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9 Download: 0

입력 처리 교수(Input Processing Instruction)를 활용한 영어 문법 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문법 학습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입력 처리 교수(Input Processing Instruction)를 활용한 영어 문법 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문법 학습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ammar Instruction Using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Grammar and Affective Aspects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뿐만 아니라 유창성과 정확성의 균형 있는 발달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문법 수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설명과 암기위주의 단순하고 수동적인 문법 교육은 문법 지식의 습득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생각보다 오히려 지루하고 재미없는 분야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어 학습자들이 문법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문법 규칙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할 수 있는 학생 중심의 문법 교육이 필요하다. 어렵고 지루하다고 느끼기 쉬운 영어 문법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는 다양한 수업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과업을 수행하면서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문법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문법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할 때,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문법 교수가 학습자의 영어 목표 문법 습득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총 15차시의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30명에게는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30명에게는 전통적인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8주 후에 문법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이 각 목표 문법 규칙(분사·수동태·가정법)에서 월등하게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으며, 학습자들의 목표 문법 규칙 습득의 장기기억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 둘째,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상·하위 수준별 학습자들의 목표 문법 규칙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두 집단 모두 하위집단이 상위집단에 비해 문법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실험집단의 하위집단이 가장 큰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학습자들의 목표 문법 규칙 습득의 장기기억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의 하위 수준의 학생들이 큰 향상도를 보였다. 셋째, 실험·통제집단의 영어 목표 문법 습득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를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영어 전반 및 영어 문법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동기유발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심화 설문조사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이 듣기, 쓰기, 읽기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활동들로 인해 흥미로웠으며 영어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로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학습자들은 산출 능력 중심의 활동이나 체계화된 입력 활동에 비해 이해 중심의 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듣기활동을 통해서 문법에 더 익숙해 질 수 있었고, 해당 문법이 쓰이는 문맥을 통해 문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통제집단 학생들은 영어 문법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수업이 지루하여 흥미를 갖지 못하였다. 그 결과 영어 전반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입력 처리 교수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이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지루해하고 어려워하는 문법 학습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입력 처리 교수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교수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읽기, 쓰기, 듣기를 비롯한 말하기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종합적으로 실시한다면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As the ability to use English both correctly and fluently has been emphasized in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we have been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grammar instruction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Despite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focusing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ask-based learning, traditional teacher-fronted grammar instruction has been conducted at many Korean schools. However,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grammar more interestingly with intrinsic motivation.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utilizing of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This study looks at the ways of developing grammar instruction method which high school students may take interest to and applies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to classroom. It also takes a look at how effective the instruction method using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is, and how to utilize it.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30 grade 10 students(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grammar using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in 1 class and 30 students in the other class(control group) were in a class which focused on traditional grammar instruction for the same time period. After the 15-class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has significantly better grades in grammar than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aspect of the long-term memory of grammar as well. It means that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was in fact effective. Also,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grad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econdly, not only the higher-proficiency students but also the low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This means that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in the students'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hirdly, it was foun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toward the class methods on both groups.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interest, confidenc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grammar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answers reflected generall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The lower level students' attitudes toward learning grammar in the experimental group became much more positive. This shows that the learning of grammar through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ower group because it encourages the lower level students to learn English grammar with confidence and interest. Analysing further questionnaires o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much preferred the class using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with various activities, such as interpretation test, production test, and structured input activities, and said that they acquired renewed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 English grammar. In conclusion, we can find that the use of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in the learning of English grammar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grammar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as well. There fore, teacher should give students the chance to learn grammar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rather than teacher-fronted grammar instruction. Additional research on the effective use of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grammar knowledge but also the valance of the four skills of English including speaking although learners do not produce the target features in the concept of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teacher's careful preparation of the class and the materials in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class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