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21현·23현·25현 가야금 독주곡에 나타난 조현법에 대한 연구

Title
21현·23현·25현 가야금 독주곡에 나타난 조현법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Hyun Soo, Jang's "the tuning of the twenty one-stringed, twenty three-stringed and twenty five-stringed kayageums' solo musical notes"
Authors
장현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The Kayageum is a twelve-stringed Korean harp that was invented by Woo Reuk under the order of the King Gasil of the Kaya dynasty. All of twelve strings are placed on the bridges, which takes after the foot of a wild goose. The Kayageum is played by picking or plucking the strings with a right hand and by pressing or oscillating the strings which are placed on the other side of bridges. Especially, the technique of oscillating strings are called 'Nong Hyun'. A twenty one-stringed Kayageun was suggested by North Korea in 1960 on the ideological reason and twenty three-stringed Kayageum was played by Korean in Yanbian, China. In South Korea, metallic, fifteen-stringed, seventeen-stringed, eighteen-stringed, twelve one-stringed Kayageums are made by the need of the composers in creation. Lower-keyed, middle-keyed and upper-keyed Kayageums are also proposed by the need of composers in playing. In one hand, the variety of Kayageums shows more comprehensive diversity of musics. In the other hand, this means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between composers and performers by the lack of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In this work, the musical notation and the tuning in twenty one-stringed, twenty three-stringed, and twenty five-stringed Kayageums are studied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mpos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Kayageum music by the suggestion of the systematic tuning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s between performers and composers. I. the solo musical notes of the twenty one-stringed and twenty five-stringed Kayageums, which were published from 1990's to 2002 are selected to study the composed Kayageum music in South Korea. The solo musical notes of the twenty one-stringed Kayageum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North Korea, the solo musical notes included in the textbook of the Yanbian univerisity, the notes of the North Korea twenty one-stringed Kayageum and Yanbian twenty three-stringed Kayageums, which were published in South Korea are collected to study the tuning in North Korea and Yanbian, China. The traditional twelve-stringed Kayageums with the pentachord are seeking the diversity under the name of improved Kayageums nowadays. Since no definition of the improved Kayageums exists, the improved Kayageums have their own usag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composers or performers. II. The solo musical notes of the twenty one-stringed, twenty three-stringed, and twenty five-stringed Kayageums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Yanbian are collected. However, no criterion exists in selecting the notes. The reasons are as follows. Even though the compos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Kayageums in South Korea began later than in North Korea and Yanbian, more Kayageum compositions are published and more diverse tunings on the need of the composers and the performers are developed compared to the three tunings of North Korea. Therefore, the Kayageum solo notes published from 1999 to 2002 in South Korea are chosen to study the tuning of the South Korea Kayageum music. The notes in the textbook of Yanbian university,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North Korea musical notes published in South Korea are collected to study the tuning of North Korea and Yanbian. The number of the notes in each side is not same. However, the number and the diversity of the notes are enough to study the tuning of Kayageums. III. To compare of the tuning and the do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Yanbian notes, the tunings used in each note were studied and the name of that music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unings. First of all, the tunings of the South Korea are listed as . The all the Kayageum solo musics have their own diverse tuning and compositions without belonging to the genre of music. The tunings of the North Korea and Yanbian are categorized as . Since the tunings of the Yanbian twenty one-stringed Kayageum are influenced by the tunings of the North Korea, the above three tuning method can cover all the performance. Therefore, it is convenient for performers to play the Kayageums in the tunings of North Korea and Yanbian. The categorized three tunings are convenient in the tuning and there is no drastic change in the art of playing. The Kayageum tunings of South Korea have more flexibility in the variation of the Kayageum in playing the modern creations. The variation of the tone can be diversified and the creativity of composers and performers can be improved. The improved Kayageum can accept the need of musicians to perform more diverse musics, which can not be carried out in the traditional stereotyped musics. Lots of compostions have been played already, more diverse expression and creativity of composers and performers can be played in the future.;본 논문은 21현,23현,25현 가야금의 조현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가야금 연주자와 작곡자 간에 의사소통이 더욱 수월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창작곡의 이해와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가야금은 오늘날 개량 가야금이라는 이름으로 21현, 23현, 25현으로 변화하고 있다. 개량 가야금은 작곡자나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 그 쓰임새가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여러 조현법이 나오고 또, 북한과 연변,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개량 가야금은 21현, 23현, 25현 가야금이다. 이들에 대한 가야금 독주곡을 중심으로 조현법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북한에서 출판된 책과 연변대학교에서 나온 가야금 교재와 우리나라의 가야금 독주곡 악보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가야금에 나타나는 조현법을 분류할 수 있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가야금 조현법은 <조현법 1~3>으로 분류되는데, <조현법 1>은 C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현법이고, <조현법 2>는 F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현법이다. 그리고 <조현법 3>은 G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현법이다. 북한의 가야금은 21현 가야금으로 제 1현을 ‘Sol' 로 맞추어서 7음 음계의 체계로 조현한다. <조현법 2>와 <조현법 3>은 <조현법 1>에서 필요한 B음을 반음 내리거나 또는 F음을 반음을 올려서 조현한다. 둘째, 연변의 가야금 조현법은 <조현법 4~6>으로 분류되는데, <조현법 4>는 C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현법이고, <조현법 5>는 F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현법이다. 그리고 <조현법 6>은 G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현법이다. 이는 북한의 조현법과 같은데, 북한은 21현 가야금이고, 연변은 23현 가야금 이여서 현의 수만 늘어났을 뿐이다. <조현법 1>은 <조현법 4>와 같고, <조현법 2>와 <조현법 5>, <조현법 3>과 <조현법 6>이 같은 조현법이다. 셋째, 우리나라의 조현법에서는 <조현법 7~11>까지로 정리되는데, <조현법 7>은 C음. <조현법 8>은 A음, <조현법 9>는 F음, <조현법 10>은 E음, <조현법 11>은 D음이 으뜸음인 조현법이다. 우리나라의 가야금 독주곡의 조현법이 이와같이 다양한 이유는 작곡자가 조현법이나 작곡법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의 의도에 의하여 작곡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 연변과 우리나라의 조현법이 다른 점은 우리나라의 악기개량이 북한이나 연변보다 늦게 시작된 만큼 시대적인 요구에 의해 작곡자 의도에 따른 불규칙적인 조현법도 볼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조현법 1~11>은 규칙적인 조현법으로 볼 수 있고, <조현법 12~21>까지는 작곡자의 의도에 따른 불규칙적인 조현법으로 볼 수 있다. <조현법 1~6>은 북한과 연변의 조현법이고 <조현법 7~11>은 우리나라의 조현법인데, 규칙적인 조현법은 으뜸음이 변한다 하더라도 7음 음계의 체계를 갖고 있는 조현법이다. <조현법 12~21>은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불규칙적인 조현법인데, 매 현마다 그 음이 작곡자의 의도에 의해 정해지므로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조현법이다. 21현, 23현, 25현 가야금 독주곡에 나타난 조현법을 조사하면서 가야금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표현방법과 연주법 등을 연구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가야금 조현법은 변화가 다양하여 음의 변화가 복잡하고 작곡자와 연주자 간의 창의성이 높아 질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틀에만 박힌 고정 관념적인 음악보다는 현대적인 다양한 표현을 하고 싶어하는 음악가들의 욕구를 개량 가야금이 충족시켜준다. 창작 가야금 독주곡은 이미 많은 곡들이 있지만, 앞으로 작곡자나 연주자 간의 더욱 다양한 표현과 상상력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