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사회과에서의 양성평등교육 연구

Title
사회과에서의 양성평등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uthors
변금교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田淑子
Abstract
본 연구는 성숙한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한 사회과에서의 양성평등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구체화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과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교과서에 나타난 성 불평등한 내용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의식을 조사하였다. 이 두 가지 분석 결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과 사회과에서 양성평등교육과 양성평등의식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사회과에서 양성평등교육이 어느 정도 이루어 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교재의 기본인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는 데이비드 새드커와 마이라 새드커(David Sadker and Myra Sadker)가 제시한 희소성, 언어적 편견, 성 고정관념, 불균형, 비현실성, 분절성, 6가지 기준을 선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사회과 내용 중 성 차별적인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일반사회 단원들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성 차별적인 내용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의식 조사를 하였다. 조사 대상은 중학교 일반 사회 단원을 학습한 서울․경기 지역 소재 남녀 공학 중학교 3학년 196명 학생들이다. 성별에 따른 수용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별에 따른 T-tesr 검증을 하였고, 학생들의 의식 형성에 미치는 다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부모의 학력과 직업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동시에 보고자 하는 이유는 사회과에서 진정한 양성평등교육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양성평등교육은 교육 활동에 있어서 성 차별적인 내용을 제거한 양성평등교육과 여성주의적 인식과 현실 변혁 의지를 길러주는 양성평등의식교육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교과서에서 성 차별적이나 성 불평등한 내용을 찾아서 제거하고,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성 차별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을 파악해서 교과서 수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성평등의식교육을 위해 학생들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소성의 경우 예시문에서 남녀 인물이 비교적 균등하게 배분되었으나 삽화와 그림에서는 불균등하게 배분되었으며 그 정도가 컸다. 또한 교과서에 등장한 남성 인물은 주도적인 역할로 표현되었지만 여성 인물은 주변적인 역할로 그려지고 있었다 둘째, 언어적 편견의 경우 순서가 고정된 단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었고, ‘마녀’와 같이 여성을 비하하는 언어의 사용이 나타났다. 셋째, 성 고정관념은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는 부분으로 고정화된 성 역할이 많이 나타나 있었다. 넷째, 불균형의 부분은 표면적으로 크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여성의 관점이나 공헌이 균형있게 서술되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비현실성에서는 다양한 가족 형태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여섯째, 분절성 부분 또한 표면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는데, 여성의 노력과 활동이 다른 영역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서술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6가지 분석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양성평등 의식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성평등의식은 2.81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각 영역별로 비교해보면 비현실성, 분절성 영역의 양성평등 의식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희소성 영역의 양성평등 의식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교과서 분석에서 성 불평등 정도가 희소성과 성 고정관념 영역에서 크게 나타났고, 비현실성과 분절성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었던 점과 비교해 볼 때 사회과 교과서의 성 불평등 내용이 학생들의 양성평등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의식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성 고정관념과 분절성에서 성별 차이가 컸는데, 분절성의 경우 여성의 정치 참여와 관련된 내용으로 사회과에서 더욱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셋째, 학생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학부모의 학력과 직업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학부모의 학력은 비현실성 영역을 제외한 5가지 영역에서 학력이 높을 수록 학생들의 양성평등 의식이 높았다. 넷째, 학부모 직업의 경우 아버지 직업이 일반사무 종사자, 단순 노무 종사자, 공무원, 기타인 경우는 전체 양성평등 의식이 낮아지고, 서비스 종사자, 자영업인 경우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 직업의 경우는 서비스 종사자, 단순 노무 종사자, 기타인 경우는 전체 양성평등 의식이 낮아지고, 일반사무 종사자, 자영업, 공무원인 경우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6가지 영역별로 학부모의 직업이 미친 영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과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 조사를 통해 앞으로 사회과에서 성 불평등 내용을 개선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용에 양성평등적 시각을 반영해야 한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 특히 삽화나 자료 사진의 부분에서는 양성평등적 시각을 가지고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제안점으로는 1) 여성들의 공헌과 경험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성 인물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남성과 여성 인물에 대한 적절한 안배를 해야 할 것이다. 2) 여성주의적 언어 사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성 고정관념을 제거하기 위해서 일상생활과 가사노동에 남녀가 함께 참여하는 모습, 직업활동에서의 양성평등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 4) 여성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서술하여야 한다. 5) 여성의 정치 참여를 위해서 여성의 정치 참여 필요성 인식과 여성의 낮은 대표성이 갖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 여성의 정치 참여와 관련된 제도와 기구들을 내용으로 다루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여성 인권 문제를 다루어 여성 문제를 사회 속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남학생들에 대한 양성평등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의식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사회과 교과서에서의 성 불평등한 내용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의 가정 환경을 파악하여 수요자 중심의 맞춤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 인물에 대한 자료, 과거와 현재의 직업 비교, 역할극과 같은 다양한 활동과 보충자료를 준비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 째, 앞의 제언들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교사들의 양성평등의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들을 위한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여 교사들이 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desirable direction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o nurture mature democratic citize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and examined students' consciousness to determine how much students were accepting gender inequality in the textbook. First, the textbook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general social studies units in the subject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ccording to six criteria suggested by David Sadker and Myra Adker: scarcity, linguistic prejudice, gender-related fixed ideas, imbalance, unreality, and differentiation. And a comparative examination was made for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196 tenth-graders from coeducation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ccording to gender and home background. The analysi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scarcity, male and female characters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in examples but too unevenly in illustrations and pictures. Moreover, while male characters in the textbook took a leading role, female ones an insignificant role. Second, as for linguistic prejudice, order-fixed words were frequently used, with the words disparaging women including witches. Third, as the issue of gender-related fixed ideas was the most serious, there were lots of fixed gender roles. Fourth, although imbalance was not revealed clearly, there was no balanced description about women's viewpoints or contributions. Fifth, as for unreality, diverse types of family and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failed to be dealt with well. Sixth, while differentiation wasn't also revealed on the surface, there was no description concerning the effects of women's efforts and activities on other areas.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a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six criteria, consequently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enera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relatively high, or 2.81. For each criterio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 in such areas as unreality and differentiation and was the lowest in that of scarcity. As results from the textbook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inequality was serious in such areas as scarcity and gender-related fixed ideas and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in those of unreality and differentiation, gender inequality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was found to affect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Second, as for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by gender, girls showed higher consciousness than boys. In particular,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in gender-related fixed ideas and differentiation by gender; the latter needs further improvement in relation to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Third, effects of parents' academic career and occupation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actors to affect students' consciousness. In five areas but unreality, the higher parents' academic career, the higher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Fourth, the genera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low if father was a company employee, a simple laborer, or a civil servant but high if he was a service business employee or a self-employed person.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low if mother was a service business employee or a simple laborer but high if she was a company employee, a self-employed person, or a civil servant. Parents' occupation was found to have different effects on each of the six criteria. Results from the textbook analysis and the examination of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correct gender inequality in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in the future. To do this, several sugges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in a textbook. In particular, illustrations and pictures should b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boys. This is becaus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in accepting gender inequality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as can be seen in the results from the examination of students' conscious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students' home environment to provide consumer-centered customized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level of students' consciousness can be affected by parents' academic career and occupation, as can be seen in the results from the examination of students' consciousness. Fourth, teachers' efforts are necessary to collect data on female characters, make a comparison between past and present types of occupation, and provide various activities such as role play and supplementary materials. Fifth, what is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suggestions mentioned above is teachers' own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in order to help them get a correct viewpoi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