학의 과정에서 가르치는 자로서의 역할도 하였지만 배우는 자로서의 역할도 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다만 이들이 수행한 역할의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의 양상에서 장학요원 효능감이 높은 장학요원들은 상호 협력적인 장학을 진행하였으며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육내용 및 피장학요원들의 사고와 경험을 확장하고 변화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장학요원 효능감이 낮은 장학요원들은 주로 지시・정보제공적 장학을 진행하였으며 장학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교육내용 및 실제 수업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료와 활동을 제공하는 방법들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 구성원들 간의 관계에서 장학요원 효능감이 높은 장학요원들은 피장학요원들과 사적 관계를 형성하여 상호 호혜적인 이익을 나누는 상호작용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피장학요원들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장학요원 효능감이 낮은 장학요원들은 피장학요원들과 사적 관계와 공적 관계의 자리매김을 통하여 일방적 이해를 기초로 한 상호작용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을 비롯하여 피장학요원들이 갖고 있는 장학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장학요원들이 인식한 임상장학의 경험에서 장학요원 효능감이 높은 장학요원의 피장학요원들은 장학요원들과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맺으며 유능한 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교육적인 거듭나기를 하였으며 이번 장학의 경험을 통하여 장학 및 장학요원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장학요원 효능감이 낮은 장학요원의 피장학요원들은 장학요원들과 일방적인 의존의 관계를 맺으며 부담스럽지 않은 교육 받기를 하였으며 이번 장학의 경험을 통하여 장학 및 장학요원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는 갈림길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pervisors in Korean kindergarten of their mentor efficac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clinical supervision, depending on a level of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through practical case studies. The detailed researche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in Korean kindergarten? 1-1. What is the general trend? 1-2. What is the trend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tions such as career, academic background, position, organization type and relevant training in spervision? 2. What are the characters of clinical supervision, depending on a level of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2-1. What is the role of supervisors, depending on a level of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2-2. What is the aspect of supervisors, depending on a level of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2-3.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members of clinical supervision, depending on a level of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2-4. What is the appreci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as perceived by teachers, depending on a level of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on 485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as a supervisor and have more than 3 years’career as a kindergarten teacher in Korea. The Mentor Efficacy Scale developed by Riggs (1997) was used for the research. Two groups, namely, H-group and L-group, were defined for the case studies in terms of the level of supervisors’ mentor efficacy. 5 supervisors each from H-group and L-group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e case studies. The selected supervisors performed clinical supervision for 17 weeks with kindergarten teachers. The data was classified and analyz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case studie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an average value, a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and Duncan post-analysis were conducted to check variation patterns in terms of the general trend of supervisors’ mentor efficacy, teaching career, academic background, position, organization types and relevant training in supervision. For the case studies,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oice recordings and documents collection from the selected supervisors during the supervising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upervisors’ mentor efficacy is 3.55 point on a 5-point scale, that is mid to high grade, and it serves as a degrading factor that belief of outcome expectancy is higher than that of self efficacy. As a personal variable factor of supervisor, a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due to teaching career, academic background, position and relevant training in supervision. In particular, mentor efficacy is higher for supervisors who have higher teaching career, higher academic background, higher position, and more experience of supervision training. Seco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haracters of clinical supervision from four different views, namely, supervisors’ role, aspect of clinical supervision, relationship among members of supervision, and appreci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as perceived by teachers, depending on a level of supervisors’ mentor efficacy. In a view point of supervisors’ role, supervisors show that they carry out roles of both teacher and learner during clinical supervision regardless of a level of mentor efficacy. Nevertheless, there is variation in the detailed role. In a view point of aspect of clinical supervision, supervisors, with a high mentor efficacy level, show that they conduct collaborative supervision and utilize various methods to expand and change teachers’ thought and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improvement. On the contrary, supervisors, with a low mentor efficacy level, show that they are accustomed to conduct directive and informational supervision. They provide contents to lead an easy approach to supervision. Their methods specify detailed activities and materials that can be immediately utilized in class. In a view point of relationship among members of supervision, supervisors, with a high mentor efficacy, show that they develop personal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at they eventually thrive upon mutually benefiting interaction. In addition, they show various efforts to help teachers grow. On the contrary, supervisors, with a low mentor efficacy level, only develop a limited interaction based on single-side interests through a separate positioning of personal and official relation. They endeavor to reduce burdens on supervision that is equally applicable to both teachers and themselves. In a view point of appreci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as perceived by teachers, teachers, under supervisors with a high mentor efficacy level, show they make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s and focus on advancing their own education to be a good teacher. They develop a sense of appreciation to supervision as well as supervisors, and their perspective is renewed at the same time. On the contrary, teachers, under supervisors with a low mentor efficacy level, show they prefer making a one-way and dependent relation. They do not want to receive intensive education and show they are standing at the folk of road where appreciation to both supervision and supervisor could be chang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임상장학의 특성 = 8 B. 장학의 구성원 = 19 C. 장학요원 효능감 = 26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연구도구 = 34 C. 연구절차 = 35 D. 자료분석 = 3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1 A. 유치원 장학요원들의 장학요원 효능감 = 41 1. 전체적인 경향 = 41 2. 인구 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경향 = 42 B. 장학요원 효능감의 정도에 따른 임상장학의 특성 = 47 1. 장학요원의 역할 = 48 2. 장학의 양상 = 60 3. 장학 구성원들 간의 관계 = 72 4. 피장학요원들이 인식한 임상장학의 경험 = 85 Ⅴ. 논의 및 결론 = 101 A. 논의 = 101 B. 결론 및 제언 = 120 참고문헌 = 124 부록 = 135 ABSTRACT =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03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에서의 장학요원 효능감에 따른 원내 임상장학의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the Characters of Clinical Supervision Based on Mentor Efficacy of Supervisors in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Park, Hye-Kyung-
dc.format.pagevi, 146-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