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해고구제제도의 실효성 확보

Title
해고구제제도의 실효성 확보
Other Titles
EFFECTIVE SCHEMES TO IMPROVE THE REMEDIES FOR WRONGFUL DISCHARGE : Chiefly diversification of current remedies
Authors
차민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철수
Abstract
현대 사회의 근로자에게 있어 해고란 단지 경제적 이익의 단절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경제생활 및 직업생활에 충격을 가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그러므로 해고 분쟁은 그 자체의 발생을 가능한 한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분쟁이 생긴 경우에는 이를 가능한 한 간단하고 신속하게 해결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구제방식의 다양화를 중심으로, 해고 구제 제도의 실효성 확보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부당하게 해고를 당한 경우 그에 대한 구제절차와 방법이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해고 구제제도에 관한 논의를 위해서는 먼저 해고제한 법리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해고의 실체적·절차적 정당성의 존재여부를 기준으로 부당해고 여부를 판단한다. 현행 근로기준법에 근거하여 해고의 부당함을 주장하는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하거나 법원에 해고무효 확인의 소를 제기함으로써 그 구제를 받을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해고구제의 내용은 주로 임금의 소급지급 및 원직 복귀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일률적인 수단이 과연 근로자에게 효과적인 구제수단으로서 기능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주요국가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해고 구제제도와의 비교법적 연구를 통하여, 현행 제도에의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의 대표적인 국가로서 미국, 영국과 독일, 프랑스를 그 비교대상으로 삼고, 우리나라와 노동법 체제가 유사하며 우리나라 노동법에 많은 영향을 주는 일본의 경우도 살펴본다. 각국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이 무엇인지 고찰해 본다. 원직복귀와 소급임금지급이라는 일률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현행 해고구제제도의 개선방안으로서는, 그 다양화 방안의 하나로서 금전배상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노동위원회에 의한 해고 구제 명령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또한 사법적 구제절차 및 행정적 구제절차를 인정하고 있는 현 제도상, 이중적 구제절차에 따른 절차의 지연과 중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위원회의 개선방안도 고려한다. 덧붙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전문 노동법원의 설치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서술한다.;In modern society, discharge is a serious matter that not only disconnects the worker from the economic benefit but also deals a blow to the basic economic life and occupational lif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conflict over the discharge should be prevented, if possible, and furthermore, that conflict should be settled easily and quickly to minimize the damage if any conflict arises. This paper discusses the measure to solidify the feasibility of the countermeasure against the wrongful discharge by focusing on diversification of remedies. To guarantee the basic livelihood of workers, procedures and methods of remedy should be crafted appropriately in case of wrongful discharge. Study on the law which restricts the discharge should take precedence in discussing the institution of remedy for wrongful discharge. Therefore, the wrongful discharge is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f realistic and procedural fairness as to the dismissal. Workers who argue that the discharge is unfair based on the current labor law may file for a remedy at the labor committee or request the confirmation on the nullification of dismissal at the court. Retroactive payment and reinstitution are provided as remedy for the dismissal in Korea, and it remains questionable whether those indiscriminate approach will provide workers with effective remedy. This paper explores the measure to improve the current institution by analyzing the examples of major countries and comparing them with the remedial institutions of Korea. This study considers the cases of U.S.A, England, Germany, France which represent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and British and American legal system for comparison with that of Korea, and also looks at the legal system of Japan which has the labor law most similar to that of Korea and has influenced Korean law the mos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ases of those countries to figure out what improvement needs to be made for the Korean legal system related to the labor.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monetary compensation can be introduced in Korea, not the one-size-fits-all approach called 'reinstatement' and 'retroactive payment'. And considering that the remedy instruction by the labor committee for the dismissal is not feasible under current law, this study reviews the method to assure the feasi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measures that the labor committee can take to resolve the procedural delay and duplication which are attributable to the double procedure of remedy under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This paper provides a brief explanation about the installation of labor court currently under discussion, to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