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90 Download: 0

어머니 교육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 건강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어머니 교육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 건강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s of Health-Support Program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Authors
김혜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Doctor
Advisors
이자형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에게 체계적인 건강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관리에 대한 어머니의 효과적인 대처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틀은 Wallander, Verni, Baban, Banis, & Wilcox(1989)의 장애-스트레스-대처 적응 모델을 기초로 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토론 과정을 거쳐 도출된 내용과 선행 연구결과 내용(김혜영, 이자형, 2004)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건강지원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최종 결정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신체적 건강 영역에 영양과 수면, 예방접종, 약물요법, 전염성 및 감염성 질환, 응급처치와 대체요법 이었으며, 사회심리적 건강 영역에는 모아애착, 놀이와 의사소통, 공격성과 분노발작, 유치원(학교)부적응, 문제행동 관리 등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진행은 주 3회씩 4주간에 걸쳐 총 12회 실시되었으며, 강의를 통한 교육적 활동과 토론과 경험나누기를 통한 지지적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북 A시 장애인 복지관에 내원하는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중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는 Buss and Plomin(1984)이 개발한 아동 기질 도구를 김지연(2003)이 우리나라 아동에 맞게 수정한 아동 기질 도구와 Caldwell and Bradley(1984)가 개발한 HOME(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를 장영애(1986)가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한 학령전기 아동용 측정 도구가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조원정(1983)의 건강행위 도구와 주혜진(1996)의 가족 건강관리 행위 도구를 본 연구의 발달장애 아동에 맞게 수정한 자녀 건강관리 행위 도구, Abidin(1983)의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박해미(1994)가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 Robinson, Eyberg and Ross(1980)의 문제행동 척도를 송주미(1992)가 번안하여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 한 도구를 본 연구 대상과 목적에 맞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고 일부 문항 수정을 하여 신뢰도 검사를 확인한 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7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다. 자료 수집은 개발된 건강지원 프로그램 효과 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첫 회 때 사전 조사를 하였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12회 때 사후 검사를 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4주 경과하여 복지관에 직접 방문을 하거나 우편으로 추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χ2-test와 t-test를 이용하였고,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의 프로그램 실시 전, 실시 후, 추후의 종속변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이용하였다. 다중 비교에서는 t-test와 Dunnett 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건강관리 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F=10.21, p= .002), 시기(F= 10.64, p= .000), 집단과 시기간 상호작용(F=9.57, p=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F=17.59, p= .000), 시기(F= 11.93, p= .000), 집단과 시기간 상호작용(F=17.41, p=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가설 3.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간, 시기간 및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해 개발된 건강지원 프로그램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는 어머니가 발달장애 아동을 돌보는데 있어 건강관리 행위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나 사회성, 문제행동까지 건강의 요구를 확장함으로써 어머니가 아동의 건강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대처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된 본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단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발달장애 아동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ealth-support program, and test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order to help mother's coping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health condi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the disability-stress-coping adjustment model of Wallander, Verni, Baban, Banis, and Wilcox(1989), in order to approach comprehensively to the adjust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content of health-support program wa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y(Kim & Lee, 2004) and discussions of the expert group. The program progressed on the theme of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health that was took the total 4 weeks(12 sessions with 3 times per week).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mot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who was registered at the welfare center in A city, Kyongbuk. As the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is program, (1) the health care behavior tool adopted Jo(1983)'s health behavior tool and Ju(1996)'s family health care behavior tool, (2) Abidin(1983)'s Parenting Stress Index(PSI) that Park(1994) translated and modified, and (3) Rinson, Eyberg and Ross(1990)'s Children behavior scale that Song(1992) translated,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SPSS 12.0 program was used, and for the Homogeneity test, χ2-test was used, and for the effect test repeated measure ANOVA, t-test and Dunnett test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was suppor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health care behavior level after the treatment of health support program as time passed.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ing stress level after the treatment of health support program as time passed. Hypothesis 3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hildren problem behavior point after the treatment of health support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ealth-support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ia maternal education helped the mothers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are behaviors and reduce the parenting stress level. In the future, a longitudinal study, which involves fathers as well as mot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