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明淸時期 蘇州地域의 城隍神 信仰

Title
明淸時期 蘇州地域의 城隍神 信仰
Other Titles
City-God Cults of Suzhou in Late Imperial China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魏晉南北朝시기부터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지면서 민간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공히 신앙되었던 祠廟信仰, 특히 城隍神 信仰에 초점을 맞추었다. 城隍廟는 지역의 수호신으로 지역 주민의 생활 전반을 관장하는 신을 모시는 祠廟이다. 城隍神 信仰은 明代에 이르러 처음으로 국가사전체계에 통일적으로 편입되었다. 이 시기 城隍神 信仰은 國家祀典에 포함되면서 유가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고, 관방과 민간에 의해 동시에 숭배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城隍神 神格의 변화가 생기면서 國家禮制의 규정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江南 蘇州는 전통시대부터 각종 신앙과 종교가 발달했으며, 祠廟信仰이 가장 활발했던 지역 중 하나이다. 또한 唐宋시기 이후 문화와 경제의 중심지로써 민중들의 의식이 가장 깨어있던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城隍神이 國家禮制가 처음 규정되었던 明代 초기에는 어떻게 신앙되었는지를 城隍廟의 건립과 관리 측면에서 살펴보고, 시간이 지나면서 생기는 신앙 형태의 변화를 城隍神 神格의 변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처음 국가에 의해 城隍神에 대한 규정이 생기자 蘇州지역에서는 규정에 따라 城隍廟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城隍廟의 건립자금이나 실제적인 관리는 일반 민중이나 도사, 승려의 책임 하에 있는 경우가 다수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城隍廟가 관방에 의해 일방적으로 통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생긴 이유는 城隍神 神格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원래 人鬼에서 시작되었던 城隍神은 明代 國家禮制의 규정에 따라 人格神적인 면모를 버리고 유가적인 神祗로써 지역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明 중엽이 되면 人格神의 모습이 다시 부활하기 시작하면서 그 기능도 변하게 되었다. 蘇州지역에서는 城隍神의 人格神적 특성이 강화되면서 民이 부당한 일이 생길 때마다 이를 해결하는 ‘冥界의 판관’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개별적인 民이 기복을 하는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당시 새로 나타나는 地方官城隍廟와 鎭城隍廟의 출현 역시 城隍神의 人格化의 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城隍神의 人格化는 城隍神 信仰 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였던 城隍出巡行事에서에도 영향을 끼쳤다. 원래 城隍出巡행사는 지방관이 주도했던 것으로 城隍神像을 城隍廟 외부에 있는 제단에서 제사지내기 위해 이동하는 행사 일체를 가리킨다. 明 중엽에 이르면 明初의 國家禮制에서 규정한 것과는 달리 점차 지방관은 행사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대리를 보내고 있으며, 반면에 민간 영역의 참여는 더욱 활발해졌다. 또한 城隍神의 인격적인 측면에 강조되면서 城隍神의 탄신일이나 城隍神夫人의 탄신일에도 出巡하고 있다. 이렇게 國家禮制의 규정에서 벗어나 점차 민간이 주도해나가는 城隍神 信仰에 대해 지식인층은 심각한 우려를 표하였는데, 이는 역으로 城隍神 信仰이 蘇州지역의 지식인층에게도 깊이 신앙되었음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國家禮制에서 탈각하는 城隍神 信仰이 한 지역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했는지, 또한 이러한 城隍神 信仰을 지역민들은 어떻게 신앙하고 인식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중앙의 正史와 蘇州地域의 地方志 그리고 지식인들의 각종 필기 자료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기왕의 연구가 민간의 통속·전통문화로써 城隍神 信仰을 민간의 신앙이라는 측면, 혹은 국가예제적인 측면에서만 다뤘던 것에서 벗어나 國家禮制와 紳士 계층, 民의 측면에서 城隍神 信仰에 대한 인식과 활동 형태를 다각도로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城隍神 信仰은 기존의 편견처럼 저속한 미신으로써 오직 하층민들에게서만 신앙되었던 신앙이 아니라 국가, 신사 등 다양한 사회의 부문에서 중시되었던 신앙이었음을 특정 지역인 蘇州 지역을 중심으로 밝혔다. 본 연구는 城隍神 信仰의 신앙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강남지역의 사회·문화생활 측면을 다각도로 살피는 한 방법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한국의 민간신앙인 성황당 신앙과의 연관관계를 살피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I am focusing on the local and national belief in the city-god, or ChengHuang shen (城隍神), among the people from the WeiJinNanBeiChao (魏晉南北朝) period to the present. The city-god cults originated in the sixth century, and spread all over Tang China. The most remarkable change of the city-god cults of those times was appearance of the city god's personification. In Yuan Dynasty, as city god's personification deepened, some wives of city gods were designated as queens. Also, a hierarchy of city gods was formed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istrict lines. The city god occupied a place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official religion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In this time, the city-gods were included with the major celestial and terrestrial deities. In 1369, Ming Taizu(明太祖) reformed the cult of the city gods. He rescinded all the titles of nobility, and ordered that they were thenceforth simply to be titled as the city gods of their respective cities. Moreover, their temples were to be of the corresponding yamens(civil magistrates), and the images of gods were to be replaced by wooden spirit tablets (木主牌位). In the early Ming, every local administrative office carried out Ming Taizu's policies. Nevertheless, as years passed, while city-god cults were accounted little by magistrates, the people's religious enthusiasm was strengthened. There have been many faiths and religions at Suzhou in Jiangnan from traditional China, and one of the most active shrine faiths. In the state of Suzhou, a city-god temple was constructed in 1370. Also, Many local administrative government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building and managing city-god temples. However, so did many commoners, Taoist priests, and Buddhist monks constructing, rebuilding, and administrating the city-god temple. The city-god temple was used to enshrine local gnomes. Having gone through a figurative metamorphosis, the city god's image gradually became more personalized from Tang to Sung. Also, from the Tang period, city gods assumed a man-shaped clay image. However, in 1370, Ming Taizu abolished all the titles of nobility, because he wanted to depersonalize the city gods. However, around the middle of the Ming, city god's divinity changed from that of a natural god to that of a civilized spirit human spirit. As city god's character became personified, and he fulfilled functions: the guardian spirit of city; an underworld judge; an inspector of the magistrate in real world. Thus common people who treated badly could appeal to the city god. The personification of the city god influenced the annual procession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city-god cults. Originally, magistrat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elebrations. However, annual processions which were led by official quarters changed into a folk festival, called Sanxunhui (三巡會). The processions metamorphosed from the close of the Ming to the early Qing. In contrast to the magistrate's half-hearted attitude toward annual processions of city god, the people enjoyed the processions just like the festival. From the Song Dynasty, Confucianists approved of the city-god cults. Hence, they ruled removing images of city god, and alternated with a wooden tablet. However, around the middle of the Ming city-god cults were alienated from state cults, and intellectuals turned against the city god. They assumed that magistrates should take the lead in city-god cults, so that they refused performed by common people of those times. This dissatisfaction, conversely, signifies that intellectuals placed importance on the city-god cults. City god cults also were an object of veneration of intellectu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