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2 Download: 0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 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 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atir's Theory of Communication for Growth and Its Application
Authors
박은초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atir says that when we love ourselves and thank to ourselves, an energy is created and that when we use the energy in affirmative and harmonious phase, our internal organs are circulated in peace and then the peaceful circulation arrives to make us have a creative, realistic and passionate foundation to face the problems in our life. Satir emphasizes on the value and belief of spiritual and mental therapy of men. Men have the desires to grow up and develop and have the resources and capability to satisfy them. Also, the method of existence acquired in the beginning of life cannot be kept in permanence and the growth and evolution have been continually realized. Satir argues that the hope is an important factor for a change and that the therapy should be focused on healthy points instead of pathological ones. Satir says that men are basically good and valuable, and she also says that the higher self-esteem they have, the more positively and appropriately they can face the problems and stresses. The communication is a measurer to gauge mutual self value and includes all types of ranges to share mutual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is to be learned and if we want to, we can have it changed. Satir has much interests in honest, direct and obvious communication ways and helps us adopt them in life. Satir categorizes the communication patterns frequently used under the situation men are placed in stresses such as the placating style, blaming style, super reasonable style, irrelevant style and consistent style. The common thing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ppened often in transmission of double message that linguistic message doesn't correspond to non-linguistic one. This double message is often generated in those who have lower self-esteem and fear of rupture and don't want to burden others. Satir tried to heal them by his therapy in increasing their own self-esteem. All kinds of communication patterns connote the seed of whole personality. The placating pattern has the seed of care, the blaming pattern that of self-argument, the super reasonable pattern that of intelligence, the irrelevant pattern that of creativity and flexibility. Since each pattern of existence has the advantages and strong points as the seed of change, Satir tried to change the above-mentioned four patterns into the congruence pattern by improving these dysfunctional patterns instead of removing them. The congruence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of Satir's model. It is not a kind of response but a choice of being a whole personality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purpose of Satir's therapy is to lead men to recognize their conflicted messages and to finally help them have the congruence with themselves. Men of the congruence pattern are supported by themselves and their body realizes the equilibrium and harmony including flexibility and vitality. For the activities of congruent communication, there are 'a mind reading', 'an experimentation of communication', 'a correct communication' and 'a family sculpture technique'. In this study, I apply them to small adolescent group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Since Satir's model technique is so simple and dynamic that it was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adolescent, whose reactions were positive and cooperative. A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Satir's model to the adolescent, though the research period is short and the program contents are relatively limited, the program in application of Satir's model appears very effective and efficient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of the adolescent.;사티어는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감사하고 우리 자신을 사랑할 때 에너지가 생성되며, 이 에너지를 긍정적이고 조화롭게 사용할 때 각자의 내부에 있는 기관들이 평온하게 순환하여 인생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창조적이고 현실적이며, 정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준다고 한다. 사티어는 정신적이며 영적인 인간에 대한 치료적 가치와 신념을 중요시하였다. 인간은 성장하고 발전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자원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초기에 학습된 생존 방식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으며, 성장과 변화는 계속해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희망은 변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치료는 병리적인 것보다는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사티어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선하고 가치 있는 존재이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문제와 스트레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한다. 의사소통은 서로의 자기 가치를 재는 척도이며, 사람들이 서로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방식의 범위를 포함한다. 의사소통은 학습되는 것이며, 우리가 원하기만 하면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사티어는 정직하고 직접적이며 명확한 의사소통 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가족이 그와 같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사티어는 사람이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면 자주 사용하게 되는 의사소통을 유형화하여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 일치형으로 명명하였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공통점은 표현하는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 의미가 불일치하는 이중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일어난다. 주로 이러한 이중 메시지는 자존감이 낮으며, 관계의 단절을 두려워하고, 남에게 짐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사티어는 치료를 통하여 그들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려고 하였다. 모든 의사소통 방식은 전인성의 씨를 내포하고 있다. 회유형은 돌봄의 씨를, 비난형은 자기주장의 씨를, 초이성형은 지성의 씨를, 산만형은 창조성과 유연성의 씨를 내포하고 있다. 각 생존 유형들은 변화의 씨가 될 수 있는 강점과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티어는 역기능적인 대처 유형을 제거하는데 초점을 두지 않고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에 새로운 것을 덧붙임으로서 각각 유형이 일치적인 것이 되도록 하였다. 일치형은 사티어 모델의 중요한 개념 중에 하나이며, 대처 방식이라기보다는 충만한 인간이 되어 전인성을 이루고자 하는 선택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방식이다. 사티어의 치료 목표 중 하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모순된 메시지를 자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점점 일치성으로 나아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일치형의 사람은 스스로를 지지하며, 신체는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유연성과 활기를 띤다. 일치적 의사소통을 위한 활동으로는 ‘마음 읽기’, ‘의사소통 실험’, ‘바르게 의사소통하기’, ‘가족 조각 기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사티어 기법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소그룹 모임에 실제 적용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사티어 모델 기법들이 비교적 적용이 간단하고 동적이어서 청소년들에게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반응도 긍정적이고 협조적 이었다. 사티어 모델을 청소년들에게 실제로 적용한 결과 적용기간의 부족과 프로그램 내용에 다소 한계점이 있었으나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과 의사소통 능력증진에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