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Adolescence' Stress on Delinquency :Focused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or Self-concept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Adolescence' Stress on Delinquency and to test how parental monitoring and self-concept show interac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lin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to KYPS(Korean Youth Panel Search) in 2003. The subjects are composed of a total of 3449(m=1725, f=1724) people who are middle school students of twelv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Korea, except Jeju-do. The analysis methods used for purpose of this study ar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 the survey on the level of stress and delinquency by the subjects' character factors(gender, income, score, deviant friend) shows that the subjects that are female, and have a low degree of score and deviant friends show a high degree of delinquency. The males indicate a high level of violence, but the females are a high level of smoke, drink, truancy or runaway in delinquency' subordinate factors. Adolescence' delinquency by the level of income didn't mean significantly. Second, the survey indicates that adolescence' stress, parental monitoring, self-concept and delinquency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cy and parental monitoring, positive self-concept have a negative correlation. But, the subjects' stress and negative self-concept shows close positive correlation with delinquency. Third,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subjects' stress have an influence on the delinquency. The negative self-concept show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linquency(p<0.05). The parental monitoring just indicated a interaction effect on the violent delinquency. Fourth,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lower parental monitoring and higher negative self-concept influences on stress more than did else ones. That is, patents with active and positive concerns about children could prevent juvenile violence and smoke, drink, truancy or runaway when the subjects were exposed to high stress in adolescence. But the subjects who have a high level of negative self-concept could increase a total of delinquency when they are exposed to a high degree of the life-stress. The findings above hav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on social work. First, the results of surveys revealed that juveniles' stres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delinquency. Intervention measures are needed for a decrease in the life-stress. Because the life-stress is a using factors of adolescence' delinquency, social workers working with adolescents need to assess how much degrees of life-stress they have and make interventional plans or strategies. If social workers find the potential crisis by juveniles in the intake process, they should contribute to decrease and prevent juveniles' delinquency. Second, parental monitoring influenced negatively on the delinquency. In the adolescence period, adolescents want to detach themselves from their parents, but they are apt to be exposed to crisis and dangerous surrounding without parental care or protectors. The parental monitoring should not be used to control and keep watching their children and parents who have children under adolescence should understand the adolescence' developmental stage. It is necessary that social workers help parents to have active and positive concerns about a status and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ird, standing on the finding that negative self-concept influenced on the delinquency, the social workers who address with the potential risk should focus on decreasing negative self-concept and incorporate it into the positive self-concept. Fourth, parental monitoring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s on the violent delinquency. Even though juveniles are high level of multidimensional stress, if their parents have positive concerns about them, they prevent delinquency being caused. Fifth, negative self-concept h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a total of delinquency and statue delinquency. Adolescents who have a high level of negative self-concept recognize a high degree of life-stress, and are connected to adolescence delinquency. Social workers who deal with potential deviant adolescents focus on minimizing negative self-concept, and integrating it into positive self-concept, so that they can help juveniles to deal with multidimensional stress. Sixth, female and deviant friends are influenced more significantly on the delinquency than the other group is. This finding is the same previous studies. It is necessary that social workers find the potential risk in youth's intake process, and make plans for practical implications on social work.;본 연구는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스트레스와 비행의 관계에서 부모감독과 자아개념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2004년도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2개 특별시, 광역시 · 도(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중학교 2학년생 34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남학생이 1725명, 여학생이 1724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t-test,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성적, 가구월수입, 비행친구)에 따른 스트레스와 비행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학생이고, 성적이 낮으며, 비행친구가 있을수록 전체 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비행의 하위영역 중 음주, 흡연, 무단결석, 가출 등의 지위비행은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인 경우에는 폭력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체 비행과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청소년기 스트레스, 부모감독, 긍정적 자아개념, 부정적 자아개념과 비행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와 부정적 자아개념은 비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부모감독과 긍정적 자아개념은 비행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청소년기 스트레스는 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와 비행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아개념(p<0.05)이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비행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스트레스과정에서 부정적 자아개념은 지위비행과 폭력비행에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부모감독 변인은 폭력비행에만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부모감독이 낮고 부정적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다. 즉, 청소년기에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라도, 부모가 자녀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관심을 가질 때에는 폭력, 협박, 패싸움을 포함하는 폭력비행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나, 부정적 자아개념이 높은 청소년들이 높은 수준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경우 폭력이나 음주, 흡연, 무단결석, 가출 등의 비행이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적 개입의 목적은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있다. 청소년기 일상생활 스트레스 정도가 비행유발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다차원적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잠재적인 위기청소년에 대한 개입 전략을 수립하여 청소년들이 비행 및 범죄와 같은 위기에 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감독은 비행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분리하여 생활하기를 바라지만, 성인의 감독이나 보호 없이 행동하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커다란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부모감독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자녀에 대한 감시와 통제의 수단으로써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기의 특징을 이해하고, 자녀의 위치, 활동, 적응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갖도록 부모를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자아개념 하위영역 중에서 부정적 자아개념이 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향후 잠재적인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개입을 할 경우, 부정적인 자아를 최소화하여 긍정적 자아와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스트레스과정에서 부모감독 변인은 폭력비행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이 다차원적인 스트레스가 높더라도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관심이 이루어지는 경우 비행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것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관심이 중요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스트레스과정에서 자아개념 변인 중 부정적 자아개념이 전체비행과 비행하위영역에서 지위비행과 폭력비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청소년들이 부정적인 자아개념이 높은 경우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게 되고, 비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잠재적인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개입을 할 경우 긍정적 자아를 지향하는데 초점을 두기보다는 부정적 자아를 최소화하여 긍정적 자아와 통합함으로써, 청소년기의 경험하는 다차원적인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청소년기 비행의 설명에 있어서 또래인 비행친구의 변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위기청소년 사정에 있어서 또래집단 사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남자 청소년집단보다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전체 비행이 높다는 점은 최근 청소년비행의 특징 중의 하나가 여자 청소년의 비행이 증가한다는 점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여자 청소년들의 비행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구가 위기사정 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