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윤치호의 미국유학과 근대문명관

Title
윤치호의 미국유학과 근대문명관
Other Titles
Yun Ch'i-ho's View of Modern Civilization
Authors
柳美眞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培鎔
Abstract
Yun Ch'i-ho(1865-1945)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nlightenment leaders and intellectuals in the times of historic turbulence in Korea from the Enlightenment Age(1883-1904)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1910-1945). This paper looks into the process through which Yun accepted the modern Western thought and defines his idea of a civilized society. In other words, the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Yun formulated his ideas on reform and enlightenment by observing the years he studied in Japan and China and defines his view on civilization and a civilized society,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his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Yun was the first in the Chosun Dynasty to study in Japan where he came into contact with and accepted the idea of civilization enlightenment of the West. After he came to Korea, he became the first English interpreter in Korean history and served as the element of the Reform Party during the Kabo Reform of 1894, which called for a radical reform in the government, economy and society. His contrasting experience in China, the premodern society of Asia and in the U.S., the leading civilization of the West shaped his ideas on civilization and made him opt for the western-oriented, or more specifically an American civilization. Yun was convinced that the Chosun Dynasty, which was at the pre-enlightenment stage, should adopt the enlightened civilization of the West and evolve into a civilized society. He saw the western-style civilization as the key to addressing the challenges the Chosun faced from home and abroad. His idea on civilization is founded on 4 pillars, enlightenment, democracy, christianity, and the alliance of the yellow race. The modern nation or modern society as envisaged by Yun was an enlightened and civilized western society comparable to that of the U.S., U.K. and Japan, a democratic society where the public enjoy freedom and citizen rights, and a christian society where the christian doctrine of love is exercised by the reflection of an individual and the public action. In addition, the modern society would solidify the yellow race of Japan, the Chosun and China and this alliance would protect the modern society created by the yellow race from the invasion of the white race epitomizing the Western imperialism. Yun's ideas on civilization with its emphasis on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West inclined to an excessive degree toward the enlightenment, westernization, the 'justice of power.' Such emphasis supported the social evolution theory and ultimately justifi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hosun and the colonial Japan. By recognizing Japan as a civilized or advanced country comparable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Yun's idea threw the reality of the Chosun in a pessimistic light and lessened a sense of vigilance or hostility held justifiable by the people of the Chosun towards the Japanese imperialism. Furthermore, the commitment to the national independence was overshadowed by the call for the alliance of the yellow race, the idea generated by a racial prejudice.;尹致昊(1865-1945)는 개화기에서 일제시대에 이르는 격동기를 살아간 당시의 대표적인 개화지식인이자 대표적인 개화지도자였다. 본 연구는 윤치호가 서구식 근대사상을 수용하고 이를 근대문명관으로 확립하게 된 과정과 그가 구상한 문명사회의 모습을 규명하는 것을 기본적인 틀로 하였다. 곧 윤치호의 서구식 근대사상, 즉 개화·개혁사상이 일본유학시기부터 중국유학시기까지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과정과 미국유학시기에 확립된 근대적 문명관·문명사회관의 전반적인 모습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개화기의 윤치호는 조선 최초의 일본유학생으로 일본유학기에 서구의 문명개화사상을 수용하였고, 조선 최초의 영어통역관으로 귀국하여 갑신정변기에는 개화당의 일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동양의 전근대국가인 중국유학과 서구의 대표적인 문명국가인 미국유학을 통하여 서구중심, 즉 미국중심의 문명관을 갖게 되었다. 즉 윤치호는 문명 이전의 ‘반개화’ 단계에 머물러 있는 조선이 ‘문명개화’된 서양의 문물제도를 수용하여 문명사회로 진보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이러한 서구식 문명화만이 19세기 후반의 조선이 당면한 대내외적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미국유학기에 확립된 윤치호의 문명관, 즉 문명사회관은 문명개화의식, 민주주의의식, 기독교의식, 그리고 황인종의식으로 집약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윤치호의 문명관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윤치호의 의식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윤치호가 생각한 근대국가·근대사회는 미국과 영국, 일본 등과 같이 서구식으로 개화된 문명사회였고, 온 국민이 자유와 민권을 누릴 수 있는 민주주의사회였으며, 기독교적인 사랑의 윤리가 개인의 자성과 공익의 실천으로 나타나는 기독교사회였다. 아울러 서구열강으로 대표되는 백인종의 침략으로부터 황인종이 만들어낼 근대사회를 수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구상한 것이 일본·조선·중국이 연대하는 황인종단합사회였다. 서구적 근대의 수용이라는 윤치호의 문명관은 지나친 개화지상주의적 성향과 서구편향적 성향, 그리고 ‘힘의 정의론’에 경사된 사회진화론적 성향을 띠면서 결국 일제시대 친일협력의 논리로 이어지게 된다. 즉 일본을 미국과 같은 문명국·선진국으로 인식한 반면 모국인 조선의 현실은 비관적으로 인식하여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경계심과 적개심이 둔화되었고, 나아가 국가독립에의 의지와 민족주의적 의식은 황인종의 단합이라는 인종주의적 편애 속에 매몰되었던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