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실업계 영어 교과서의 소재와 이독도 분석 및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조사

Title
실업계 영어 교과서의 소재와 이독도 분석 및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emes and Readability of English Textbooks with Users' Feedback on the English Textbooks For 10th Grad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정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 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어 교육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The aim of the seventh curriculum is to mak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English and provide them with different English classe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on't seem to have these two benefits, even though they use the same English textbooks as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at non-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objectives, needs, motivation and readiness in English learning. Therefore using the same English textbooks is not appropri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mes and readability of the reading materials in current English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mes of five commonly used English textbooks in Korea. Also, textbooks readability was measured in the fiv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10th graders by using the new Dale-Chall Formula, which is considered valid and reliable by several researchers. Lastly, this study report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an evaluative survey conducted among 20 vocational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and 150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ncerning English textbooks currently being utiliz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hemes of the English textbooks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ajors and interests. It could result in los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According to many researchers, the more interesting and familiar the contents are, high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ory will be drawn from the learners in class. This implies that using familiar topics will be effective in getting the atten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levels of readability in the 10th grade English textbooks are varied. However, most of the readability required in the current English textbooks was high compared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evels of English. It is certain that textbooks whose readability levels are beyond students' comprehensibility are likely to discourage students from being interested in English. In addition, the level of readability was not uniform within each textbook and the order of its reading passages did not correspond to the difficulty order by readability. The textbooks have little educational value. Third,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current English textbooks because of their linguistic difficulty. Although most of the students think English is very important, their interest in English was quite low. Als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onverged into one voice stating the idea that the themes of English textbooks were unrelated to students' majors. The number of new words appears inadequately, and sentences need to be easier than now. Lastly, the teachers and students demanded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courses and ESP materials specifically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s the study's results above indicate the curren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have many problems in terms of readability. Consequently a question can be raised on their usefulness for the using. Furthermore, the themes of English textbooks don't reflect the students' ESP needs. Therefore, we should use some different kinds of English textbooks specifically design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textbook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designed by evaluating their current language proficiency. Additionally, a needs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to establish wh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interested in. English textbooks with familiar topics to the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suggested to activate students' schema.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English teacher and subject teachers to provide ESP courses is proposed.;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중요시하는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심화·보충 과정을 편성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춘 수준별 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제 4차 교육과정 이후, 인문계와 실업계의 교육과정이 통합되면서, 전체 고등학생의 30%에 해당하는 실업계 학습자들은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가 추구하는 목표에는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실업계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인문계와 동일한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실업계를 진학하는 대부분의 학습자의 경우 인문계를 진학하는 학습자에 비해 학업 수준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현재 영어 교과서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교육적 효과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업계에서 사용 중인 영어 교과서의 소재 및 이독도를 분석한 후 교과서 실 사용자인 실업계 고교 학습자 및 교사의 교재에 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실업계 학생들을 위한 보다 적절한 수준별 교과서 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10학년 대상의 총 15종의 검정 영어 교과서 중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채택되는 4종의 교과서 및 설문 대상 고등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는 교과서 1종, 총 5종의 영어 교과서의 소재를 파악하고, Dale-Chall의 이독도 공식에 의해 교과서의 이독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약 한달간 10학년 실업계 학습자 150명과 실업계 고등학교 영어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실업계에서 사용 중인 영어 교과서의 소재를 분석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문 교과와 비교해 본 결과, 현재의 영어 교과서는 실업계 학습자의 다양하고 특수한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금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소재는 실업계 학습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공 분야와는 관련이 없는 인문계 학습자 위주의 일반목적 영어(EGP)를 위한 소재로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재 실업계에서 사용 중인 10학년 대상 영어 교과서의 난이도가 실업계 학습자들이 학습하기에 적절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많은 연구에서 그 타당성이 인정된 Dale-Chall의 공식에 의해 교과서의 이독도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현재의 10학년 대상 영어 교과서의 상당 부분이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수준 이상임이 드러났다. 따라서 지금의 영어 교과서로 학습을 할 경우 인문계 학습자에 비해 학업 수준이 낮은 실업계 학습자가 겪을 어려움을 예상 할 수 있었다. 또한 한 교과서 내의 이독도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전반부의 이독도가 후반부의 이독도 보다 높은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도 적지 않았으며, 한 교과서 내의 이독도 수치가 4학년 이상 차이가 나는 교과서도 있었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습자 및 실업계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현재 사용 중인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습자와 교사 모두 현재의 영어 교과서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습자와 교사는 현재의 영어 교과서가 학습자들 수준에 비해 어렵고, 어휘의 수도 많음을 지적하였다. 이로써 현재의 영어 교과서가 실업계 학습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업계 영어 교과서가 학습자들의 전공 및 미래의 취업 상황을 반영하고 있지 않으며,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소재도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습자는 전문 교과로서 실업계 영어 교과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업계 학습자들을 위한 난이도가 조절된 특수 목적 영어(ESP) 교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실업계 학습자의 영어 학습 목표 및 다양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 시급하다. 다음으로 실업계 학습자의 정확한 영어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성취도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실업계 학습자의 전공 분야 및 실업계 학습자가 졸업 후 접하게 될 목표 상황 분석을 통해, 영어 교과서를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실업계 학습자의 관심 분야를 조사하여 영어 교과서에 반영함으로써 영어 학습의 흥미를 유발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