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3 Download: 0

수면의 질 측정도구 개발

Title
수면의 질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Sleep Quality Scale
Authors
이혜련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Sleep is an important rest method and affec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Since a sleep-related private experience, factors composing of sleep quality,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are dependent on individuals, a self-report method for sleep quality evaluation is essential. Although various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study sleep quality, there are few standardized scales. It is neede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sleep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of sleep quality and to stud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Nine domains and 75 items of sleep quality were derived by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Six experts evaluated content validity twice. Items that showed at least 0.8 in Content Validity Index(CVI) were selected. Final items of the scale were selected by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Items that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less than 0.3 were excluded. Factor analysis by principal axis factoring and oblimin rotation showed 6 factors - daytime dysfunction, restoration, difficulty of falling asleep, difficulty of awakening, satisfaction, and difficulty of maintaining sleep. These six factors composed of 28 items explained 62.58% of the total variance.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developed sleep quality scale with Pittsburgh Sleep Quality Idex(PSQI), Epworth Sleepiness Scale(ESS), and polysomnograph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leep quality scal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QI and ESS. Althoug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leep quality scale and polysomnographic data were much lower,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arousal index were observed.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by demonstrating that sleep quality measured by the sleep quality sca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somniacs and control subjects. The Cronbach α of the final scale was .92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est-retest reliability was .81. The sleep qualit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by criterion-related validity, construct validity, internal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It can be utilized in clinical setting and sleep research.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further valid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instrument for various clinical setting including insomnia,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narcolepsy patient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o study usability of the scale to discriminate levels of sleep quality.;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힘과 건강을 유지하는 기전으로 가장 중요한 휴식 방식이며,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은 매우 개인적인 경험이며 수면의 질을 구성하는 요소와 상대적인 중요성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면의 질에 대한 사정은 자가 보고에 의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외국에서 개발된 수면의 질 측정도구는 우리나라에서 타당도가 검정되어 적용된 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 있고 신뢰도 높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며, 도구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문항 구성은 문헌고찰과 면담을 통하여 7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내용타당도 는 전문가 6인에 의하여 2회 평가되었으며, 내용타당도 지수(CVI)가 0.8 이상인 문항을 선정하였다. 만 20~5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가 검정된 문항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과 총점 간의 상관계수가 0.3 이상인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에 대하여 주축분해법(principal axis factoring)과 사각 회전(oblique rotatio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스크리 검사를 고려하고 이론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요인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도구는 주간 기능장애 요인, 수면 후 회복 요인, 잠들기 어려움 요인, 일어나기 어려움 요인, 수면 만족도 요인, 수면 유지의 어려움 요인 등 6요인,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명 분산은 62.58%이었다. 준거타당도는 기존에 개발된 수면의 질 측정 도구인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와 주간의 졸음증을 측정하는 ESS(Epworth Sleepiness Scale)와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여 검정하였는데 PSQI 총 점수 및 하부 영역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개발된 수면의 질 측정도구와 ESS도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주간에 졸음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측정한 생리적 지표 중 각성 지수(arousal index)와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성타당도는 집단비교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는데, 불면증군과 정상군의 수면의 질을 비교한 결과 불면증군이 정상군보다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개발된 수면의 질 측정도구의 Cronbach α 계수는 .92이고, 하부 요인별 Cronbach α 계수는 .61에서 .90 이었으며, 재조사 신뢰도는 .8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면의 질 측정도구는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정된 도구이므로 간호현장에서 수면의 질을 간단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수면의 질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수면 연구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