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노년기 주거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연구

Title
노년기 주거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uthors
김소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The study to find the way of securing the housing for the elderly has been initiated from investigating what kind of housing needs the elderly in its community looks for. Also, it tries to figure out what might be important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nd to closely examine how much the elderly has been satisfied for the current housing. In addition, it inquires into the constituents that should be preferentially improved for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item regarded as the important elements in housing condition and the elements indicating the degree of low satisfaction for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 Lastly, it sees how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for the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would bring the difference in pursuing the better housing condition. This study employed survey with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respondents are the elderly over 60 years old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Seoul and Kyungki by allocating the region and the number of samples. Subsequently, 512 interviewees out of 550 interviewees have been selected as valid respondents after excluding inappropriate respondence cases. To figure out the important elements to housing condition, 56 index considering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have been design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results and they could measure the importance in the scale of 4 points. As the study result are followed.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irst of all, having the safety inside and outside the housing and being equipped with conveniences such as lighting, heating and ventilation we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housing condition. Secondly, from the economical point of view, the accessibility to the convenient facilities as well as the cost of maintenance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elements. The intimacy and the similarity to the neighborhood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and the enough space to invite guests and to keep family members privacy from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were one of the most crucial elements. Regarding the performance for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 the economical elements like maintenance and repairing expenses and the housing related taxes indicated the lowes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related to safety recorded very low performance. It includes the safety for the facility such as slippery toilet and slope way to the entrance and also the safety for the circumstance such as the protection from the crime. This implies that the structure and facility for the current housings have not been designed for the elderly and even reconstructions for them have not been done, exactly indicating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 not to provide the safety fac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for housing con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elements for housing condition to be urgently improved included the economical elements(rent, maintenance expenses and tax), safety for the facility(slippery toilet and slope way to the entrance) and the safety for the circumstance(protection from the crime). These elementes are showed very high importance but the current housing condition could not meet that performance. Therefore, the counter social policy would have to be considered. As the analysis also points out the low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leisure facilities, taking a measure to improve this situation would be necessary by providing more transportation service, nurse visiting service and networking with medical facilities and by investing money to expand the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culture center and welfare center in the community. Additionally, it could find out the needs for the accessibility to social service such as an emergency bell and the psychological needs such as spacious living room and privacy. The priority to improve the housing conditi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subgroup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health, income, household type, house ownership and residential period. Instead, sex, the status of employment, education level did not make the meaningful difference. These results tells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and classifi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ir need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s.;노인의 주거보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이 어떠한 주거관련 욕구를 갖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서부터 시작하였으며, 주거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에게 중요시되는 주거구성요소가 무엇이고, 현재의 주거상황에 대한 만족정도는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노인들에게 중요한 주거구성요소로 선정된 항목과 현 주거상황에 대해 낮은 성취도를 보이는 항목간의 비교를 통해 노인의 현 주거상황에서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주거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를 인지함에 있어 개인적 특성이 주거개선 요구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조사방법으로는 서울과 경기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에 대해 비례층화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지역과 표본 수를 할당하였으며, 조사대상이 된 550명에 대해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51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노년기 주거구성요소를 규정함에 있어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 검토하여 물리적, 심리사회적, 경제적 차원의 총 56개항의 지표를 만든 후 중요도 측정(4점 척도)을 통해 중요한 주거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거주노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주거구성요소는 안전성에 대한 주택내설비와 지역사회차원의 안전망을 갖추는 것이며, 채광, 난방, 통풍 등 쾌적한 물리적 조건을 갖추는 것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편익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경제성 차원에서 주택보유 및 유지관리비용의 수준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차원에서 이웃과의 친밀감이나 이웃과의 유사성을 갖추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차원에서 주택내 거실 등 자유로운 접객공간이 갖추어지고 가족프라이버시가 지켜지길 바라는 욕구도 상당히 강하게 나타났다. 현재의 주거상황에 대한 만족정도를 파악한 결과 주택유지관리비나 주택수리비, 주택관련세금 등 경제적 차원에 대한 성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주택보유 및 유지를 위한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큰 상태임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화장실미끄럼안전이나 진입로경사면처리 등 시설물안전성 요인에 대한 성취도와 범죄로부터의 안전 등 주거공간안전성 요인에 대한 성취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건설된 주택의 구조나 설비가 노인을 고려하여 설계한 경우가 거의 없으며, 노인을 위해 현재 거주하는 주택을 개조하는 경우도 드물어, 노인을 위한 안전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은 주거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거구성요소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중요도가 높은 반면, 현재 주거상황이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여 우선적인 개선전략이 필요한 주거구성요소로는 집값과 유지관리비, 주택관련세금 등 경제성 요인과 화장실미끄럼안전 및 진입로경사면처리 등 시설물안전성 요인, 범죄안전 등 주거공간안전성 요인이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집중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를 나타냈다. 그 외 편익시설접근성 요인 중 ‘의료시설에 대한 접근성’과 ‘여가문화시설 접근성’이 개선필요 사항으로 지적됨에 따라 교통서비스나 방문의료서비스, 의료시설간 연계망의 구축 등을 통한 의료시설의 접근성 확보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내에 문화센터나 노인복지관 등 여가문화시설을 확충하는데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임을 나타냈다. 그밖에 비상벨구비 등 사회적서비스접근성요인에 대한 요구와 거실확보 및 가족사생활보장 등 심리성요인에 대한 요구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주거개선의 우선순위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하위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는데, 연령과 건강수준, 소득수준, 가구유형, 주택형태, 주택소유여부, 거주기간 등의 특성에 따라 개선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성별과 직업유무, 교육수준에 따른 개선요구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년기의 주거관련 개선요구를 파악함에 있어 개인적 특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욕구집단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