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련 변인 연구

Title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련 변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lated Variables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Authors
박나미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는 창의성이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복합적 요인들이 창의성의 발현을 위해 수렴되어야 함을 가정하는 합류적 접근(confluence approach)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환경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은평구와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만 4-5세 유아 67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채(1999)에 의해 편역.소개된 Torrance 창의력 검사(TTCT) 도형검사 A형을 사용하였으며,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1967년에 Wechsler에 의해 만들어지고 1996년에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에 의해 표준화된 K-WPPSI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Thomas와 Chess가 1977년 뉴욕종단연구에 근거하여 개발한 검사 도구를 원영미(1990)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chaefer(1959)가 제작한 양육태도 이론을 기초로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과 유아 개인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성별은 창의성 하위요인 가운데 정교성과만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기질 하위요인은 접근회피와 창의적 강점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주의전환은 독창성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유아의 지능 하위요인과 창의성 하위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동작성 지능의 소 검사 가운데 도형과 빠진 곳 찾기, 언어성 지능의 소 검사 가운데에서는 상식, 산수, 어휘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동작성 지능 점수와 언어성 지능 점수, 그리고 전체 지능 또한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지능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성 하위요인의 점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 창의성 지수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검증 결과 지능 120 이상의 상위 집단이 지능 100-119인 중간 집단과 지능 100미만의 하위집단 보다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의 점수가 유의미 하게 높았으나, 중간집단과 하위집단간의 차이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과 유아 환경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는 자율-통제 하위차원만이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성 지수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의 창의성 관련 교육경험은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과 창의적 강점, 창의성 지수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 변인이 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 개인변인인 지능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환경 변인인 어머니의 자율-통제 양육태도, 그리고 창의성 관련 교육경험 순 이었다. 본 연구는 유아 창의성과 관련된 변인을 개인차원과 환경차원으로 나누어 이러한 변인들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지적능력뿐 아니라 물리적, 심리적 환경요인 또한 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실질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fluence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 children in the age group of 4 or 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who live in Eunpyoung and Seodaemun area. In order to assess children's creativity, Figural test of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orm A which is translated and introduced by Kim yeong chae was used, and th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is assessed by K-WPPSI by Wechsler in 1967 and standardized by Park hye won, Gwak geum ju, and Park gwang bae in 1996. Also, there were two instruments; one for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other for figuring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The first instrument was based on NYLS by Thomas and Chess in 1977, and translated by Won yeong mi(1990). The other was based on rearing attitude theory by Schaefer in 1959, made by Lee Jong seung and Oh seong si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and their individual variables show that e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creativity and sex represent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approach-withdrawal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temperament and creative strengths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reativity a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but distractibility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temperament and originality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reativity are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s subordinate factors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is considered that the performance subtests, such as geometric design and picture completion, and the verbal subtests, such as information, arithmetic. and vocabulary, are significantly positive. Moreover. there a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intelligence score, verbal intelligence score, tot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e different levels of intelligenc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abstractness of titles, elaboration,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creativity strengths, and the index of creativity. And the results of post hoc comparison show that IQ 120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creativity 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creativity than middle group who is in IQ 100-119 and low group whose intelligence is not higher than IQ 100.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ddle group and low group.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and environmental variables represent that autonomy-control in the subordinate scale of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is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bstractness of titles, elaboration,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and the index of creativity. And children's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creativity is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creativity strengths, and the index of creativity. Third, the results of relative influence on children'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s that children's intelligence which is one of the individual variables was the highest, mother's autonomy-control rearing attitude was the second, and children's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creativity was the third. This study has shown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hild creativity are related to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individual intelligent ability. As the interest in child creativity training has been increased, this research can provide the essential and beneficial information to child creativity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