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5 Download: 0

18세기 영국 정원의 풍경화적 속성에 관한 연구

Title
18세기 영국 정원의 풍경화적 속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L'étude sur les attributs paysagers du jardin en Grande-Bretagne au ⅩⅧe siècle
Authors
황주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L'objectif de cette thèse est d'étudier la relation entre le jardin paysager en Grande-Bretagne au ⅩⅧe siècle et le paysage. Le paysage et le jardin sont tous les deux les arts qui s'occupent la présentation du paysage idéal. En particulier, le jardin paysager en Grande-Bretagne au ⅩⅧe siècle qui j'étudie ici a son origine dans le paysage idéaliste en Italie au ⅩⅦe siècle. La procédé du paysage qui formule une vue idéale en choisissant les éléments naturels les plus propres est très semblable avec celle du jardinage. En fait, on réalisait le monde idéal par le jardinage depuis longtemps. La relation entre le jardin paysager au ⅩⅧe siècle en Grande-Bretagne et le paysage idéal de Claude Lorrain (1604?-82), Nicolas Poussin (1594-1665), et Salvator Rossa (1615-73) le montre. L'étude du jardin paysager en Grande-Bretagne au ⅩⅧe siècle est met sur des bases de l'histoire de jardin européen et celui de paysager. Donc, je fais des recherches sur les évolutions des styles des jardins européens, l'idée pastorale, et puis, l'histoire et les styles de paysage européen et alglais. Encore, j'analyse la situation en Grande-Bretagne sous tous les aspects que je démontre le jardin paysager en Grande-Bretagne au ⅩⅧe siècle n'est pas seulement d'imitation du paysager idéal en Iatlie, mais «une phénomène culturelle» ou l'économie, la politique, l'art et la vogue du Grand Tour tous se reflètent. Je présente les trois types du jardin à l'anglaise ici. D'abord, à la première partie, j'analyse «le paysager arcadien» ou l'on subit l'influence du tableau paysager idéal en Italie par Claude Lorrain, Poussin ou Rossa. Ici, on attache de l'importance non seulement à la forme mais aussi au thème ou sens suivant la doctrine du «ut pictura poesis». On est sorti du jardin formalisme à la française et ont «escaladé une muraille et vu toute la nature comme un jardin». Puis, à la deuxième partie, j'analyse «le paysager expressionisme» ou on a cherché la forme la plus idéale qui est cachée dans des éléments naturels comme l'eau, les arbres, ou la terre. On a accordé plus de l'importance à l'élément naturel qu'au symbole de la litterature classique. «Capability» Brown a imité la méthode de la peinture paysagère pour créer un paysage tant idéal et beau que c'est impossible en fait. Je présent des exemples de l'expressions abstraits en jardin par Brown. Le paysager Brownien devenait le type du «paysager à l'angalise». Ses paysagers ont inspiré les poèts romantiques et les peintres au ⅩⅧe et ⅩⅨe siècle. Et puis, le débat sur «pittoresque» est commencé par les jardins qui associent des styles des peintres ou sont créés par principe et techinique de peinture. En fin, à la troisième partie, j'analyse «le paysager pittoresque». Je recherche le processus de la formation de la théorie de pittoresque par le débat sur pittoresque par Uvedale Price, Richard Payne Knight, Humphry Repton, etc. Encore, je présente que la poursuite de la nature brusque, irrégulier et presque sauvage comme la voyage pittoresque a aussi influencé sur la conception sur nature des Anglais au ⅩⅧe siècle. On peut trouver l'influence dans les peintures paysagères de cette époque. Pour conclure, je présente la relation et la signification entre le jardin paysager et le paysage. Le jardin paysager en Grande-Bretagne au ⅩⅧe siècle est considéré comme le commencement de l'architecture paysager moderne et il excerce une grande influence sur notre paysage et conception d'aujourd'hui. Donc, ma recherche va enrichir l'étude sur le paysage et contribuer à la comprehension profonde de notre conception sur paysage et nature. Et puis, ça ouvrit l'esprit à l'étude de la relation mutuelle entre la peinture et le paysage.;본 논문은 18세기 영국에서 발전한 풍경식 정원과 풍경화의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풍경을 소재로 삼는 회화 양식인 풍경화와, 풍경을 모델로 하는 환경 양식인 정원은 모두 이상적 경관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예술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변천해왔다. 특히 본고의 중점 연구 대상인 18세기 영국의 풍경식 정원은 이탈리아의 이상주의적 풍경화를 원형으로 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자연 요소들을 골라 이를 다시 조합하여 이상적인 풍경을 만드는 풍경화의 작업 태도는 조경의 전통적 작업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실제로 사람들은 오래전부터‘만들어진 풍경’인 조경을 통해 풍경화 속의 가상적 이상 세계를 실현해왔다. 이는 본 논문의 연구 주제인 18세기 영국의 풍경식 정원 양식과 클로드 로랭(Claude Lorrain, 1604?―82)과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1594-1665), 살바토르 로사(Salavator Rosa, 1615-73)로 대표되는 이상주의적 풍경화 양식의 관계의 예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18세기 영국 풍경식 정원 연구는 크게 서구 정원 양식의 변천 과정과 서양 풍경화의 역사라는 두 축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서양의 정원 양식의 변천과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전원적 이상관을 고찰해 보았으며, 이어 서양 풍경화의 역사와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당시 영국의 시대적 상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풍경식 정원이 단순히 이상적 풍경화를 모방한 것이 아니라 당시 영국의 경제, 정치, 예술, 그랜드 투어의 유행 등이 모두 반영된 하나의 ‘문화 현상’임을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영국의 풍경식 정원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을 짚어보았다. ‘아르카디아적 풍경’으로 규정한 초기에는 클로드 로랭과 푸생, 로사로 대표되는 이탈리아 이상주의 풍경화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시는 그림과 같이(ut pictura poesis)’라는 고전적 교의 하에 풍경화의 형식뿐만 아니라 풍경을 통해 연상되는 주제와 의미도 중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시기를 대표하는 정원가 윌리엄 켄트와 다른 정원가들이 기존의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정원의 ‘담장을 넘어 모든 자연을 정원’으로 보았음을 당시 조성된 정원의 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어 초기의 고전문학의 상징보다는 순수한 자연 요소로 이상적인 풍경을 조원하고자 했던 ‘표현적 풍경’에서는 부지 고유의 특성을 중시하면서 물, 나무, 대지 등의 자연 요소에 숨겨진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발견해내고자 하였음을 알아보았다. ‘캐이퍼빌리티(Capability)’ 브라운은 실제 자연에서는 불가능할 정도로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풍경을 조원하기 위해 자연의 이상적인 요소들을 조합하는 풍경화의 제작 방법을 모방하였고 본고에서는 그의 추상적 표현 방식의 예가 제시되었다. 브라운의 조경은 이후 오늘날 우리가 보고 즐기는 ‘영국식 풍경(English Landscape)’의 전형을 이루게 되었다. 그가 조원한 이상적 풍경은 이후 낭만주의 풍경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18-19세기의 영국 화가들은 정원 풍경을 주제로 한 작품을 다수 제작하다는 점을 밝혀보았다. 그리고 화가의 작풍을 연상시키거나, 회화의 원리와 기법을 따른 정원이 만들어지면서 픽쳐레스크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점을 기술하였다. 이에 ‘픽쳐레스크 풍경’에서는 길핀의 여행기와 프라이스와 나이트, 렙턴 등이 벌인 픽쳐레스크 논쟁 등을 통해 픽쳐레스크 이론이 성립된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픽쳐레스크 여행처럼 거칠고 불규칙한 야생에 가까운 자연을 추구하는 풍조는 풍경식 정원과 함께 18세기 영국인들의 자연관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이 시기의 풍경화에도 반영되어 나타났음을 밝혀보았다. 결론에서는 이제까지 본 논문에서 살펴본 풍경식 정원의 발전 과정과, 이의 기반이 된 풍경화와 정원의 변천 과정 연구를 통하여 양 장르간의 연관성과 의미를 도출해 내었다. 근대 조경의 효시로 여겨지는 영국 풍경식 정원은 다른 유럽 국가는 물론 오늘날 우리의 자연관과 실제의 경관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연구는 풍경화의 미술사적 연구를 더욱 풍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의 풍경관에 대한 깊은 이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또한 그 중요성에 비하여 미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회화와 조경 양식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둠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