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채명옥-
dc.creator채명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46-
dc.description.abstract아동의 만성적 건강문제는 아동의 성장,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부모들의 역할변화 내지는 역할과중을 초래하여 가족내 장기적인 긴장상태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가족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서구와는 사회 문화적 특성이 다른 한국 가족의 기능을 측정하고 한국 가족 기능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국인들이 정의한 가족기능의 개념에 따른 가족기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이인숙 등(2002)이 개발한 도구19문항에 문헌과 만성질환아 부모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10문항을 보완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2004년 10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만성질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질문지를 배부하거나 연구보조원이 질문지 내용을 직접 면담하여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90부를 자료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Version 11.5)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Chronbach's alpha 계수 및 item total correlation 계수, Varimax 회전에 대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9개 문항이 문항분석을 통해 19개 문항으로 축소 선정되었다. 2. 선정된 19 문항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가족의 힘, 가족의 성숙, 외부자원 활용능력, 재정적 추진력, 정서적 지지체계의 5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전체 설명 분산은 68.0% 이며, 요인별 설명 분산은 제 1요인이 39.3%, 제 2요인이 10.4%, 제 3요인이 6.6%, 제 4요인이 5.9%, 제 5요인이 5.5%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아 가족의 기능회복력 측정도구를 수정 하였다. 이는 한국 가족 어머니들의 자녀 돌보기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 되었던 특히 아동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가족 기능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자의 임상 경험을 기초로 만성질환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자료 수집 단계를 통한 도구 수정 절차를 거쳐 수정된 도구로 한국형 가족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도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가족발달 단계에 속하는 만성질환아가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재검증 할 필요가 있으며, 요인별로 문항 수가 고르지 못하게 분포된 점은 가족 기능 회복력의 하위 속성 각각의 정의 및 조작화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구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반복신뢰도 검사와 예측타당도, 공인타당도 검사 등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Lee et al(2002) for the familie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Respondents for this study were 90 families who had a child with a chronic illness.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of 2004 a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ronbach's alpha, item total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s the item analysis, 19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of 29 items, excluding items with low and negative correlation from the total scale. Five factors were evolved by factor analysis, which explained 68% of the total variance. The first factor 'Family strength' explained 39.3%, the 2nd factor 'Family maturity' 10.4%, the 3rd factor 'The ability to use of external resources' 6.6%, the 4th factor 'The driving force for finance' 5.9%, the 5th factor 'Emotional support system' 5.5%. These items and factors of the scale we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 has been high in this study. It's been concluded that the instrument is adequate for assessing the functions of familie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 of assessment using this instrument contributes to improve the family resil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E. 연구의 윤리적 측면 = 4 Ⅱ. 문헌고찰 = 5 A.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 기능과 회복 = 5 B. 가족 기능과 가족 기능회복력 측정도구 = 8 Ⅲ. 연구방법 = 12 A. 연구설계 = 12 B. 연구대상 = 12 C. 도구 수정 절차 = 12 D. 자료분석 방법 = 14 E. 자료수집 방법 = 14 Ⅳ. 연구결과 = 15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5 B. 가족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의 검증 = 17 Ⅴ. 논의 = 23 Ⅵ. 결론 및 제언 = 28 참고문헌 = 31 부록 = 36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66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성질환아 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Validation of resilience scale for families with a chronically ill child-
dc.creator.othernameChae, Myung Ock-
dc.format.pageⅵ,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