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목록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목록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ectronic Journal Cataloging in University Libraries
Authors
김정은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lectronic journals are a source of non-physical information. Patrons access library homepages in order to use journals for which they used to have to go to the library and wait for new issues to arrive to use. The more patrons use electronic journal, the more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s are made in a geometric progression. Most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s are group purchase by consortium or huge full text databases by aggregator. Once library subscribes, up to ten thousands of journals are added to library collection at once.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anagement plans for cataloging electronic journals as well as for controlling bibliographical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anagement plans for electronic journal catalog in university library.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survey were performed. Current articles on international/national standard regarding electronic journal cataloging were reviewed, as well as seven universities and consortium case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 catalog in university librar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irty-five university libraries with the biggest collection of electronic journals, according to KESLI statistics. I received twenty-six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welve libraries catalog electronic journals while fourteen do not. The fourteen libraries that do not catalog electronic journals run a web-based title list. This web-based title list is the most preferred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journal access among all respondent libraries. Second, in the case of electronic-journal cataloging, libraries prefer other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mat to MARC. The separate-record approach is used for descriptions of electronic journals with an equivalent print version, while the single-record approach is used for the electronic versions with multiple suppliers. The most preferred way to input bibliographic records is a batch-load of records from aggregators. Third, the most persistent problem in cataloging electronic journals is maintenance. Additional problems include staffing, an absence of policy, a lack of understanding of cataloging rules and new technologies, and cost. Fourth, the most preferred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journals is web-based title list. Additional user interfaces include a web-based subject list, OPAC, and adding URL notes to the print version record. Concerning instability of hot link, most libraries input publisher URLs as well as hot links in their bibliographic records. Fifth, the responsibility of cataloging electronic journals belongs not only to the technical service department but also to the serials, reference, and computing department, as well as subject specialists. Sixth, libraries that do not have their own polices for cataloging electronic journals answered they would establish the policy in near future and would welcome national or consortium policy if available. In addition to this, they are considering introducing commercial solutions, and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improving the whole library automation system to improve user interface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lans and strategies for management of electronic-journal cataloging. First, there are many disputes regarding cataloging methods, like single- or separate- record approach, MARC or other metadata schema, and so on. Other institutions abroad have already made similar arguments. Therefore these cases should be review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y controversy. The answer for the question which approach is suitable for our own libraries will be how firmly they keep to international/national standards. To provide a variety of access points, core mandatory bibliographic fields should be decided on and subsequently filled in. In addition to this, MFHD is highly recommended for sharing bibliographical record in the event of unified catalog. Second, user interfaces should be designed to be integrated with existing information sources. Excessively diversified search interfaces need to be simplified. Third, the task of cataloging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assigned to the technical service department, as is the case with the other library materials. Fourth, most current consortia function only as venues through which to make group purchases of electronic journals. It is expected that consortia will evolve into cooperative bodies for running union catalogs as well as making policy and guidelines. This study focused on observing the current status of electronic journal cataloging and suggesting management plans. It can be developed into detailed plans for individual libraries and the development of consortium environment.;전자저널은 대표적인 전자정보원의 한 종류로서 물리적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원이다. 도서관에 가거나, 최신호가 입수되기를 기다리는 대신 도서관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편의성 때문에 도서관은 전자저널 구독종수를 급격히 늘려가고 있다. 그런데 국내의 전자저널 구독 유형이 대부분 공동구매 컨소시엄이나 중개업자가 제공하는 대규모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구독하는 것이어서, 동시에 적게는 수백 종에서 많게는 일 만종 이상이 한꺼번에 도서관 장서로 투입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격히 증가하는 전자저널의 목록을 효율적으로 작성하고 이 레코드들을 관리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 목록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전자저널 목록을 작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국내외 표준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례연구로는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목록 운영 사례를 조사했다. 마지막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목록 운영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해 보았다. 설문지는 전자저널 구독종수 상위 35개 기관에 배포되었으며 26개 기관으로부터 응답을 받았고,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26개 기관 중 목록을 작성하는 기관은 12개 기관이었으며, 14개 기관에서는 목록을 작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목록을 작성하지 않는 기관은 모두 웹기반 타이틀 리스트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 웹기반 타이틀 리스트가 전 기관을 망라하여 가장 선호되는 전자저널 이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목록기술형식으로는 인쇄저널과 같은 MARC이 아닌 전자정보원 고유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다른 형식이 더 많이 쓰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응하는 인쇄판이 있는 전자저널에 대해서는 복수 레코드 방식이, 동일한 타이틀에 대해 복수의 제공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일 레코드 방식이 더 많이 쓰이고 있었다. 레코드 입력방식은 주로 중개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일괄 반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사서들이 지적한 전자저널 목록 작성 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은 유지관리였으며, 그 다음으로 인력, 정책의 부재, 목록 규칙에 대한 이해 부족, 신기술에 대한 이해 부족, 비용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자저널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방식으로 가장 선호되는 것은 웹기반 타이틀 리스트이며, 그 외에 웹기반 주제리스트, OPAC 검색, 인쇄판 레코드에 URL 등 주기 추가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URL은 원문으로 직접 연결되는 핫링크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출판사 홈페이지 URL을 동시에 입력하는 방식이 가장 선호되었으며, URL은 대행사가 제공하는 레코드를 일괄적으로 반입하여 갱신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자저널의 목록 작성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는 정리, 연속간행물, 참고봉사, 전산, 주제전문사서 등 각 도서관에서 자관의 상황에 따라 편의적으로 나뉘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향후 계획에 관해 많은 도서관들이 전자저널 목록 작성 정책을 마련하고, 국가적 혹은 컨소시엄 차원의 정책이 있다면 이를 수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 외에 여러 종류의 상업적 솔루션을 도입, 전자정보원 관리시스템 도입, 도서관 자동화시스템 개선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과 같은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목록 운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목록 기술 방식에 관한 여러 논쟁들에 관해서는 먼저 전자저널이 도입된 해외에 사례 연구가 많이 된 만큼 작업에 착수하기 전에 이를 면밀히 분석하고, 국내외 표준 준수 여부를 선택의 기준으로 삼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서지 필드들을 선정할 것과, 공동목록 환경에서 서지레코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소장용 MARC 형식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둘째, 전자저널 이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인쇄자원과 통합적으로 검색 및 이용될 수 있도록 구축되어야 하며, 지나치게 복잡한 검색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셋째, 여러 부서에 혼재 되어 있는 전자저널 목록 작성 업무를 정리부서로 집중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현재의 컨소시엄은 공동구매를 위한 차원을 넘어서, 이 컨소시엄에 의해 운영되는 공동목록을 통해 정보원의 공유와 더불어 정책, 지침, 목록 레코드 등의 공유 차원으로까지 확대 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