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화영-
dc.contributor.author우예지-
dc.creator우예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4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for type 2 diabetes who participate the diabetes buffet. The subjects were 66 pati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education group(34 patients) and control group(32 patients). The mean age of education group was 59.8years old and control group was 56.6years ol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and body mass index between two groups. Initial HbA1c, post prandial plasma glucose(PP2), tota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ut fasting blood sugar(FBS) was higher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completion of study, the educ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MI, FBS and PP2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 increase in FBS. Initial calorie and protein intakes were lower than the prescribed, however mineral and vitamin intakes were higher than EAR. On completion calorie and protein in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hanges of HbA1c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hange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hat of LDL cholesterol. Changes of HbA1c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hanges of MUFA, changes of serum total cholesterol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hanges of MUFA and that of PUFA.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education, the education group classified into cognition of calorie requirement. On completion cognition of calorie requirement was increased. The mean age of 'NN' group was 68.5years old, 'NY' group was 60.8years old and 'NY' group was 55.4years old, mean age of 'N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Y' and 'YY' group. The cognition of calorie requirement was higher younger patients than olders. So age is important factor on diet education. HbA1c was significant decrease by knowledge, FBS and PP2 was significant decrease by knowledge and education and triglyceride was significant decrease by knowledge. Analyze after age correction, duration of diabetes, FBS, triglyceride was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 On completion % of carbohydrate intake of 'NN' group was lower than 'NY' and 'YY' group, and % of fat intake of 'NN' group was higher than 'NY' and 'YY' group. In this study the education group was significant decreased BMI, FBS and PP2. Individual diet education on buffet program was improved blood glucose control but not serum lipid. In conclusion, the younger age and shorter diabetes duration, the cognition of calorie requirement was higher. And the high cognition of calorie requirement group was well controlled on HbA1c, FBS, PP2 and triglyceride. The elderly patient(>70 yrs old) who had longer diabetes duration was not establish appropriate nutrition intake and not improve blood glucose control in this study. So further study develop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cus on this elderly patients.;본 연구에서는 당뇨뷔페에 참여한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당뇨병 식사실습교육과 병행한 개인별 맞춤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 당뇨병환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66명을 식사실습과 함께 별도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고 식사 실습만 참가한 대조군으로 나누고 체위 및 혈액성분, 식습관, 식사섭취량, 처방열량 인지도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군 대상자는 총 34명(남자18명, 여자16명), 대조군은 32명(남자19명, 여자13명)이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나이는 각각 59.8세와 56.6세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BMI는 각각 24㎏/㎡과 24.3㎏/㎡으로 과체중범위에 속해있었으며 두 군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기초조사시 두 군의 혈액성분 중 HbA1c와 식후2시간혈당, 총콜레스테롤, 혈압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공복혈당은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 차례의 식사요법교육을 실시한 후 종료시기에 조사한 실험군의 체중은 유의하게 감소하여 BMI가 23.5㎏/㎡이 되었으며 동일한 기간동안 대조군의 체중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은 혈액성분도 유의적으로 변화하여 공복혈당이 기초조사에서 160.3㎎/㎗에서 종료조사시 131.2㎎/㎗로 감소하였고, 식후2시간혈당이 215.9㎎/㎗에서 177.9㎎/㎗로 감소하였다. 반면 대조군의 혈액성분은 동일한 연구기간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어 실험군의 혈당이 개별 식사교육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의 영양소 섭취량을 살펴보면, 기초조사시 열량과 단백질 섭취량이 처방량 미만이었으며 그 외 무기질과 비타민은 모두 평균필요량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종료조사에서 실험군의 열량과 단백질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처방량 대비 열량섭취율은 102.5%였으며 처방량 대비 단백질섭취율은 95.1%였다. 종료조사에서는 무기질과 비타민의 섭취율은 비타민B2(99.6%)와 엽산(99.4%)을 제외하고 평균필요량 이상이었으며 기초조사시와 비교하면 비타민B1은 감소하였고 비타민C는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연구기간동안의 혈액성분변화량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HbA1c의 증가량과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의 지질의 상승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변화량은 HbA1c변화량과, 단일불포화지방산과 다중불포화지방산의 섭취변화량은 혈중 총콜레스테롤의 변화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불포화지방산의 섭취증가가 HbA1c와 혈중지질의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당뇨병 식사요법교육에 대한 이해의 척도로 자신의 처방열량에 대한 인지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기초조사보다 종료조사에서 자신의 처방열량을 정확히 대답하는 응답자가 44%에서 79%로 35% 증가하여 교육에 의하여 식사요법 이해가 높아졌다. 교육전후 처방열량을 인지하지 못한 대상자(NN), 교육 후 처방열량을 인지하게 된 대상자(NY), 교육 전부터 처방열량을 인지하고 있었던 대상자(YY)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평균나이는 각각 68.5세, 60.8세, 55.4세로 NN군이 NY군과 YY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나이가 많았다. 식이에 대한 인지도는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으므로 식사교육을 하는데 있어 환자의 나이가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HbA1c는 처방열량에 대한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아 처방열량을 알고 있는 대상자의 HbA1c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공복혈당은 지식과 교육 각각의 영향으로 처방열량을 인지하는 경우 공복혈당이 더 낮았으며 NY군은 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식후2시간혈당도 지식과 교육 각각의 영향을 받아 열량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대상자가 더 낮았으며 교육을 받은 후 더 개선되었다. 중성지방은 처방열량에 대한 지식의 효과가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쳐 처방열량을 알고 있는 대상자에서 농도가 그 낮았다. 혈당조절은 식사교육과 식사교육에 의해 상승된 지식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처방열량에 대한 인지도를 나이를 보정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여도 당뇨병 유병기간, 공복혈당, 중성지방에 대한 지식과 교육의 효과는 변화가 없어 순수한 교육의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양소 섭취율은 종료조사에서도 열량을 인지하지 못한 대상자들은 처방열량을 인지한 대상자들보다 탄수화물 열량비가 낮고 지방열량비가 유의적으로 높아서 식사요법에 대한 이해도가 낮을수록 적절한 영양소비율로 식사를 구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당뇨병 식사실습교육과 개인별 맞춤 교육을 병행한 실험군은 BMI와 공복혈당, 식후2시간혈당이 감소하여 식사교육에 의한 당뇨병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또 나이가 적고 당뇨병 유병기간이 짧은 집단일수록 하루처방열량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이들은 HbA1c와 공복혈당, 식후2시간혈당, 중성지방이 더 잘 조절되어 본 연구의 식사요법교육이 더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대상이라고 평가되었다. 또 자신의 처방열량에 대한 인지여부는 당뇨병 식사교육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간이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고령(70세 이상)이며 유병기간이 긴 환자의 식사교육은 기존의 교육방법으로는 효과적인 식사조절과 혈당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앞으로 이런 대상 환자에게 유용한 식사교육방법이 개발되고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 7 A.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7 B. 연구의 진행 = 7 C. 대상자 조사항목 = 10 1. 설문지조사 =10 2. 신체계측 = 10 3. 식이 섭취 조사 = 11 4. 혈액성분검사 = 11 D. 교육 방법 및 내용 = 12 1. 당뇨조식회 = 12 2. 개별 식사교육 = 12 E. 자료처리 = 13 Ⅲ. 연구결과 = 15 A. 연구대상자 분석 = 15 1. 연구대상자의 구성과 신체계측 = 15 2. 혈액성분 = 18 B. 교육에 따른 효과 = 20 1. 체위 변화 = 20 2. 혈액성분 변화 = 21 3. 실험군의 영양소 섭취량 변화 = 23 C. 혈액성분, 영양소 섭취 변화량의 상관관계 = 26 D.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31 1. 식사요법에 대한 인지도 = 31 (1) 교육전후 자신의 처방열량에 대한 인지여부의 변화 = 31 (2) 자신의 처방열량 인지여부에 따른 일반사항 및 식습관 비교 = 35 (3) 자신의 처방열량 인지여부가 다른 세군의 일반사항 및 혈액성분 비교 = 38 (4) 자신의 처방열량 인지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비교 = 44 Ⅳ. 고찰 및 결론 = 49 참고문헌 = 55 부록1. 실험군용 설문지 = 61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66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제2형 당뇨환자의 개인별 맞춤 영양교육의 효과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Individual Diabetes Nutrition Education-
dc.creator.othernameWoo, Ye-Ji-
dc.format.pageⅶ, 66-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