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은-
dc.creator이주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5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00107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store choice process based on the wedding dress shops, to analyze the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attributes affects to store choice process, and to analyze the competition structure among wedding dress shops in order to help to set up the marketing strategy.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onsumers store choice type in accordance with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o analyze the store attributes influence on consumers store choice process such as awareness- consideration, consideration-visit and visit-choice. Third, to analyze the disparity of evaluation for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group. Fourth, to analyze the disparity of store attitude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group and store choice type. Fifth, to analyze the competition structure among wedding dress stores according to the store choice process. Each 48 wedding dress stores in Ahyun-dong and Chungdam-dong / Apkujung-dong, Kangnam-gu were selected as subject stores for this study. 325 women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got married within 2 years ago were convenient sampled as the subjects and the survey methodology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SA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quantile range, equality to the rank correlation, one-way repeated ANOVA, one-way independent ANOVA, Scheff test, χ2-test, and t-test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putation oriented factor, utility oriented factor, fashion oriented factor and time oriented factor were extracted as low grade dimension for shopping orientation. Then classify the consumers group into reputation oriented group, utility oriented group, fashion oriented group and time oriented group based on factor analysis. Second, the quantile range were applied based on the number of awareness, consideration and visited store. Then classify the consumers store choice decision type into high maintenance type(11.1%), increase type(18.2%), medium maintenance type(22.8%), decrease type(22.2%), mixture type(14.2%) and low maintenance type(11.7%) as a result of quantile range.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in store choice type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group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 shopping orientation group, frequency of decrease type for reputation oriented group, medium maintenance type for utility oriented group, decrease type for fashion oriented group and low maintenance type for time oriented group were high. The store choice type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ccurred significant relations for purchasing region and income. Between the purchasing region, the frequency of decrease type was the highest among purchasers in Kangnam region, but the frequency of medium maintenance type was the highest among purchasers in Ahyun region. Among income group, the frequency of low maintenance type was the highest among purchasers whose income was less than ₩3,000,000, the frequency of decrease type and medium maintenance type were the highest among purchasers whose income were between ₩3,000,000-₩5,000,000 but the frequency of increase type were the highest among purchasers whose income were more than ₩5,000,000. Fourth, the importance ranks among attributes for consideration step, visit step and choice step were maintained consistently in the evaluation of store attributes for each store choice process of subject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in each step is design, then in economy, variety, atmosphere, reputation and convenience order. Fifth, the importance ranks of attributes among consideration step, visit step and choice step occurred consistently as a result of survey for the evaluation of store attributes in accordance with shopping orientation. But the importance ranks of each group were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for all groups is design, but reputation oriented group took a serious view of reputation, utility oriented group took a serious view of economy, vogue oriented group took a serious view of variety and time oriented group took a serious view of convenience than other groups. Also, as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individual attribute s importance among shopping orientation group regardless store choice process step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the all 6 attributes. Reputation oriented group took the most serious view of reputation and design, fashion oriented group took the most serious view of atmosphere, time oriented group took tue most serious view of convenience, utility oriented group took the most serious view of economy and fashion oriented group took the most serious view of variety. Six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attitude for wedding dress shop by neither shopping orientation group,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or store choice decision type. Totally average 5.1 point of high satisfaction occurred in 7 point of perfect score. Seventh, quantile range was performed based on the awareness frequency, consideration frequency, visit frequency and choice frequency of stores to analyze the competition relation among wedding dress shops. As a result of quantile range, the competition type of wedding dress shops was classified to 5 type such as superior type, wider type, moderate type, narrower type and inferior type. Eighth, as a result of analysis for awareness motives of wedding dress store in accordance with shopping orientation groups, reputation oriented group was the most influenced by word of mouth, utility oriented group investigated stores very much, and time oriented group investigated less than any other group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ccurred among purchasing region and income in awareness motives of wedding dress store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urchasers in Ahyun region investigated more than purchasers in Kangnam region. Purchasers whose income were higher investigated the stores more. Ninth, as a result of analysis for evaluation criteria of store attributes in accordance with shopping orientation, the signifiant relations occurred among price, quality, purchasing method, purchasing price, reasonable price, fashion, impression of sales person and store s facade.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evaluation criteria of store attribute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price, quality, purchasing method, purchasing price, reasonable price and store facade by purchasing region. And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price, quality, purchasing method, purchasing price, reasonable price, fashion, impression of sales person and store facade by income.;본 연구의 목적은 웨딩드레스점포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점포선택과정을 파악하고, 점포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속성을 분석하며, 웨딩드레스점포들의 경쟁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웨딩드레스점포의 마케팅전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쇼핑성향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소비자의 웨딩드레스점포 선택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점포속성이 소비자의 웨딩드레스점포 선택과정, 즉 인지, 고려, 방문, 선택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셋째, 쇼핑성향집단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 속성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다. 넷째, 쇼핑성향집단과 웨딩드레스점포 선택유형에 따라 점포태도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섯째, 점포선택과정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간의 경쟁구조를 분석한다. 연구대상 점포는 아현동과 강남의 청담동 압구정동에서 각각 48개의 웨딩드레스점포가 선정되어 조사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결혼한지 2년 이내의 여성 325명이 편의추출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사분편차, 등위상관, 일원 반복 분산분석, 일원 분산분석, Scheff test, χ2 검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쇼핑성향의 하위 차원으로는 명성지향 요인, 실리지향 요인, 유행지향 요인, 시간지향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분석에 근거하여 소비자집단을 명성지향집단, 실리지향집단, 유행지향집단, 시간지향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인지, 고려, 방문 점포 수를 기준으로 사분편차를 실시하였으며, 사분편차의 결과에 따라서 소비자의 웨딩드레스점포 선택유형을 고유지형(高維持型, 11.1%), 증가형(增加型, 18.2%), 중유지형(中維持型, 22.8%), 감소형(減少型, 22.2%), 혼합형(混合型, 14.2%), 저유지형(低維持型, 11.7%)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쇼핑성향집단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 선택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쇼핑성향집단별로 명성지향집단은 감소형, 실리지향집단은 중유지형, 유행지향집단은 감소형, 시간지향집단은 저유지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웨딩드레스점포 선택유형은 선택지역과 수입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매지역별로 강남지역 구매자에서는 감소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현지역 구매자에서는 중유지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입별로 300만원 미만의 집단에서는 저유지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300-500만원 미만의 집단에서는 감소형과 중유지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는 증가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 연구대상자의 웨딩드레스점포 선택단계간 점포속성의 평가에 있어서는 고려, 방문, 선택 단계간에 속성간의 중요도 순위가 변화하지 않고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별로 가장 중요시하는 속성은 디자인이었으며, 경제성, 다양성, 분위기, 지명도, 편의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쇼핑성향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의 속성 평가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고려, 방문, 선택 단계간에 속성간의 중요도 순위가 쇼핑성향집단별로 변화하지 않고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간의 중요도 순위에 있어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모든 집단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속성은 디자인이었지만 다른 집단에 비해 명성지향집단은 지명도, 실리지향집단은 경제성, 유행지향집단은 다양성, 시간지향집단은 편의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포선택과정의 단계를 고려하지 않고 쇼핑성향 집단간 개별 속성의 중요도를 비교해본 결과 6개 속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명도와 디자인은 명성지향집단, 분위기는 유행지향집단, 편의성은 시간지향집단, 경제성은 실리지향집단, 다양성은 유행지향집단이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웨딩드레스점포에 대한 태도는 쇼핑성향집단간, 인구통계적 특성간, 점포선택유형간에 있어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는 7점 척도상에서 평균 5.1정도의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내었다. 일곱째, 웨딩드레스점포의 경쟁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점포의 인지빈도, 고려빈도, 방문빈도, 선택빈도를 기준으로 사분편차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분편차의 결과를 기준으로 웨딩드레스점포의 경쟁유형이 경쟁우위형(競爭優位型), 확대선택형(擴大選擇型), 경쟁중위형(競爭中位型), 축소선택형(縮小選擇型), 경쟁열세형(競爭劣勢型)의 다섯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여덟째, 쇼핑성향집단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의 인지동기를 분석한 결과 명성지향집단은 구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실리지향집단은 점포탐색을 많이 하고, 시간지향집단은 점포, 매체, 구전 등 인지동기의 수준이 네 집단 중 가장 낮았다. 인구통계적인 특성에 따른 웨딩드레스점포의 인지동기에서는 구매지역과 수입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매지역별로는 아현동 구매자가 강남 구매자에 비해 점포탐색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별로는 수입 수준이 높을수록 점포탐색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쇼핑성향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의 속성에 대한 평가기준을 분석한 결과 가격과 품질, 구입방법, 구입가격, 적정가격, 유행성, 판매원의 인상, 점포외관, 선호스타일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라 웨딩드레스점포의 속성에 대한 평가기준을 분석한 결과 구매지역별로는 가격과 품질, 구입방법, 구입가격, 적정가격, 점포외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입별로는 가격과 품질, 구입방법, 구입가격, 적정가격, 유행성, 판매원의 인상, 점포외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소비자의 점포선택과정 5 B. 점포선택 조합모델 11 C. 쇼핑성향 22 D. 점포속성 25 E. 연구 문제 29 Ⅲ. 연구 방법 30 A.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30 B. 측정 도구 및 절차 32 C. 자료분석방법 39 D. 용어 정의 40 Ⅳ. 결과 41 A. 웨딩드레스 쇼핑성향에 의한 소비자집단 분류 41 B. 웨딩드레스점포 선택유형의 분류 44 C. 쇼핑성향집단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점포선택유형 48 D. 웨딩드레스점포 선택과정에 따른 점포속성 평가 52 E. 쇼핑성향집단에 따른 웨딩드레스 점포속성 평가의 차이 55 F. 웨딩드레스점포 태도 61 G. 웨딩드레스점포의 경쟁구조 분석 61 H. 웨딩드레스점포 인지동기 64 I. 웨딩드레스 점포속성에 대한 평가기준 67 Ⅴ. 논의 및 결론 79 참고문헌 90 부록 100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06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패션점포 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점포속성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tore-
dc.creator.othernameLee, Joo Eun-
dc.format.pagevi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