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Title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Preschool Adjustment in ADHD Children
Authors
임원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oundational data for successful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rough exploring the preschool adjustment of ADHD children and the class teachers' perceptions on ADHD integ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observed the preschool adjustment,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s of ADH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perceptions on ADHD integration and understandings of ADHD of their teachers.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adjustment and the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preschool adjustment and the aspects of individual variables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1-1. Are there differences in preschool adjustment between them? 1-2. Are there differences in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s between them? 2. How are the teacher perceptions on the ADHD integration? 2-1. How do they perceive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the ADHD children? 2-2. In what degree they understand ADHD? 2-3. What are their difficulties with the ADHD children? 3.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DHD child individual variables(temperament, problem behavior) and the teacher variables (perception on ADHD integration and understanding of ADHD)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3-1. Are ther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preschool adjustment? 3-2. How do their variables influence on preschool adjustment? 41 preschool children who met the ADHD diagnosis criteria in C university hospital and their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so, 75 normal preschool children were selected as a comparative group. The pre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 and the individual variables were measured by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for preschoolers(K-psTCI), and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In addition, the teachers of these children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 on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the ADHD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Also, the contents of teachers' difficulties with the ADHD childre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 adjustment,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s between the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ADHD children showed low preschool adjustment scores. In temperament, The ADHD children had high harm avoidance and novelty seeking while they have low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and self-transcendence. Many behavior problems based o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ere revealed in the ADHD children. Second, the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awarenesses on the contents of teacher role, instructional strategy, educational expectation, parent education and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for integrative education. However, they showed low levels of understanding on the diagnosis criteria, causes, characteristics and medical treatments of ADHD.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regarding instructional practic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concerns on the negative aspects of integration, lack of systematic supports, and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y needed teacher education and systematic supports. Third,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scores indicated that attention problem was the most correlated variable with preschool adjustment,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areas of adjustment except for emotional status in preschool. Consequently the degree of children's inattention is the most correlated variable with the preschool adjustment of ADHD children. As the significant correlated variables with preschool adjustment, inattention problem, withdrawn, internalizing problem, social immaturity and the teacher expectation on the effect of the integration education were observed. Internalizing problem, thought problem in the subsets of problem behavior, and harm avoidance showed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areas of children's emotional status and ego strength, and adjustment to peer in preschool. Social immaturity had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ro-sociality and adjustment to peer. Among the teacher variables, perception on teaching strategie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ADHD children and knowledge about the reasons of occurrence of ADHD children ha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hildren's emotional status in preschool. The positive expectation on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peer.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role for ADHD children was one of the variables showing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rea of ego strength. In the findings of the influences of child individual variables on preschool adjustment, gender, economic status, inattention were the influencial variables on their overall preschool adjustment and emotioanl status in preschool. As the influencial variables on the subsets of preschool adjustment, harm avoidance, novelty seeking, withdrawn, anxiety, social immaturity were observed. In the teacher variables, teacher perceptions on teaching strategies for integrate education of ADHD children and high level of understandings on their roles were the positively influencing variables on preschool adjustment.;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도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ADHD 유아의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HD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도, 기질과 문제행동 및 교사의 ADHD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ADHD에 대한 이해 수준을 살펴보고, 변인들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ADHD 유아와 일반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도 및 기질과 문제행동 양상은 차이가 있는가? 1-1. 유아교육기관 적응도는 차이가 있는가? 1-2. 기질과 문제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2. ADHD 유아 담임교사의 ADHD 유아 통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ADHD 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2. ADHD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2-3. ADHD 유아를 가르치면서 겪는 고충은 무엇인가? 3. ADHD 유아의 개인 변인(기질, 문제행동) 및 교사 변인(ADHD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ADHD에 대한 이해)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각 변인은 ADHD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관계가 있는가? 3-2. 각 변인이 ADHD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C 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 ADHD 문제로 내원한 유아들 중에서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유아들로서 현재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유아 41명과 담임교사였다. 또한, 비교집단으로서 S 유치원과 B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일반유아 75명을 선정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적응도는 유아교육기관 적응 질문지(PAQ)로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개인 변인은 유아 기질성격검사(K-psTCI), 아동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교사의 ADHD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ADHD에 대한 이해는 교사용 질문지로 평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에 따른 집단 간 비교를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인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고충에 대해서는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범주별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유아는 유아교육기관 적응도, 기질, 문제행동에서 일반유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DHD 유아는 일반유아에 비해 낮은 유아교육기관 적응도, 기질적으로 높은 위험회피·새로움추구 성향과, 낮은 보상의존·지속성·자기지향성·협조성·자기초월성 성향을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둘째, 교사들은 ADHD 유아 통합교육에서의 교사역할, 교수전략, 교육적 기대효과, 부모교육의 필요성, 행·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포함하는 전체 하위영역에서 비교적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ADHD의 진단준거, 발생원인, 특성, 약물 중재 등 ADHD에 대한 이해에서는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교사들은 ADHD 유아를 실제 지도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에서의 어려움, ADHD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 통합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 제도적 지원의 부족, 부모와의 관계로 인해 고충을 겪고 있으며,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연수와 제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셋째, 주요 변인들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주의집중 문제행동이 기관에서의 정서상태를 제외한 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부적상관을 보여 ADHD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과 가장 상관이 있는 요인이었다. 유아교육기관 적응 전반에 유의한 상관 요인으로는 유아의 주의집중 문제, 위축, 내재화문제, 사회적미성숙 및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기대가 있었다. 위축을 포함한 내재화문제, 사고의 문제, 위험회피 성향은 기관에서의 정서상태, 자아상태, 또래간 적응 영역들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사회적 미성숙은 친사회성 및 또래적응과 부적상관을 보이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교사 변인 중에서 통합교육에서의 교수전략에 대한 인식과 ADHD 발생원인에 대한 지식은 기관에서의 정서상태와 정적상관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는 또래와의 적응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ADHD 유아를 위한 교사 역할에 대한 이해는 자아상태 영역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내는 변인이었다. 각 변인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유아의 변인 중에서는 성별, 가정 경제상태, 유아의 주의집중 문제행동이 유아교육기관 적응 전반 및 기관에서의 정서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위험회피 성향과 새로움 추구 성향, 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행동 변인들도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하위 영역들에서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 중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전략에 대한 인식, ADHD 유아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의 높은 수준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