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동료의 영어 작문 실력 인식이 한국 대학생의 동료 수정 양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료의 영어 작문 실력 인식이 한국 대학생의 동료 수정 양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Writing Ability on Peer Revis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Writing Classes
Authors
홍화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The recent trend in the teaching of writing is process-oriented writing which focuses more on the students' writing process rather than on their products. As writing instructors begin to embrace the process approach, the implementation of peer revision in writing classes is spreading fast. Keeping pace with this trend, there has come related research which proves the effectiveness and value of peer revision. However,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done to examine the constraints which may harm the success of peer revision. There exist various elements we should consider for effective peer revision. Among them, the effect of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on peer revision has been reported. However,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udents' perceived writing ability by their peers instead of their real writing scores in peer revi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peers' writing ability on peer revision.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seven weeks under the name of 'TWE Writing Class.' The subjects were 18 female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ed for the experiment. The collected data for analysis were the students' first and final drafts, written peer feedbacks, and transcriptions of in-depth interviews. A frequency analysis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peer revision. Also, a survey analysis was done to understand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peer revisio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peers' writing ability had an effect on the amount of feedback offered. The more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peers' writing ability as high, the less feedback they offered. For the types of feedback, the more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peers' level as high, the more surface changes were made. On the other hand, when students perceived theirs peers' level as low they provided more meaning-based feedback. Additionally, students perceived by their peers as advanced writers tended to give more specific alternatives on their peers' drafts. On the contrary, students perceived as novice writers by their peers tended to simply indicate problems on their peers' drafts. Secondly, the analysis of how peer feedback reflected on students' revision showed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peers' writing ability had an effect on the aspect of reflection rate. The more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peers level as high, the more peer feedback was accepted. Futhermore, students tended to accept peer feedback actively when their peers' suggestions included more specific alternatives to errors. Also,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recognized the feedback made by advanced writers as the most appropriate and correct. On the other hand, students showed a strong suspicion of the feedbacks provided by the writers perceived as weak. Thirdly, students considered peer feedback as helpful regardless of their peers' writing ability. However, they admitted that the peer revision with stronger writers was the most beneficial. Nevertheless, students reported that it was less stressful when their peers' writing level was slightly lower or similar to thei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riting instructors need to carefully consider students' writing ability in a peer group. As one of the devices for successful peer revision, teachers can make students interact with different peers rather than a fixed one. Additionally, it seems urgent to devise a lesson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feedback.;최근 영어 쓰기 교육은 학습자들의 작문 결과물에만 관심을 가졌던 결과 중심 접근법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의 쓰기 과정에 초점을 두는 과정 중심 접근법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과정 중심 글쓰기에서 학습자들이 서로 피드백을 교환하여 이를 작문 교정에 반영하는 동료 수정이 현재 영작문 수업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동료 수정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동료 수정의 가치나 효과에 관한 연구에 국한 되어 있고 동료 수정의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동료 수정의 성공 여부는 여러 가지 요인들 즉 언어학적 또는 사회문화적 배경, 학생들의 언어 능력, 작문 과제, 장르, 수정하는 방식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Liu & Hansen, 2002). 이 중,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 능력에 따라 동료 수정 양상이 달라진다는 논의는 자주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학습자들의 실제 작문 실력뿐만 아니라 동료의 작문 실력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도 동료 수정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의 작문 실력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동료 수정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학생들의 피드백 제공 양상과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동료 작문 실력 인식이 학습자들의 동료 수정 활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들의 설문과 심층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 대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총 7주에 걸쳐 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동료 실력 인식은 학생들에게 실시한 동료 실력 평가지에 따라 총 다섯 집단(집단 A=자신보다 매우 잘한다, 집단 B=자신보다 조금 잘한다, 집단 C=비슷하다, 집단 D=자신보다 조금 못한다, 집단 E=자신보다 많이 못한다)으로 설정되었다. 이렇게 설정된 집단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피드백 제공 양상과 피드백 반영 양상, 학생들의 태도 양상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의 작문 실력 인식에 따라 학생들의 피드백의 제공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이 제공한 피드백의 양에 있어서, 학생들은 동료가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낮다고 인식할수록 더 많은 양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제공한 피드백의 유형 별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동료가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글의 표면적인 오류에 집착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에 동료가 자신보다 못한다고 인식할수록 단순한 표면적인 오류에 관한 교정보다 글의 더 큰 의미 수준에서 교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들이 제공한 피드백의 질에 있어서, 동료가 자신보다 잘한다고 인식할수록 단순한 문제점 지적이 구체적인 대안 제시에 비하여 높은 빈도를 보였다. 반면에 동료가 자신보다 못한다고 인식할수록 단순한 문제점 지적보다 구체적인 대안 제시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부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는 자신과 작문 실력이 비슷하다고 인식할 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동료의 작문 실력 인식에 따라 학생들의 피드백 반영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동료가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더 높은 반영률을 보였으며 동료가 주는 피드백이 구체적인 대안 제시일수록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높은 학생들이 주는 피드백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주는 피드백보다 더욱 옳거나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낮은 학생들이 주는 피드백에 관하여 다소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은 동료의 실력에 상관없이 동료 수정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동료가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조금 높을 때 동료 수정 활동이 가장 유용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한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보다 작문 실력이 비슷하거나 조금 낮다고 인식할 때 가장 부담을 덜 느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어 쓰기 수업에서 동료 수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짝을 지을 때 동료의 작문 실력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생들이 고정된 한 명의 동료와 수정 활동을 하는 것보다 여러 동료들과 수정 활동을 하게 하는 것도 동료 수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제공하는 피드백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수 방안도 신속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