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선행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선행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Antecedents of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and Their Effects on Mentoring Function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국
Abstract
Due to increasing interest in leveraging human and social capital within organizations, informal and formal mentoring have gained the attention of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as potentially critical developmental tools. Recently, scholars have begun to consider mentoring relationships as multiple developmental networks including senior colleagues, peers, and even subordinates. Changes in the current career environment due to the flattening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hip suggest that people need to rely on a broader group of individuals for developmental supports. In this dissertation, mentoring network is defined as the set of people a protege names as taking an active interest in and action to advance the protege's career by providing career-related and psychosocial functions. Yet despite the recognition among researchers that mentoring relationship is a type of important social capital, there is not much understanding about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emergent areas concerning mentoring networks by combining mentoring theory to social network theory. Following the same process as the evolution of social network theory, the study will focus first on the clarification of the definitions and the properties of mentoring networks. Then, it will discuss the consequences for proteges of having different type of mentoring networks and finally, the antecedents to the formation of a specific type of mentoring network. The study has following objectives: First, to identify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to define the construct of mentoring networks. While man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receiving mentoring assistance from single primary mentor, studies on multiple concurrent developmental relationships, as examined here, are rare. Seco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and the career-related as well as psychosocial functions received from mentoring relationships. Social network research has suggested three distinct perspectives on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1) the embeddedness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benefits of social capital resulting from embedded ties, (2) the diversity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benefits of social capital resulting from linking ties, and (3) the hybrid perspective, that suggests that integrated networks combining embedded and diverse ties tend to be more beneficial than networks composed of all embedded or all diverse ties(Baker, 1990). I argue that the hybrid perspective permits more flexible explanations for the functioning of mentoring networks. In this regard, I predicted and interpre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e hybrid perspective. Third, to examine how the individual personal attributes affect the creation of mentoring networks. The emphasis on social structure in social networks research has resulted in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personalities in network analysis. However, this study aims to show how four personality traits including self-monitoring,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affect the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created by individual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the former to induce theoretical argument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the latter to test these relationship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the primary source of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proteges' egocentric networks of informal mentoring relationships and to obtain attribute data. Survey was conducted to 213 military officers in one organization and in total, 59 % or 127 members in the target sample returned questionnaires among which a total of 113 have been used for analysis. To test hypothesis,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 6 as well a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confirm that the three dimensions, namely network size, relationship strength, and network range, form the basis of mentoring network properties. The results of analysis support for the hypotheses predicting that both career and psychosocial functions are positively related to range and relationship strength of their mentoring networks. These results support the ideas that individuals can benefit from simultaneously having strong ties and broad resources, as suggested by researchers supporting hybrid perspective on the outcomes of social networks. However, the predicted inverted-U-shaped relationships between size and mentoring functions were not found. The results indicated a negative relationship rather than inverted-U-shaped one between size and psychosocial func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network propertie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self-monitors, relative to low self-monitors, tend to establish weaker mentoring ties. But the hypothesis referring to size and range were not supported. Besides, conscientiousne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lationship strength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range. Neuroticism was negatively related to both range and to relationship strength. The predictions for extraversion were all rejected. This study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oretically, it contributes not merely to the mentoring literature, but to the literature on social networks. The results empirically showed that both embedded networks and linking networks appear to have important benefits on mentoring functions. This study is one of only a few that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structure and individuals' personality traits. Although research on social networks has focused on a range of economic outcome variables,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relating network structure to variables traditionally investigat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This dissertation off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o. For individuals, understanding the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involved in developing different mentoring networks will lend insight into future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Organizations could gain insight in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for network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developing or encouraging different mentoring programs. Some of the ways that organizations can expedite the building of these mentoring networks could be realized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example, install formal mentoring programs and hold social gatherings that allow for networking opportunities. Finally, the results offered by the study may be useful in supporting minority groups including women by means of diverse mentoring programs at the level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경력 및 근무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오늘날 멘토링 관계는 상급자, 동료 뿐 아니라 후배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복수 개발조력자들과의 연결망(network)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지속적인 기술변화나 직무불안정 현상 등으로 인해 더 이상 한 명의 연장자 멘토에게만 개발 지원 기능을 의존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멘토링 관계가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유용한 인재개발 도구이며, 인적자원들 간의 관계를 활용한 중요한 사회적 자본이라는 데에는 연구자들 사이에 의견수렴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선행요인 및 결과변인에 대해 조명해 보려는 구체적인 시도는 아직 일어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멘토링 이론과 사회 연결망 이론을 연결시킴으로써 아직 탐구되지 않은 멘토링 연결망 연구영역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사회 연결망 이론이 진화해 온 것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멘토링 연결망의 개념정립에서 출발하여 그 연결망 특성이 제공하는 효과와 선행요인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멘토링 연결망이란 ‘프로테제의 경력에 관심을 가지고 경력기능 및 심리사회기능을 제공해 준다고 프로테제가 거명한 일단의 사람들’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연결망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멘토링 연결망 특성은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둘째, 멘토링 연결망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프로테제에 대한 영향 차원에서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효과를 밝힌다. 이 과정에서 멘토링 연결망이 실재하며, 개별 프로테제마다 보유하고 있는 연결망 특성이 다양함을 확인한다. 사회 연결망의 효과를 설명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이 있다. 첫째, 일 대 일의 강한 유대관계와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배태성 관점(embeddedness perspective), 둘째, 외부로부터 중복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의 흐름에 접할 수 있게 연결망을 확장해야 한다는 다양성 관점(diversity perspective), 셋째, 배태성 관점과 다양성 관점이 혼합되었을 때 효과적이라는 혼성 관점(hybrid perspective) 등이다(Baker, 1990).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관점들 중에서 배태된 관계로만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관계들로만 이루어진 연결망보다, 두 유형이 통합된 형태의 연결망이 효과적이라는 혼성관점을 통해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셋째, 개인의 성격 유형별로 어떤 멘토링 연결망을 형성하는지, 개인의 성격요인이 멘토링 연결망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사회 구조의 강조로 인해 연결망 분석에서 개인 성격의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는데, 본 연구는 자기감시 성향, 성실성, 신경증적 성향, 외향성 같은 성격요인들이 멘토링 연결망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으며, 그 관계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선행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들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을 위해, 1개 조직 내부의 군 관리자 213명을 대상으로 연결망 측정 설문조사 및 일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127부 중 113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으며, UCINET 6를 통한 사회 연결망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연결망의 크기, 관계 강도, 연결망 범위 등 세 가지 특성이 멘토링 연결망의 특성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멘토링 연결망이 실재하며, 프로테제 별로 지니는 연결망 특성이 다양함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멘토링 연결망 특성과 멘토링 기능의 관계에 대한 검증 결과, 멘토링 연결망의 관계 강도와 연결망 범위가 멘토링의 경력 기능 및 심리사회기능 모두와 정(+)적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연결망 이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개인이 강한 관계와 광범위한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배태된 관계와 연결적 관계를 함께 추구할 수 있다는 이러한 결과는 사회 연결망의 효과를 설명하는 혼성 관점에서 주장하는 바와 일치된다. 그러나 기대했던 멘토링 연결망 크기와 멘토링 기능 사이의 역U형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심리사회기능의 경우에는 연결망 크기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다음 단계로 분석된 개인의 성격과 연결망 특성의 관계에 대한 검증 결과, 자기감시 성향은 멘토링 연결망의 관계강도와 부(-)적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감시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대인 관계에 대한 투자를 최소 비용으로 유지하려고 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된다(Snyder, Gangestad, & Simpson, 1983). 그러나 자기감시 성향과 연결망 크기 및 범위의 관계에 대한 가설들은 지지되지 않았다. 성실성의 경우에는 성실성이 높을수록 관계 강도는 강하고, 범위는 좁은 멘토링 연결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경증적 성향의 경우에는 관계 강도와 범위 모두에 대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외향성에 대한 가설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멘토링 연결망 특성과 멘토링 기능의 관계에 있어서는 멘토가 몇 명인가 보다는 그 멘토들이 어떤 원천에 속하는가(연결망 범위)와 그 멘토와 내가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가(관계 강도)가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중요한 예측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의 성격과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개인의 성격이 연결망 크기보다는 멘토링 연결망의 범위나 관계 강도에 대해 주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성실성과 정서적 안정성(낮은 신경증적 성향)과 같이 안정된 관계의 유지에 관계되는 성격특성들이 멘토링 연결망 특성의 주요 선행요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멘토링 이론 측면과 사회 연결망 이론 측면 모두에서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멘토링 연결망의 실재를 확인하고 그 개념을 정립하는데 이론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멘토링 이론의 연구 영역을 사회 연결망 이론에까지 확장시키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 연결망 이론 측면에서는 그동안 탐구되지 않은 영역으로 남아있던 멘토링 연결망을 그 형성에서 효과까지 포괄적으로 고찰하고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배태된 관계와 연결적 관계가 함께 존재할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혼성 관점에서 연결망의 효과를 설명하는 새로운 연구흐름에 속한 연구이며, 또한 구조를 개인의 성격이라는 미시 조직론과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무적 차원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개인 수준에서 효율적 멘토링 연결망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멘토링 연결망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조직 수준에서는 조직 내 비공식 관계 뿐 아니라 공식 멘토링 제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결망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효과는 소수집단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